-
01지상-위성 통합 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6G 위성통신 기술 개발
공간연결의 한계 돌파를 위한 6G 이동통신 핵심 원천기술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기술 개발, [전문연구실] 위성탑재체핵심원천기술개발
- 총 연구기간 : 2021년 04월 01일 ~ 2025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세계 최고수준의 통신탑재체용 핵심 부품 기술확보로 저궤도 통신위성 국산화 기반 확보
- 세계 최고 성능을 갖춘 3차원 공간 지상-위성 통합 액세스 기술 개발 및 구현
- 3GPP 및 ITU와 같은 국제 표준화 단체의 규격에 맞춘 기술 개발 및 활발한 표준화 활동으로 매우 높은 상용화 가능성
-
02세계 최고 수준의 5G NR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6G 이동통신 핵심 원천 기술
- 연구과제명
-
- 연구과제명 : 5G NR 기반 지능형 오픈 스몰셀 기술 개발
- 총 연구기간 : 2018년 7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세계 최고 수준의 5G 단독모드 스몰셀 소프트웨어 성능 제공
- 세계 최고 수준의 5G NR-DC 기술 제공
-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세계 최고 수준의 5G 스몰셀 소프트웨어
-
03긴급구조용 3차원 정밀측위 및 와이파이 기반 현장탐색 기술 개발, 인명구조 성공
ICT기반 공공분야 국민생활 문제 해결 지능화 솔루션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1)저전력 복합측위, 근접탐색 기술 기반 범죄피해 안전조치 대상자 위치추적 통합관제 플랫폼 개발
2)긴급구조용 측위 품질 제고를 위한 GPS 음영 지역 내 다중신호패턴의 학습 기반 3차원 정밀측위 기술 개발 - 총 연구기간 : 총 연구기간 : 2019년 4월 1일~ 2026년 12월 31일
- 연구과제명
- 연구성과 우수성
-
- 초기출동 위치 정확도 개선을 위한 LTE, Wi-Fi, BLE, 기압 융합형 3차원 복합측위 기술
- 건물 도착 후 방 레벨 신속 탐색을 위한 이동형 와이파이 기반 정밀탐색 기술
- 112 시스템 연계 서울 전역 확대 실증을 통한 월평균 20건 인명구조 성공
-
04나노바이오 가스센서 미래선도 소재 발굴 및 날숨기반 멀티모달 AI 폐암 조기진단 플랫폼 선도기술 개발 및 기기 임상유효성 검증 (초기폐암환자 대상진단정확도>95%)
의료 지능화 솔루션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호기 기반 질병 조기진단을 위한 멀티모달 나노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
- 총 연구기간 : 2021년 05월 01일~ 2024년 07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4종의 가스를 초고감도/고선택도로 감지하는 MOF 가스센서 어레이 (4종 가스 LOD < 50 ppb, 세계최고 수준) 미래선도 기술 확보 달성
- 20종 이상의 가스센서와 최적 설계된 가스챔버 기반 호기 내 암질환 VOCs 바이오마커를 고감도 전자동 검출용 멀티모달 호기 센서 시스템 미래선도 기술 확보
- 인간 호기 임상시료(총 181례) 기반의 임상적 기기 유효성 검증 및 세계최고 수준의 진단 정확도(97.8%) 확보
-
05국민 일상생활 언어장벽 해소를 위한 13개 언어 다국어 실시간 대화형 자동통역 기술
범용 인공지능 원천기술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자율성장형 복합인공지능 원천기술 연구
- 총 연구기간 : 2022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13개 언어 실시간 대화형 자동통역 개발. 세계 3대 메트로(뉴욕, 도쿄)인 서울 지하철 국가 주요시설에 성공적인 서비스 운용 중. 국민 일상생활 언어장벽으로 인한 불편 해소
- 중소기업 기술이전(대상: 코난테크놀러지 등 3개 기업)을 통해 은행, 호텔, 백화점 등 자동통역 서비스 확산. 생성형 챗봇과 융합서비스 제공. 경제적, 산업적 파급효과 창출
- 미래 혁신 기술인 ZeroUI 통역 기술의 지적재산권 선점 및 ISO/IEC 국제표준 승인. 동 분야 ETRI가 기술을 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
-
06세계를 주도하는 가상-입체영상(Spatial Reality) 재현 기술
입체공간 미디어 원천기술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자율성장형 복합인공지능 원천기술 연구
- 총 연구기간 : 2022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세계를 주도하는 가상-입체영상 (Spatial Reality) 재현 기술
- 산업 육성 및 기술 확산을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 및 공정 기술지원
-
07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기반 접합 소재 기술
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기반 접합 소재 기술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1) 주요사업 (광전소자기반 THz 근접장센싱 및 필드 시각화 원천 기술)
2) 개발 도금 소재 활용 HBM2급 적층 칩 접합 기술 및 신뢰성 향상 기술 개발
3) 미니-LED 미세전극 접합을 위한 도전성 나노소재 기술개발 - 총 연구기간 : 2022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연구과제명
- 연구성과 우수성
-
- 공정 중 흄이 발생하지 않는 LAB용 접합 소재 개발 완료 (세계 최초)
- 세계 최초 상기 소재 적용한 상온 접합 공정 기술 확보 (세계 최초)
- 상기 접합 소재 상온 가사 시간 30일 이상 확보 (세계 최초)
-
08교통/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엣지 AI 기반 상황인지 상용화 기술
스마트시티 영상 AI 융합기술 개발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대경권 지역산업 기반 ICT 융합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 총 연구기간 : 2020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세계 최고] 보행자 재식별(Market 1501/Rank 1 기준) 정확도 98.1(vs. 북경이공대, 알리바바 그룹)
- 해외 우수학술대회 4건, SCIE 1건 게재, 해외 AI 챌린지 1위 확정(리더보드기준, ‘24.12.1. 발표)
- 조달청 혁신시제품 선정(역주행방지 기술 등 3건): 정부와 수의계약 가능, 매출증대 기여 전망
-
09고출력·고효율이 가능한 GaN기반 공정 기술 및 RF 부품 개발
고출력·고효율이 가능한 GaN기반 공정 기술 및 RF 부품 개발
- 연구성과 개요
-
- 연구과제명 : 28㎓ 지원 5G 기지국용 GaN 기반 공정 기술 및 RF 부품 개발
- 총 연구기간 : 2021년 04월 01일~ 2025년 12월 31일
- 연구성과 우수성
-
- GaN 기반 공정 기술 및 RF 부품 개발은 기존 GaAs 기반 반도체 소자를 대체하여 더 높은 전력밀도와 항복전압을 가지므로 고출력 전력 증폭기 소자로 적합하며 RF 송수신기의 소형화 및 집적화가 가능
- 본과제에서 개발된 이동통신용 고출력·고효율 GaN 기반의 전력증폭기가 적용된 고효율의 집적화된 이동통신용 시스템 개발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여서 정부 차원의 탄소중립에 대응
- GaN 공정 및 부품기술은 국가적 핵심기술로 기술 통제와 수출 통제에 따른 공급망 이슈가 있으므로 본 과제를 통한 기술 이전 및 국내 생산지원이 가능하므로 국내 GaN 전자소자의 기술 자립과 대내외 경쟁력 확보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