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pdf

닫기

background image

디지털 혁신으로
행복한 미래세상을 만드는 기술 선구자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02 발간사
04 연혁
05 비전및목표


I

오픈소스거버넌스

08 1.전략및정책
09 2.역할및책임
12 3.대응체계
13 4.R&D수행모델

II

오픈소스R&D활동

16 1.오픈소스R&D전주기프로세스
17 2.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
18 3.SW공급망관리
20 4.오픈소스심의제도
21 5.오픈소스활동


III

개방형오픈소스R&D플랫폼

31 1.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CONNECT)
32 2.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시스템(OLA)
34 3.ETRI오픈소스공개사이트
35 4.ETRI상위10대라이선스및오픈소스

IV 오픈소스확산
38 1.인식도조사
39 2.교육
41 3.오픈소스비즈니스

V 대외활동
44 1.ETRIOpenSourceTechDay(EOST)
46 2.국제표준준수
47 3.표준화활동
48 4.출연연오픈소스협의체

부록

50 1.ETRI외부공개오픈소스프로젝트
52 2.공개SW과제목록
55 3.ETRI오픈소스관련사이트

CONTENTS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PRESIDENT

MESSAGE

오픈소스를통해상생과협력의사회적가치를실현하고,
지속가능한연구개발을통해더나은미래를만들어
나갈것을약속드립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한해동안의오픈소스활동을돌아보며,그성과와경험을공유하기
위해매년오픈소스연차보고서를발간하고있습니다.

1980년대SW의상업화에대한반작용으로시작된오픈소스는지속적인발전을거듭해오고
있고이제기술혁신을넘어,협력과공유의가치를실현하는중요한문화이자,지속가능한
연구개발을위한핵심적인도전과제가되었습니다.특히,AI,클라우드,IoT,5G,메타버스,
양자컴퓨팅등첨단기술분야에서오픈소스는혁신의중심으로자리잡고있으며,이를통해
글로벌협력과기술발전을이끌어가고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디지털혁신으로행복한미래세상을만드는기술선구자”라는비전
하에,오픈소스를통한상생과협력의가치실현에지속적으로기여하고있습니다.우리는
개방형협력기반의연구개발을통해새로운기술적도전과사회적가치를창출하는데
집중하고있으며,이를통해ICT생태계전반의지속가능한성장을추구하고있습니다.

이번보고서는그동안진행한오픈소스관련프로젝트와연구결과를정리한자료로,오픈소스
기반의혁신적인연구개발이어떻게이루어졌는지,그리고그과정에서얻어진주요성과들을
공유하고있습니다.또한,앞으로의연구방향과함께오픈소스가ICT기술의미래에어떻게
기여할수있을지에대한전망도담고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앞으로도오픈소스생태계활성화를위해꾸준히노력하며,한계없는
도전과혁신을통해세상에이로운첨단연구성과를창출하는데매진하겠습니다.아울러,
이보고서가오픈소스의중요성과향후발전가능성에대한이해를높이는데도움이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02

03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THE

HISTORY

오픈소스센터는2019년오픈소스관련원규제정등의준비단계를거친후,
2021년에오픈소스리스크를최소화하기위한지원시스템을구축하여제공하였고,
AI,공급망관리등오픈소스관련이슈들에대한해법을찾기위해노력하고있으며
연구원특성에맞도록효율화하는작업을통해성숙단계로나아가고있습니다.

오픈소스거버넌스안정화및고도화

오픈소스거버넌스3.0설계

2001
공개SW활성화포럼(2001)및
동북아시아공개SW
활성화포럼(2004)활동참여

2008
오픈소스라이선스검증
자체시행

2024

2023

2021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관리
시스템구축

오픈소스심의제도및
공급망관리추진

오픈소스거버넌스2.0구축

2022

2015
Q-mark에오픈소스
라이선스검증도입

2016
오픈소스거버넌스
대응TF추진

2017
오픈소스센터설립
(출연연구기관최초)발족

2020
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구축

2019

오픈소스연구활동요령원규제정
오픈소스거버넌스1.0구축

공급망 관리 강화 (아웃소싱 관리)

SW공급망 관리 효율화, 오픈소스 지원 시스템 고도화

기반 구축

공통 개발 + 검증 플랫폼 구축

2010s

2020s

VISION &

GOAL

비전

오픈소스기반개방형R&D혁신플랫폼구축을통한

연구성과극대화

목표

오픈소스

개방형 R&D

생태계 조성

오픈소스

개방형 R&

생태계 조

오픈소스

거버넌스 정책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오픈소스 
커뮤니티

및 개발지원

플랫폼

오픈소스 
전문인력

(기여자 및 

커미터)

ETRI 오픈소스

비즈니스 전략

협력기반오픈소스연구개발활동으로새로운R&D문화로정착실현

문화

정착

R&D

OPEN

SOURCE

개방

혁신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04

05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I  오픈소스 거버넌스 
개방과 공유 기반 협력연구를 통한 연구문화 혁신 추진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프로세스

교육

도구/시스템

제도/정책

역할과 책임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1. 전략 및 정책

08

2. 역할 및 책임 

09

3. 대응 체계 

12

4. R&D 수행 모델 

13


background image

I  오픈소스 거버넌스

I 

1.

전략및정책

최근소프트웨어산업과연구개발(R&D)환경은오픈소스활용비중이지속적으로증가하고
있으며,열린사고를통해개방과공유기반의협력연구를통한연구문화혁신을위해노력해오고
있다.

우리정부도소프트웨어산업패러다임변화를인식하고2020년12월에공개SW방식의
연구및기술개발촉진등을포함한‘소프트웨어진흥법’을개정하였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6월‘고부가가치소프트웨어중심의소프트웨어생태계혁신전략’발표를시작으로
오픈소스를활용한국내소프트웨어산업생태계혁신을추진해오고있다.

