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한 달, 한국은 난데없는 'AI(인공지능) 앓이'를 했다.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바둑 프로 9단 이세돌의 ‘세기적 대결’은 바둑과 인공지능에 문외한인 사람들에게도 화제가 됐다. 한 네티즌은 “규칙이 어떻게 되는지도 모르는 경기를 4시간 동안 땀나게 지켜보기는 난생 처음”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군대에서 축구한 얘기'에 질색하던 젊은 여성들이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축구에 열광하던 모습을 연상케 하는 말이었다.
알파고는 돌아갔지만, 한국사회의 AI 후유증은 상처에 난 딱지처럼 남아있다. 약이 될 것도, 독이 될 것도 있을 것이다. 정부와 출연연·기업·대학은 새롭게 인공지능 발전대책을 세우느라 분주하다. 2013년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인공지능을 연구해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입장에서는 황당하고 당황스러울 수 있겠다. 그 속사정을 잘 아는 기자 입장에서는 ‘흔들리더라도 꺾이지 말고 잘하라’고 응원해주고 싶은 심정이다.
AI 앓이가 한국사회에 남긴 긍정적인 면 중 하나를 꼽으라면, ‘AI가 가져올 미래에 대한 고민’이라고 말하겠다. 오죽하면 정부의 인사혁신처까지 ‘인사비전 2045’를 얘기하며, AI와 무인기술이 일반화되는 미래에는 현재의 관료제가 해체돼야 한다고까지 얘기할 정도다. AI가 극도로 발달한 미래 세상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양 극단의 미래이긴 하지만, 사람들은 대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그린다.
그래서 최근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개념이 ‘기본소득’이다. 재산이나 소득의 많고 적음, 노동 여부나 노동 의사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지급되는 소득을 말하는 단어다. 이쯤 되면 ‘분배’, ‘사회주의’와 같은 단어가 연상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런 연결은 20세기적 사고방식이다. 프랑스의 경제학자 앙드레 고르(1923~2007)가 주창한 이 개념은 최근 스위스와 핀란드·네덜란드에서 공론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자본주의의 맏형인 미국의 실리콘밸리에서도 거론되고 있다.
지금 당장은 아니겠지만, 장기적으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AI를 선도하겠다는 한국에서도 기본소득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지금 세계 시장과 생산 자동화라는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노동자를 찾아보기 힘든 경제로 향한 길이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 그 길이 안전한 천국으로 인도할 것인지 또는 무서운 지옥으로 인도할 것인지의 여부는 문명화가 제3차 산업혁명의 바퀴를 따라갈 후기 시장의 시대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 동시에 노동의 종말은 새로운 사회변혁과 인간 정신의 재탄생의 신호일 수도 있다. 미래는 우리의 손에 달려 있다.”
20년 전 미국의 저술가 제레미 리프킨이 쓴 『노동의 종말』(1995)의 마지막 구절이다. 그땐 AI가 암흑기를 통과하고 있을 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