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VOL. 173 april 2021

TOP
Focus on ICT

대한민국 정보통신계의
산증인

안병성 박사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다

매년 4월 22일은 ETRI에게 무척 의미 있는 날이다.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관계 종사원의 노고를 위로하려 제정된 ‘정보통신의 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해 4월 22일은 더욱 특별하다.
2020년도에 연구원 최초로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된 故 안병성 박사의 시상식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故 안병성 박사와 가상인터뷰를 통해 한국 과학발전사에 한 획을 그은 그의 발자취와 업적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1

故 안병성 박사와의 가상인터뷰interview

ETRI

안녕하세요, 안병성 박사님.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병성 박사

예, 안녕하세요. 안병성입니다. 저는 1970년 KIST에 입사하여 1977년 ETRI 전신인 한국통신기술연구소에서 연구했습니다. 연구소 부소장을 비롯하여 1984년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컴퓨터연구단장, 이동통신기술연구단장, 소장실 기술역, 정보기술개발단장 등을 역임하고 1988년 퇴임하였습니다.

ETRI

올 4월 22일 있을 과학기술유공자 시상을 기념하여 박사님의 업적을 되짚어볼까 합니다. 박사님께서 국내 최초로 완성한 기술인 전자식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로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PBX에 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2

안병성 박사

PBX는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 주는 구내교환망으로 가입자 구내에 설치되어 국선과 내선 및 내선 상호 간 교환 접속하는 장치입니다. PBX의 역사는 1972년으로 거슬러 갑니다. 1972년 당시 주요 국가시설에서 센터와 주요 대도시를 연결하는 무선통신 교환망을 1년 내에 개발해달라는 의뢰가 들어왔어요. 당시 국내 무선통신 기술은 선도국이었던 미국에 비해 부족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순수 국내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통신 교환망이 필요했기 때문이었죠. 노력 끝에 기술을 개발했으나 가장 중요하게 여긴 보안 측면에서 합격점을 받지 못했습니다.

ETRI

그런데 어떻게 PBX가 빛을 보게 되었나요?

안병성 박사

이 기술을 썩히긴 아깝더라고요. PBX를 상용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중 미국 GTE 사로부터 500회선 규모 사설교환기 연구를 수주하여 개발계약을 맺게 되었습니다. 56만 불 규모의 연구였는데 국내에서 개발을 완성하여 1975년 시중에 선보이게 되었죠.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3

ETRI

그런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었군요. 뿐만 아니라 PBX는 국산 시(時)분할 전전자교환기인 TDX(Time Division eXchange) 개발의 단초가 되었죠. 덕분에 우리나라가 통신 강국으로 발돋움한 계기가 된 TDX 역시 박사님께서 프로젝트를 총괄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안병성 박사

네, 맞습니다. ETRI 재직 시절 ‘TDX-1’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했습니다. 5년짜리 프로젝트로 총 1,300명의 인력과 240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된 초대형 연구개발 프로젝트였습니다.

ETRI

그렇군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투입된 데에는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텐데요, 프로젝트 진행 배경은 어땠나요?

안병성 박사

1970년대 들어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에 진입했습니다. 전화가 경제활동의 필수품이자 국가 경제산업 발전의 기반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며 국내 통신 수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죠. 그러나 급증하는 전화 수요에 비해 시설증가는 더뎠고, 이는 심각한 전화적체 현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82년 TDX 개발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연구진이 함께 땀을 흘린 덕분에 세계에서 열 번째로 순수 자기 기술로 TDX를 개발할 수 있었죠.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4

ETRI

TDX 개발이 훗날 어떤 결과로 이어졌다고 보시나요?

안병성 박사

우선 국내 교환 4사를 통해 TDX가 상용화되며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던 만성적인 전화적체 현상이 해소되었습니다. 뒤를 이어 우리나라는 통신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여러 기술과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었습니다. 1997년 말에는 전화망 구축 1천만 회선을 돌파하며 본격적인 1가구 1전화 시대가 시작되었을 때는 감회가 남다르더군요. 또한, TDX 개발은 수입대체 효과 4조 3,406억 원, 수출 1조 458억 원 등 약 5조 3,846억 원의 경제효과가 창출되었다고 합니다. 국부 유출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통신 자립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한 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엔지니어로서 자랑스럽고 연구한 시간들이 보람찼었다고 생각합니다.