ETRI는“오픈소스기반개방형R&D혁신플랫폼구축을통한연구성과극대화”를비전으로
오픈소스활용증가에따른위험관리강화,지속적커뮤니티활동을위한협업기반개발환경
강화,오픈소스활동을통한전문인력양성및커뮤니티기반협력문화정착등을세부적인
목표로설정하고연구문화혁신을꾀하고있다.이를위해,원내오픈소스정책수립과제도
시행및지속적인개선을수행하고있으며,오픈소스위원회,오픈소스전문위원,오픈소스
심의제도운영을통하여기본적인오픈소스거버넌스대응을하고있다.보다체계적이고
효율적인오픈소스거버넌스대응을위하여전담부서인ETRI오픈소스센터를운영하고있으며,
최근에는오픈소스연구개발활동을지원하는개방형R&D플랫폼과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
시스템등을운영하고있다.또한ETRI는2021년정부출연연최초로국제표준화기구(ISO)의
‘오픈체인(OpenChain)프로젝트’국제표준(ISO/IEC5230:2020)준수기관으로서인증을
획득하였다.이를통해ETRI는신뢰성있는오픈소스SW개발기관임을국제적으로인정받게
되었다.

ETRI오픈소스거버넌스수행경험과성과물은공개SWR&D를계획및준비하는전담기관과
더불어타출연연,기업,민간연구소,대학등과오픈소스커뮤니티활동과대내외커뮤니티
지원플랫폼으로공유하며,적극적으로개방형R&D생태계조성에기여할것이다.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R&D 혁신을 통한 
연구성과 극대화 및 문화를 
조성한다

오픈소스 거버넌스

2.

역할및책임

전사적이고체계적인오픈소스R&D활동을지원하기위하여2017년전사적전담조직인
오픈소스센터를설립하여운영해오고있으며,오픈소스거버넌스고도화실현을위하여다음과
같은업무들을추진하고있다.

오픈소스 거버넌스
고도화

•오픈소스연구활동원규제정및개정
•전주기오픈소스연구개발을위한표준프로세스정의
•오픈소스공급망관리프로세스구축및지원
•오픈소스위원회,오픈소스전문위원및오픈소스심의위원회운영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시스템구축및지원
•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개발플랫폼)구축및지원
•오픈소스R&D비즈니스모델개발
•오픈소스공개및커뮤니티시스템구축및지원
•기타오픈소스관련법률,커뮤니티활동및홍보지원등

오픈소스 연구활동

총칙

오픈소스연구

오픈소스SW라이선스

오픈소스공개

오픈소스검증

외주SW결과물관리

오픈소스연구결과

오픈소스R&D플랫폼

구성,위원회임무,위원,위원회운영,결과조치

임무,자격기준,정원,임기,선임,평가및대우,운영및지원

오픈소스심의위원회설치및기능,
오픈소스심의위원회구성,오픈소스심의위원회운영등

구성,활동,활동결과,지원

오픈소스위원회

오픈소스전문위원

오픈소스심의위원회

오픈소스 커뮤니티

오픈소스제도

08

09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I  오픈소스 거버넌스

담당자

지원 업무

오픈소스센터

오픈소스 거버넌스 OSPO(Open Source Program Office) 

•오픈소스정책수립과거버넌스대응총괄
•ETRI연구개발표준프로세스개정및SW결과물의품질향상협력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환경구축및운영
•오픈소스연구개발및공개SW사업수행을위한제도개선협력
•오픈소스연구개발활동지원(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구축등)
•오픈소스SW사업현황및지원협력
•오픈소스기여자/커미터양성및커뮤니티활동지원
•SW결과물배포에따른오픈소스심의제도협력
•대외오픈소스정책및기술협력및대응

오픈소스위원회

오픈소스 활동 관련 정책 결정 및 이슈 대응 방안 합의

•원내오픈소스거버넌스구축및커미터양성관련전략

세부실행계획,주요추진방안등에대한검토,원내의견수렴

•정부의오픈소스SWR&D정책및제도관련한원차원의대응전략

주요이슈에대한원내의견수렴

•오픈소스전문위원자격심의및활동평가
•오픈소스심의위원회활동및활동보고서검토
•오픈소스거버넌스관련주요이슈에대한연구원차원의합의도출

오픈소스전문위원

원내의 오픈소스 연구개발 활동 및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 지원 

•오픈소스연구활동원내총괄및조율
•오픈소스커미터또는그에준하는역할수행
•오픈소스관련동향분석및전략제시
•원내오픈소스연구활동지원및전문가육성교육
•오픈소스심의위원회활동
•기타오픈소스위원회에서필요하다고인정한사항

오픈소스심의위원회 

SW결과물 공개 또는 기술이전을 위한 오픈소스 위험성 심의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공개/배포적정성에관한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라이선스활용및적정성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특허포함여부및관리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라이선스검증결과및

의무사항이행에관한사항

•공개대상에대한산업통상자원부고시상국가핵심기술해당여부확인
•기타오픈소스공개및기술이전에필요한사항

담당자

지원 업무

사업/기획/행정부서

오픈소스 거버넌스 업무 협력

•ETRI연구개발표준프로세스개정및SW결과물의품질향상협력
•오픈소스연구개발및공개SW사업수행을위한제도개선협력
•오픈소스SW사업현황및지원협력
•SW결과물배포에따른오픈소스심의제도협력
•공급망(용역/위탁/공동연구)SW결과물의오픈소스관리협력
•오픈소스연구활동대외홍보협력
•기타오픈소스거버넌스를위해필요한시스템개선활동

연구부서

오픈소스 관련한 제도 및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개발 활동 수행

•오픈소스사용에따른위험성사전관리
•안전한오픈소스사용
•오픈소스기여활동추진

구성원의무

1

 OSPO(OpenSourceProgramOffice):조직의오픈소스관련업무를집중적으로하는부서.오픈소스의사용,

 배포,검사및관련정책수립,개발자교육,컴플라이언스보장등의활동수행

10

1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I  오픈소스 거버넌스

4.

