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contents

ETRI

MENU  

VOL. 185 October 2021

TOP
People

네트워크 기술에

혁신을 제시하다

데이터중심네트워크연구실 고남석 실장

2010년대, 인터넷 구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미래의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을 수용하기 위한 미래인터넷 기술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네트워크 기술에 혁신적인 개념이 제시된 것이다.
2000년대부터 다양한 요구사항과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로 다양한 문제를 마주하고 있는
지금의 네트워크 기술에 ETRI는 데이터중심네트워크기반 기술로 새로운 혁신을 제시한다.

실장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introduction

안녕하세요, 데이터중심네트워크연구실 고남석 실장입니다.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과제 자체는 17년부터 만들어진 과제이고, 제가 데이터중심네트워크연구실에 온 건 3년 전입니다. ETRI 조직이 개편되면서 실장을 맡게 됐죠. 과제가 처음 기획되었을 때 사업책임자는 지금 네트워크연구본부 김선미 본부장님이셨고요.

네트워크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motive

네트워크, 인터넷 기술이라고 하는 것은 아시다시피 오래전부터 있었던 기술입니다. 제가 네트워크 연구를 시작한 것은 제가 98년 석사과정을 연구하면서부터죠. 당시는 국내에서는 네트워크 연구 초기였고, 지금의 IP(Internet Proctocol) 방식보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송방식교환체계) 방식이 많이 쓰일 때였습니다. 이후에 IP 기술이 더 널리 사용되면서 저희도 IP방식 기반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했죠.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이란 무엇인가요?
Technical explanation

저희가 개발하고 있는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은 미래인터넷이라고 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서 미래인터넷은 단순히 미래의 네트워크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현재 인터넷의 문제점 및 미래 서비스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혁신적 개념에서 새롭게 설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인터넷을 의미합니다.

의식하고 계시진 않겠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I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어요. 하지만 IP 방식에는 보안이나 이동성, 안정성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IP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기보다 IP 방식은 그대로 사용하되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됐어요. 이렇게 기존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문제를 극복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었고, 2010년대 미래인터넷이라는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죠.

미래인터넷 기술 연구는 2010년대에 시작하긴 했지만 계속해서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아닙니다. 지금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AI가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던 침체기를 지나 다시 관심을 받고 전 세계에서 주목하기 시작했던 것처럼 지난 2017년에 다시 시작하게 된 거죠.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의 의의는 무엇일까요?
Significance

지금까지 네트워크 기술은 하위호환성, 즉 기존에 있던 시스템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됐습니다. 기존에 있던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 하위호환성을 충족하도록, 즉 기존에 있던 제품이나 서비스도 새로운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요.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서비스를 완전히 끊어내야 한다면 일이 많이 복잡해지니까요.

그런데 이런 것을 생각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아예 새롭게 설계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이번 연구가 시작된 거죠. 초창기 인터넷은 연결만 잘 되면 됐지만, 지금은 인터넷을 다양한 분야에 사용하잖아요. 이러한 사용패턴의 변화, 인터넷이 가지고 있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은 데이터에 이름을 부여하고, 사용자가 그 이름만 알고 있으면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든지 요청하고 받아올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동시에 여러 사람이 유튜브에 있는 콘텐츠를 즐기려고 하면, 기존 네트워크 기술은 몇 명이 됐든 각각의 사용자가 유튜브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받아왔어요. 하지만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의 이름만 알고 있으면 그 콘텐츠가 유튜브 서버에 있건, ETRI 본원 내에 있건 사용자가 요청해서 받아올 수 있는 거죠. 이렇다보니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데이터에 이름을 부여하면서 데이터를 누가 생성했는지 ‘서명’을 하게 돼요. 데이터에 데이터를 생산한 사람 고유의 서명이 있다면 이 데이터를 어디에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겠죠.

앞으로의 연구방향은?
Direction

첫 번째 목표는 콘텐츠 전달입니다. 현재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에서는 자체적으로 서버를 가지고 있고, 국내에 따로 클라우드 등을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런 ‘캐시’가 없다면 미국에 있는 넷플릭스 서버에서 콘텐츠를 받아와야 하는데 그러면 데이터 지연이 생기고요.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면 나라별로 서버, 클라우드를 구축하지 않아도 콘텐츠를 쉽게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이 기술이 적용되고 실증된 몇몇 케이스가 있어요. ETRI의 자율주행차인 오토비(AutoVe)에 이 기술을 적용해서 실증했고, 부산시와 함께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정보를 잘 모으고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요. 또 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위성에서 받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개선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아쉬운 점
supplementation

5년째 연구를 지속하고 있지만, 실제 상용화하는 데에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이 지금의 인터넷 정도의 규모로 사용되려면 실용성, 안전성이 확보돼야 해요. 네트워크는 일종의 생태계입니다. 기술에 대한 암묵적인 협의를 가지고 만들어지죠. 새로운 기술과 방식으로 생태계를 구축하려면 활용 사례들을 모으고 장점을 부각해서 확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미래인터넷 기술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꾸준히 해왔습니다. 현재의 인터넷 기술은 언젠가 한계에 부딪힐 건데,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기술적으로 다른 나라에 종속될 수밖에 없겠죠. 국내에서의 미래인터넷 연구는 아직 활발하다고 하기에는 어렵지만, 저희는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을 상용화 레벨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중소기업이 미래인터넷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기술로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어요.

Editor epilogue

최종적인 목표를 묻는 질문에 고남석 실장은 ‘무엇보다도 데이터중심네트워크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이죠. 기술을 안정화하고, 네트워크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라고 답했다. 아무도 상상하지 못할 미래, ETRI가 그 중심에 선 모습을 기대해본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네이버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