ETRI

TDX 개발은 과학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이었군요. 박사님께서 ETRI에 재직하시면서 우리나라 최초 미니컴퓨터인 세종 1호 개발 역시 담당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안병성 박사

네, 맞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1973년 국내 최초 국산 미니컴퓨터인 세종 1호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세종 1호는 당시 미니 컴퓨터가 구현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갖춘 컴퓨터였죠.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5

ETRI

세종 1호 개발은 우리나라 ICT 역사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병성 박사

우선 세종 1호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두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첫 컴퓨터입니다. 진정한 의미의 첫 국산 컴퓨터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래서 더 큰 의미가 있는 것이지요. 또한, 이후에 등장한 여러 분야 ICT의 자양분이 되었습니다. 세종 1호가 삼성반도체 통신이 1980년대 개발한 독자 모델 ‘삼성 슈퍼마이크로’ 시리즈와 앞서 말씀드린 TDX 개발의 토대가 되었거든요.

ETRI

그렇군요. ETRI에서 근무하시며 또 어떤 연구를 진행하셨나요?

안병성 박사

이외에도 4M DRAM1)개발, CDMA2) 상용화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1986년에서 1996년까지 약 14년간 진행된 삼성전자, 금성반도체(현 LG정보통신), 현대전자 등 반도체 3사가 참여한 ‘4M DRAM 공동개발사업’을 ETRI가 주관했습니다. 저는 이 사업의 개발계획 보고서를 작성하고 사업자를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했었죠. 또, ETRI에서 1989년에서 1996년까지 약 7년간 진행한 디지털 이동통신 기술개발사업(CDMA 기술개발사업)에서는 무선통신개발단 단장을 맡았어요. 해당 시기에는 이동통신 기술개발 기초연구를 진행하며 사업자를 선정하는 작업을 담당했습니다.

1)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임의접근기업장치(Random Access Memory)의 한 종류. 구조가 간단해 집적이 용이하므로 대용량 임시기억장치로 사용됨.

2)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성 신호를 2진법 부호로 바꿔 제3자의 전파 방해나 도청을 차단함.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6

ETRI

그 중요한 프로젝트 토대를 박사님께서 닦으셨군요. 국내 최초 TV 리모컨, 전자계산기도 박사님께서 발명하셨다고 들었어요.

안병성 박사

맞습니다. 특히 전자계산기의 경우 탁상용, 포켓형, 프린터형 등 세 종류를 개발했는데 그중 탁상용 전자계산기가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에 10만여 대 수출됐습니다. 해당 계산기는 미국에서 발행하는 ‘소비자 리포트(Consumer Report)’ 1973년 6월호에 실리기도 했죠. 탁상용 전자계산기가 1972년도에는 우리나라 산업전자기기 수출액 중 70%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전자계산기 개발 및 수출 기여로 1972년 제8차 수출진흥확대회의 대통령 표창, 1974년 3.1문화상 기술상을 수상했던 기억이 나네요.

ETRI

뿐만 아니라 1976년 국민훈장 석류장, 1979년 대한전자공학회 기술상, 1989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하기도 하셨는데요. 이렇듯 박사님이 한국 ICT사에 남기신 족적은 지금까지도 크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7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8

안병성 박사

한국 ICT 발전에 제 연구가 도움이 되었다니 영광일 따름입니다. 후배인 ETRI 연구진들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그 노력이 결실을 맺어 앞으로 저를 뛰어넘는 제 2, 3의 ETRI 출신 과학유공자가 나오고 ETRI에서 나온 기술이 국민과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ETRI

ETRI 말씀 감사합니다. 그럼 4월 22일 시상식에서 뵙겠습니다.

Focus on ICT 관련 이미지9

ETRI 이동통신연구소장으로 재직하셨던 한기철 박사님께서 사진자료를 제공해주셨습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네이버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