R&D수행모델

ETRI는수행중인다양한형태의프로젝트성격에따라서최적화된연구개발(R&D)수행전략을
수립하여수행할수있도록지원하고있다.R&D과정을통해서개발되거나개발된SW결과물을
개발하는시점과방법에따라서각기다른형태의연구개발모델을제시하고있다.오픈소스
R&D수행모델은공통적으로개방형협력을가장중요한가치로실현하는것을목표로하고
있으며조직내부의협력을넘어외부와의협력을통한지속적인R&D혁신을추진하고있다.

ETRI는내외부참여자의자유롭고지속적인커뮤니티활동을지원해오고있으며이는오픈
소스커뮤니티활성화제고와출연연중심의새로운협력연구개발문화로정착되고있다.
오픈소스커뮤니티기반협력연구개발문화는내부연구개발사업의이너소스역량강화로
이어져원내다양한R&D혁신과변화를이끌어내고있으며,혁신을공유하는데중요한
매개체로개방형R&D생태계를조성하는기반이되고있다.

ETRI는오픈소스R&D전주기프로세스를확립하고ETRI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커뮤니티
플랫폼운영하고있으며,이를통해출연연중심의오픈소스활동강화로개방형R&D혁신을
통한미래ICTR&D연구성과극대화를이루고자한다.

오픈소스 활동 강화로  
개방형 R&D 혁신을 통한 
R&D 연구성과 극대화를 
이루고자 한다

3.

대응체계

ETRI는전사적인오픈소스거버넌스대응을위하여전담조직인오픈소스센터를중심으로
연구개발부서와기획·행정부서등을포함한전부서와의협력하에이루어지고있다.오픈소스
기반연구활동을위하여커뮤니티와개방형R&D플랫폼을통한교육및컨설팅까지다양한
지원을하고있으며,공급망관리를위해관련행정부서와도협조체계를구축하여운영하고
있다.

오픈소스연구개발대응을위한제도를기반으로기획·행정부서들과원규/품질/사업/지식재산/
구매/자산/글로벌협력/홍보등다양한부서와협력및지원을추진하고있다.또한대외적으로
정부및유관기관과오픈소스연구개발활성화및오픈소스생태계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도
개선등의이슈에협력하고있다.외부기업및커뮤니티들에대해서도필요한경우기술및
활동을지원하고있다.

오픈소스 연구개발 대응을 위한 
제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R&D를 지원하고 있다

ETRI오픈소스거버넌스대응체계

ETRI오픈소스R&D수행모델

오픈소스 커뮤니티 플랫폼

외부공개

내부공유및협업

표준 개발

특허 개발

라이선싱 및 IPR 모델

라이선싱 및 IPR 모델

외부+내부개발자

공통저장소

InnerSource

커뮤니티

OpenSource

커뮤니티

InnerSource

커뮤니티

OpenSource

커뮤니티

라이선싱 및 IPR 모델

내부공개

외부공개전환(필요시)

연구결과물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R&D

(과제수행)

내부개발자

품질관리

지식공유

제도기획

사업관리

기술이전

지식재산

구매조달

홍보

기획/행정

업무협력

커뮤니티 활동 가이드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협업+저장소)

비즈니스 모델 제공

  커뮤니티/커미터 활동지원

교육 및 컨설팅

기업 및 커뮤니티

기술지원 활동지원

연구부서

개방형R&D

커뮤니티

개방형R&D

커뮤니티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정부 및 유관기관

정책협력 과제수행

ETRI오픈소스거버넌스
국제표준재인증(‘24.12.)

클리어링

하우스

오픈소스

위원회

가이드

컴플라이언스

전문위원제도

외부 오픈소스

커뮤니티

12

13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오픈소스 R&D

전주기 프로세스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오픈소스활동

오픈소스심의제도

SW공급망관리

II  오픈소스 R&D 활동 
오픈소스 기반 R&D 혁신으로 선도기술 신속개발과 혁신선도 지원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1. 오픈소스 R&D 전주기 프로세스

16

2.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17

3. SW공급망 관리

18

4. 오픈소스심의 제도

20

5. 오픈소스 활동

2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16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17

사업수주

과제계획

과제실행

관리

요구사항

관리

위험관리

외주관리

인도

커뮤니티

관리

의사소통

관리

이해관계자

관리

과제관리 프로세스 범주

요구사항

정의

구조설계

상세설계

구현

통합시험

시스템

시험

소프트웨어

공개

SW 연구개발 프로세스 범주

기술

계획

예산

관리

인력

관리

교육

훈련

자산

관리

지적재산

관리

기반

환경

오픈소스

SW관리

품질

개선

조직기반 프로세스 범주

개발지원 프로세스 범주

형상관리

품질보증

개발환경관리

동료검토

측정분석

ETRI연구개발표준프로세스

수정프로세스

추가프로세스

1.

오픈소스R&D전주기프로세스

연구개발업무를보다효과적이고효율적으로수행하기위한체계적인‘ETRI연구개발표준
프로세스’는과제관리프로세스범주,다양한사업수행을위한생명주기프로세스범주,
개발지원프로세스범주,조직기반프로세스범주및프로세스조정프로세스범주로구성되어
있다.

오픈소스연구개발과제수행을위해커뮤니티관리프로세스,소프트웨어공개프로세스,
오픈소스소프트웨어관리프로세스를정의하고,오픈소스연구활동계획,외주SW결과물관리,
공개,라이선스검증,저장소,커뮤니티관리등의활동을수행하고있다.

