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3D 디스플레이인 홀로그램 기술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백플레인 기술, 전기변색 기술등 반사/투과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3차원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두 개의 눈에 다른 영상을 투영하는 방법부터 물체파를 원상태로 재생하는 홀로그램 방법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눈이 피로해지지 않고 자연스런 3차원 표현이 가능한 방법은 홀로그램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동영상처럼 재현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조절이 가능한 공간광변조기가 필수적인 소자입니다.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미터 크기 수준의 픽셀 피치를 가지는 공간광변조기 개발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광변조기를 구성하는 광변조 소자와 구동을 위한 백플레인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백플레인은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자발광 소자 혹은 광변조 소자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박막트래지스터 어레이로 구성됩니다. 우리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백플레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홀로그램용으로는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채널 길이를 가지는 극소채널 TFT를 개발하고 있고, 유연 및 신축형 디스플레이 혹은 전기소자를 위해서는 PI나 플라스틱 기판위에 유연 TFT를 개발하고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나 투명 센서 어레이용으로 투명 TFT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투명전자소자의 개발을 위해 p형 산화물 반도체 및 TFT, 메모리 TFT등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기변색소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소자입니다. 현재 스마트 윈도우나 자동차의 룸미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투명디스플레이의 셔터로 사용가능성이 넓어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향후에는 위장용 디스플레이나 새로운 극소형 광변조소자로의 응용 가능성도 있습니다. 우리는 대형 광셔터 기술부터 극소형 광변조소자 기술까지 새로운 전기변색소재 및 구조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의 응용기술로서 유연열전소자, 에너지전송소자, 유연센서소자등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참고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