사업은 규모와 특성 그리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사업 수행에 적합한 
프로세스로 조정하여 활용한다

2.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

ETRI는연구개발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오픈소스리스크2를최소화하기위해,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3관리체계를구축하여운영하고있다.연구개발프로세스의모든단계에서
적절한오픈소스라이선스검증방법을제공한다.또한AI등신기술의활용이크게증가함에
따라,기존관리체계를범위를확대하고체계를고도화하여새롭게발생할수있는리스크에
대응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

2.1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관리체계
ETRI는SW개발주기의모든단계에서적합한대응체계를활용하여오픈소스리스크를
최소화한다.SW개발단계에서는저장소와컴플라이언스시스템과의연동을통해자동화된
오픈소스식별기능을제공한다.개발완료단계에서는의무화된오픈소스라이선스검증
절차를운영한다.공식적인검증절차에는오픈소스라이선스의무사항준수여부,특허및
저작권,의존성및보안취약점에대한검사가포함된다.최종적으로SW결과물의외부배포
전에는연구원내의전문가들로구성된오픈소스심의위원회를통해배포될SW의오픈소스
리스크를점검한다.

ETRI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는검증기능의강화와함께검증의편의성을극대화하는
방향으로나아가고있다.또한최근큰이슈가되고있는보안취약점사고를최소화하고안전한
SW공급망관리체계가시스템적으로구축될수있도록고도화하고있다.

2

 오픈소스리스크:SW개발결과물이활용한오픈소스의라이선스위반이나오픈소스가가지는보안취약점노출로

인해발생가능한위험성

3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오픈소스라이선스의의무충족및보안취약점제거를통해오픈소스리스크를최소화하는

프로세스

배포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관리체계

SW 개발 단계

자동화된

오픈소스식별

SW 개발 완료 단계

라이선스검증
프로세스수행

SW 배포 단계

오픈소스심의

추진

라이선스

검증결과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강화 및 
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II 

오픈소스 R&D 활동


background image

18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19

4

 미국(EO-14028),EU(CyberResilienceAct),한국(소프트웨어진흥법),중국,영국,일본등

3.

SW공급망관리

ETRI연구개발환경은오픈소스SW활용과생성형AI서비스로인해SW복잡성증가,사이버
보안위협증가,개발방법론변화,소스(코드,라이브러리,데이터)저작권,그리고규제및규정
준수요구사항등으로인해SW결과물의내부재활용과기술이전및공개에대한신뢰성과
안전성확보를더욱어렵게하고있다.

이에,외주SW결과물에대한오픈소스관리필요성이대두되어오픈소스연구활동요령원규가
제정되었으며,용역과제(’21년~)와위탁연구(’23년~)에대한오픈소스관리를공식적으로
제도화하여시행하고있다.

제19조

오픈소스공개담당자(발주담당자)는외주용역·시제품·위탁계획서에

(계획단계)

 SW결과물의오픈소스관리계획,검증계획,공개계획을수립하여야

한다.

제20조 

오픈소스공개담당자(발주담당자)는외주용역·시제품·위탁SW결과

(검수단계)

 물의검수시발주계획서와오픈소스SW라이선스검증결과서를확인

하여내부사용,공개,기술이전에따른위험이없는지확인하고검수부
서와협의하여검수하여야한다.

원규

SW결과물 품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 제고를 위해 
SW생명주기와  
이해당사자 관점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

SW공급망관리범위는SW결과물에대한품질신뢰성과안전성확보를위해SW결과물생명
주기와이해당사자관점을모두고려하고있다.

SW공급망관리범위

SW생명주기

기획,개발,시험,배포등의

비용과시간절약

기술이전, 공개

라이선스정책준수,보안위협대응,

고객만족도제고

용역, 위탁, 공동연구

외주SW결과물에대한라이선스

정책준수,보안위협대응

이해당사자

기민하게모든이해당사자

(연구부서,기술이전받는기업및제3자등)

에게SW결과물투명성제공가능

원외

SW공급망관리운영개념도

SW생명주기 기반 SW공급망 관리

오픈소스센터

개방형오픈소스R&D플랫폼

외주기관

SW자산+SBOM

SW라이선스

검증결과서

소프트웨어

고객

SW자산+SBOM

소프트웨어

SW자산+SBOM

공개사이트

연구부서

SW자산+SBOM

품질혁신실

보안취약점 관리
라이선스 준수 관리

원내

공개

기술이전

오픈소스심의위원회

기술이전실 지적재산실

아웃바운드 행정 관행

구매조달실

용역과제

위탁과제

공동연구

인바운드 행정 관행

SW개발 프로세스

과제 SW결과물 등록행정관행

DEP

LOY

OP

ER

AT

E

RE

LE

AS

E

TES

T

BUILD

CODE

DEV

OPS

PL

AN

MON

ITOR

사이버보안위협증가,각나라및지역별각종규제및라이선스규정준수요구4강화는SBOM
(SoftwareBillofMaterials)기반SW공급망관리를필요로하고있다.

ETRISW공급망관리운영개념도는아래와같으며,SBOM을통해모든이해당사자는기민하게
SW결과물스캔없이SW구성요소,의존성및보안취약점정보를바로파악할수있다.

SW공급망관리를통해준법성위반및특허보복조항관련위험성을식별하고공유하여연구부서
스스로SW결과물안전성과지식재산권보호에도움을주고있다.’24년8월부터연구부서가
SW공급망관리주체자역할로수행하도록하여,실효적SW공급망관리가가능하도록운영하고있다.

2.2인공지능모델,데이터관리(안)
최근생성형인공지능기술의활용으로학습모델,데이터세트에대한저작권,라이선스등에
대한법적분쟁이대두되고있다.관련하여인공지능모델개발과정에서유의해야할저작권,
라이선스관리에대한이슈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인공지능데이터세트활용시사용가능성,라이선스,법/규정,제작가능,상용화,공개,

도구여부확인

•인공지능학습모델활용시사용가능성,상용화,공개,서비스이슈확인
•인공지능학습모델및데이터세트활용시라이선스,저작권,상용화가능여부점검


background image

20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21

4.

오픈소스심의제도

SW결과물의공개및기술이전을위해오픈소스,지식재산,공개,기술이전및품질정보
등에대한문제점을체계적으로관리하기위해오픈소스심의제도를운영한다.오픈소스
심의위원회는오픈소스위원,오픈소스전문위원,품질전문가,오픈소스센터원등5명으로
구성한다.오픈소스심의의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연구원 SW결과물의 대외 공개, 기술이전에 따른 소스코드, 오픈소스 라이선스, 
지적재산권(특허, 저작권) 등에 대한 통합 관리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공개/배포적정성에관한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라이선스활용및적정성에관한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특허포함여부및관리에관한사항
•공개또는기술이전대상SW결과물의라이선스검증결과및의무사항이행에관한사항
•공개대상에대한산업통상자원부고시국가핵심기술해당여부확인
•기타오픈소스공개및기술이전에필요한사항

업무관련근거자료:원규오픈소스연구활동요령[제5장오픈소스심의위원회]

오픈소스심의준비

•공개계획서
•소스
•오픈소스소프트웨어라이선스검증결과서
•SW정적분석서
•공개를위해필요한문서

(LICENSE,README,NOTICE,AUTHOR,
CONTRIBUTION등)

•오픈소스심의신청서
•소스
•오픈소스SW라이선스검증결과서

공개인 경우

기술이전일 경우

5.

오픈소스활동

오픈소스커미터로여러프로젝트에참여하여오픈소스개발방식및문화를직접경험하고
체득할수있으며,공식릴리스이전에변화의흐름을파악하고신속하게대응할수있다.또한,
주요글로벌컨퍼런스발표자선정에참여하고,국내행사지원및국내오픈소스활동을해외에
홍보하며우리나라와ETRI를알리고있다.이를바탕으로오픈소스활동사례를소개하고자한다.

5.1.오픈소스전문인력

•손석호선임연구원

Kubernetes(쿠버네티스)와CNCF(CloudNativeComputingFoundation)
등클라우드컴퓨팅분야의오픈소스프로젝트에서메인테이너및컨트리
뷰터로활동하고있다.Kubernetes는전세계에서가장널리사용되는
컨테이너오케스트레이션플랫폼으로,Google,MS,AWS,IBM,NVIDIA

등주요빅테크기업은물론다양한산업분야에서도입이확산되고있는글로벌오픈소스
프로젝트다.손석호전문위원은Kubernetes공식사이트와기술문서를관리하는SIG-
Docs에서LocalizationSubproject리드와Kubernetes/website저장소메인테이너를맡고
있으며,CNCF에서는CloudNativeGlossary메인테이너로서클라우드네이티브기술용어
표준화작업을진행하고있다.또한,Cloud-Barista에서멀티클라우드인프라관리기술을
제공하는CB-Tumblebug오픈소스프로젝트를개발및리딩하고있다.국내오픈소스생태계
활성화를위해발표와멘토링등다양한활동을이어가고있으며,ETRI를비롯한국내오픈소스
활동을글로벌커뮤니티에알리는데에도힘쓰고있다.이러한공로로CNCF글로벌앰버서더로
선정되었으며,2022년에는미국에서KubernetesContributorAward를수상한바있다.

국내 및 국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글로벌 기술과 문화를 
선도한다

오픈소스심의절차

오픈소스심의 안건

확인 및 문서 검토 

오픈소스심의 

방법 및 위원 선정

대면혹은서면심의로

심의위원5명선정

오픈소스심의

제공되는자료확인

심의결과

심의위원과반수

동일의견으로결정

SW결과물의 공개 및  
기술이전을 위해 오픈소스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심의 제도를 운영한다

예전에 연구과제 업무 차원에서 글로벌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을 제안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시  커뮤니티의  반응은  “기존에  활동하던  사람이  아니라서  신뢰하기 
어렵고, 해당 영역을 확장하는 것도 조심스럽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오픈소스 
기반 기술에서 협력하고 리더십을 확보하려면 커뮤니티 내에서의 지속적인 활동이 필수적 
이라는 점을 실감했습니다. 오픈소스 기여 활동이 즉각적인 보상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 
지만, 글로벌 전문가들과 소통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또한, 
해당 분야의 최신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프로젝트 유지·관리 역량을 키울 수 있으며, 
글로벌 전문가 및 기관과 협업할 수 있는 또 다른 채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큽니다.


background image

22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23

•서지훈선임연구원

현재CNCF내CloudNativeGlossary프로젝트의커미터로활동하고있다.
CNCF(CloudNativeComputingFoundation)는Google이쿠버네티스를
리눅스재단(LinuxFoundation)에기부하면서파생된재단으로,클라우드
네이티브어플리케이션및서비스를구성하는최신기술을발전시키고,

개발자들이오픈소스기술을최대한활용할수있도록하는것을목표로한다.그리고Cloud
NativeGlossary프로젝트는어렵고생소한클라우드네이티브분야의용어를공급업체중
중립적(vendor-neutral)관점에서설명하여,개발자뿐만아니라비즈니스담당자및임원등
의사결정관련자도쉽게이해할수있도록돕는것을목적으로한다.

이주철전문위원은2018년부터OCFBridgingTG(TaskGroup)의의장을맡고있으며,해당
그룹에서개발·관리하는OCFBridgingFramework규격의에디터역할을수행하고있다.
또한,OCF와비(非)-OCF생태계간연동을위한다양한규격(예:OCF↔BLE,OCF↔EnOcean,
OCF↔Matter)과OCFCoreFramework관련규격을단독또는공동으로개발했다.이러한
공로를인정받아2018년,2019년,2020년OCFOutstandingContributorAward를연속
수상했다.

IoTivity-Lite오픈소스프로젝트에서는OCF와Non-OCF기기간브릿징을위한기반
메커니즘인“OCFBridgingFramework”규격을구현한IoTivity-LiteBridgingsupport기능을
비롯하여,OCF브릿지디바이스에서하나이상의Non-OCFTranslationPlugin모듈들을
관리하는BridgeManager기능,Non-OCFTranslationPlugin모듈의하나로OCF와Matter간의
연동을위한“OCFResourcetoMatterClusterMapping”규격을구현한MatterTranslation
Plugin모듈,그리고이모든브릿징기능을관리하는BridgeCLI기능등을개발하여IoTivity-Lite
Githubproject에기여하였다.

•이영완선임연구원

“거인의 어깨 위에 서다”
최근AI기술의급격한발전에기여한주요요소중하나는오픈소스일
것이다.정확히는연구결과물-학습및추론코드,학습데이터,학습된
모델체크포인트-이논문과함께공개되어,AI커뮤니티에또다른후속

연구와파생연구가가능해지는선순환이형성되었다.

이영완선임연구원또한글로벌빅테크과세계유수의연구기관이구축해놓은훌륭한베이스
라인을발판삼아연구를진행해왔으며,이를통해AI기술발전에조금이나마기여할수있었다고
생각한다.

AI발전과기술공개를선도하는대표적인그룹중하나는AI탑티어컨퍼런스다.이러한
컨퍼런스에서는단순히논문제출에그치지않고,코드와데이터,학습된모델을함께공개할
것을권장하며,공개할수록논문심사에긍정적인영향을받게된다.이영완선임연구원
또한논문을공개할때코드와학습된모델을동시에공개하고자최대한노력하고있으며,
MPViT(CVPR’22),KOALA(NeurIPS’24)등이그사례다.이처럼,오픈소스를공개한덕분에다른
파생연구에서논문인용이활발히이루어졌으며,기술이전업체에서도사전에오픈소스를
활용해본후기술이전을요청하는경우가많아졌다.이러한연구환경이가능했던것은이미
공개된훌륭한오픈소스라는‘거인의어깨위’에올라탈수있었기때문이다.

앞으로도계속연구결과물을공개하며AI발전에기여하고자하며,특히,AI기술이발전함에

•이주철책임연구원

현재OCF(OpenConnectivityFoundation)의IoTivity-Lite프로젝트의
커미터로활동중이다.OCF는하부전송기술에독립적으로다양한사물
인터넷장치간의연동을지원하는IP기반표준화된연결기술을개발하는
것을목표로하고있다.IoTivity-Lite는OCF표준을구현한오픈소스

구현체이며OCF에의해서배포및관리되고있다.

2019년, 새로운 조직으로 옮기면서 새로운 연구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과제는 
오픈소스 형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과제원 모두가 오픈소스 기반의 
연구개발 방법을 함께 익히고 발전시켜 나가며 실제 업무에도 적극 활용했습니다.

당시 같은 조직에 있었던 손석호 전문위원께서 이미 Kubernetes(K8s) 커뮤니티 등 다양한 
오픈소스 활동을 하고 계셨는데, 저에게도 함께 활동할 것을 권유하셨습니다. 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몇 년간 오픈소스 활동을 하다 보니, 세계 각국의 다양한 기여자들과 그들의 활동을 접할 
수 있었고, 여러 프로젝트, 소스 코드, 라이선스, 커뮤니티를 경험하며 많은 모범 사례(best 
practices)를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는 연구개발 과제 수행에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수행 
중인 연구개발 과제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아니더라도, 타 오픈소스를 활용하거나 추후 
기술 이전·공개 시 라이선스 적정 적용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오픈소스를 
활용한 PoC(Proof of Concept)도 더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이 길러졌습니다.

오픈소스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존재하며,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여자들이  정말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과 방법론(소스 버전 관리, 협업 방식, 커뮤니케이션 등) 
연구개발 과제나 사이드 프로젝트에 적용된다면, 비록 오픈소스 과제가 아니더라도 협업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ackground image

24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25

따라AI안전성이중요한화두로떠오르고있다.AI안전성을확보하기위해오픈소스문화가
중요하다는주장이YannLecun과같은AI대가들로부터제기되고있으며,AI안전성연구에
큰관심을갖고,보다활발한연구를수행하고그결과물을공개하기위해지속적으로노력할
계획이다.

•박찬성선임연구원

인공지능분야에서Google의오픈소스기술발전에기여하는커뮤니티
집단인AI/MLGDE(GoogleDeveloperExperts)의일원이자,Transformer
아키텍처기반AI오픈소스생태계를이끄는HuggingFace의Fellow로
활동하고있다.또한,유럽지역에서생성형AI오픈소스기술을선도하는

Mistral.AI의Ambassador이며,AI학습및추론을위한클라우드GPU인프라를추상화하여제어/
관리하는dstack.ai의Ambassador로도활동중이다.

AI/MLGDE멤버로서,AI업계에서널리사용되는TensorFlow를MLOps에도입을지원하는
TFX(TensorFlowExtended)오픈소스프로젝트의핵심구현체개발에참여했으며,Layered
Prediction,ContinuousAdaptationonDataDrift등의다양한PoC유스케이스를기반으로
오픈소스프로젝트를진행하였다.이러한공로를인정받아2020년,2021년,2022년TensorFlow
TopRegionalContributor(EastAsia)및다섯차례의TensorFlowCommunitySpotlight를
수상했다.또한,Keras를활용해StableDiffusion에Dreambooth기술을최초로접목한오픈소스
프로젝트를구현하여KerasCommunityPrize2등을차지하기도했다.

AI분야의발전을위해서는특정기술이나플랫폼에대한전문성을갖추는것뿐만아니라,
다양한커뮤니티와협력하며폭넓은시야를가지는것이중요하다.하나의기술만집중하는것이
아니라,여러기술을이해하고융합하여새로운가치를창출할수있어야한다.또한,오픈소스
생태계에적극적으로참여하여다양한사람들과협력하고,서로의지식을공유하며함께
성장하는것이중요하다.

AI기술은빠르게변화하고발전하는분야이므로,끊임없이배우고새로운기술을받아들이는
열린자세가무엇보다중요하다.

5.2.오픈소스커뮤니티
ETRI는다양한오픈소스프로젝트를통해연구성과를공개하고있다.공개한프로젝트들이
지속적으로발전하고확산하기위해서는오픈소스프로젝트와커뮤니티의활성화가필수적
이다.ETRI는오픈소스커뮤니티를기반으로새로운기술을개발하고확산하기위해많은노력을
기울이고있으며,이를통해여러오픈소스커뮤니티의활동사례를소개하고자한다.

•Cloud-Barista(https://github.com/cloud-barista)

“클라우드바리스타(Cloud-Barista),글로벌스케일로시작하다”

클라우드바리스타는국내멀티클라우드기술의조기확보및확산을목적으로공개SW기반의
정부R&D과제와함께2019년4월에개설된개발자커뮤니티이다.클라우드바리스타의미션은
멀티클라우드산업생태계에요구되는공통핵심SW를개발하여,중복개발비효율성을
개선하고누구나자유롭게사용할수있는공개SW로제공함으로서클라우드산업활성화에
기여하는것이다.특히,멀티클라우드서비스개발공수의70~80%에해당하는공통기반
기술을제공하여국내기업의신속한솔루션및서비스확보를통한멀티클라우드시장의
경쟁력을강화하는것을목표로한다.

클라우드바리스타는개발초기의개념,설계,개발,시험,활용에이르는SW개발전주기를공개
SW커뮤니티기반으로추진함으로써미래기술수요자들에게자연스럽게스며드는기술
내재화를추진하였다.또한,개발중생성되는모든소스코드와문서,노하우의일체를온라인
으로공유하고결과물을다양한공유채널을통해제공하여수요자의접근효율성을높이고
있다.

Cloud-Barista결과물의공유체계

https://github.com/cloud-barista

https://www.youtube.com/@cloud-barista

https://www.slideshare.net/cloud-barista

https://www.facebook.com/groups/

cloud.barista.community

소스코드

문서산출물

발표자료

동영상

유용한 정보

깃허브

유튜브 채널

슬라이드쉐어

페이스북 그룹

공개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운영한다

프로젝트 리더: 

강동재실장

Cloud-Barista프로젝트
(https://github.com/cloud-barista)


background image

26

II  오픈소스 R&D 활동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27

클라우드바리스타커뮤니티는ETRI를중심으로다수의기업들이참여하고있으며60여명의
개발자가활동하고있다.총30개의소소코드저장소에약50만라인의코드를자체개발
하였으며,연평균2천회커밋을하고있다.클라우드바리스타는연2회소스코드릴리즈와함께
자체컨퍼런스를개최하고있다.

•TANGO(https://github.com/ML-TANGO)
TANGO(TArgetAwareNo-codeneuralnetworkGenerationandOperationframework)는타겟
적응형노코드신경망자동생성기반의MLOps5프레임워크를개발하는오픈소스프로젝트이다.
TANGO의목표는전문지식이없는사용자가코드개발작업을거의하지않고손쉽게신경망

Cloud-Barista소스코드릴리스및컨퍼런스계획

2019년

2023년

2020년

2024년

2021년

2025년

Cloud-BaristaSeason1(CoffeeTime)

Cloud-BaristaSeason2(TeaTime)

2022년

2026년

2027년

2028년

아메리카노

’19. 11.

카푸치노

’20. 6.

에스프레소

’20. 11.

시나몬

’24. 6.

다즐링

’24. 11.

캐모마일

’23. 11.

카페모카

’21. 6.

아포가토

’21. 11.

얼그레이

’25. 6.

진저

’25. 11.

카페라떼

’22. 6.

코르타도

’22. 11.

히브스커스

’26. 6.

자스민

’26. 11.

라벤더

’27. 6.

레몬그라스

’27. 11.

페퍼민트

’28. 6.

루이보스

’28. 11.

시즌 1

시즌 2

Cloud-Barista프로젝트참석자들

애플리케이션을개발하고,이를디바이스에배포할수있도록돕는자동신경망생성및배포
프레임워크를개발하는것이다.이를위해,TANGO는신경망시각화도구와같이코드를
작성하지않고도사용자가사용할수있는환경을제공하며데이터준비,신경망모델생성및
대상디바이스에대한최적화는TANGO프레임워크내에서수행할수있다.

TANGO프로젝트는개발초기부터커뮤니티를기반으로개발을수행하였으며,개발전과정에서
생성된소스코드와개발문서등기술노하우전체를공개하고있다.TANGO는매년상반기,
하반기2번릴리즈버전을공개하고있으며,하반기릴리즈에맞추어공개컨퍼런스를개최한다.
TANGO컨퍼런스는산업계,학계,연구계의많은기관이참여하고있으며,다양한분야의
사람들이참석하여교류하고있다.

•오픈소스테크데이행사개최
ETRI는개발자와커뮤니티간의교류및협력을지원하고다양한오픈소스활동에관한관심과
참여를유도하기위해ETRIOpenSourceTechDay(EOST)행사를개최한다.EOST는여러
출연연구기관이공동주관하는행사로출연연구기관의성과를공유하고확산하는역할을
한다.ETRI는출연연구기관들과힘을모아오픈소스협의체를만들어출연연구기관간다양한
오픈소스활동도추진하고있다.

5

 MLOps(MachineLearningOperations)으로단순히기계학습모델의개발뿐만아니라,데이터수집/분석부터

모델학습/배포까지전과정을하나의AI라이프사이클로보고통합개발을지원하는도구

3차컨퍼런스

TANGO프로젝트운영진

TANGO프로젝트
(https://github.com/ML-TANGO)

(리더:조창식책임연구원)

(2024.12.5.,과총회관)

프로젝트 리더: 

조창식책임연구원


background image

557

라이선스 검

35 

오픈소스 프

로젝트

ETRI 오픈소스 공개사이트

129

 저장소

206

 개발자

III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시스템(OLA)

대시보드

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CONNE

CT)

1. 오픈소스 개방형 R&D 플랫폼(CONNECT)

31

2.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시스템(OLA) 

32

3. ETRI 오픈소스 공개사이트 

34

4. ETRI 상위 10대 라이선스 및 오픈소스

35


background image

30

III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3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CONNECT는 연구원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연구개발 문화 혁신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CONNECT홈페이지

III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1.

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CONNECT)

ETRI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Connect)은연구개발활동을지원하기위한통합개발
인프라로연구성과및생산성을극대화하기위한다양한기능을제공한다.Connect는
ETRI에서수행하는다양한형태의소프트웨어개발프로젝트를효율적으로관리할수
있도록연구원들을돕는다.Connect는Git기반저장소를중심으로프로젝트의개발,테스트,
배포를지원하기위한CI/CD파이프라인을제공하며,개발단계에서오픈소스라이선스및
보안취약점을검증할수있도록지원한다.또한,Connect는연구원의연구개발역량강화및
연구개발문화혁신을위해각종교육콘텐츠를제공한다.

주요 특징

•프로젝트관리
•CI/CD지원
•Git기반저장소지원
•대시보드(통계정보)

•라이선스및보안취약점

검증제공

•기타오픈소스공개및

기술이전에필요한사항

GitHub클라우드

현재SW공동연구플랫폼(Git)과GitHub의ETRI조직을운영하고있다.Git은오픈소스
연구개발과공동연구기관의협업개발(용역및위탁)을위해코드를안전하게관리하고개발
과정에서발생하는이슈추적및버전관리가가능하다.특히,Git은CI/CD파이프라인을이용
하여코드변경시자동으로테스트,빌드,배포가가능하도록개발환경을제공하고있다.
GitHub클라우드의ETRI조직은ETRI오픈소스의공개를위해운영하고있으며,현재40개의
프로젝트를공개하여ETRI의기술을누구나자유롭게이용할수있도록하고있다.


background image

32

III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33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OLA시스템

2.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시스템(OLA)

ETRI는연구개발SW결과물의오픈소스리스크를최소화하기위해OLA6를구축하여운영
하고있다.OLA는오픈소스라이선스충돌,라이선스의무사항불이행,특허이슈그리고보안
취약점이있는코드사용방지를위한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시스템이다.

OLA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주요 특징

•프로젝트기반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통합관리(라이선스,특허,보안취약점,의존성등)
•오픈소스인벤토리서비스(최신오픈소스,라이선스,보안취약점,의존성정보등)
•검증이력및검증노하우관리
•SBOM관리를위한SPDX서비스
•오픈소스심의신청및심의결과서지원

6

 OLA(OSSLicenseAutomation):오픈소스FOSSLight기반으로구축한ETRI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시스템

OLA기반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절차

자체개발

오픈소스 사용

재검증

프로젝트

오픈소스분석

검증결과서

신청

라이선스식별

(의존성검사포함)

자체개발코드

인지확인

재검증여부

결정

“최종라이선스

검증결과서”

다운로드

검증결과서자동발행

(보안취약점,

의존성정보포함)

OLA는연구원내부로유입되거나외부로배포되는모든SW에대해라이선스검증,보안취약점
검사및의존성검사를수행하여공식적인오픈소스라이선스검증결과서를발급한다.또한
모든SW개발단계에서소스코드스캐닝및오픈소스정보분석을지원하기위한다양한검증
방법을제공한다.소스코드저장소와연계한자동검증과고지문자동생성등을제공하여
사용편의성을높이고,체계적으로관리되는오픈소스DB를구축하여오픈소스SW,오픈소스
라이선스,보안취약점등풍부한오픈소스관련정보를제공한다.안전한SW공급망관리를
위해SBOM을SPDX,CycloneDX표준포맷으로제공하며,SW결과물의외부배포를최종
점검하기위한오픈소스심의절차관련기능도OLA를통해제공한다.

Connect의교육페이지를이용하여오픈소스관련강의를제공한다.특히오픈소스기술에
특화된온라인교육영상으로오픈소스라이선스,오픈소스소프트웨어생태계,오픈소스
거버넌스,오픈소스비즈니스,오픈소스프로젝트운영의체계화된학습이가능하다.

오픈소스교육수강페이지


background image

34

III  개방형 오픈소스 R&D 플랫폼

35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3.

ETRI오픈소스공개사이트

ETRI는다양한분야에서연구개발을수행하고있으며AI,클라우드,IoT,블록체인,로봇등핵심
기술분야의우수한연구성과를오픈소스로공개하고있다.또한,누구나ETRI의오픈소스를
활용할수있도록ETRI오픈소스소프트웨어의정보를ETRI오픈소스공개사이트를통해
제공한다.

ETRI오픈소스공개사이트는GitHub을비롯한다양한독립저장소를통해공개된ETRI
오픈소스프로젝트들을소개하며ETRI가개최하는다양한오픈소스이벤트,ETRI의오픈소스
거버넌스를홍보한다.ETRI는오픈소스공개사이트를통해,ETRI개발오픈소스프로젝트와
우수연구성과물의외부확산을촉진하며누구나자유롭게ETRI의오픈소스프로젝트에
참여할수있도록지원할계획이다.

4.

ETRI상위10대라이선스및오픈소스

ETRI는2024년SW의외부배포(기술이전,공개)시수행하는라이선스검증은557개의
프로젝트에서진행했으면사용한오픈소스들을분석한결과,95%이상이소스코드공개
의무가없는MIT,Apache2.0,BSD등의라이선스를사용하고있다.그리고,많이활용한
오픈소스를보면jquery,Bootstrap,jQueryUI,pytorch,numpy,chartjs-Chart.js,Json.NET,
proj4js등으로확인되었다.

ETRI는 개방과 공유를 통해 
진보와 혁신이 이루어진다는 
믿음 속에서
다양한 연구성과를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한다

1  ETRI 오픈소스 공개사이트

https://opensource.etri.re.kr

2  ETRI 공식 GitHub

https://github.com/etri

ETRI오픈소스공개사이트

ETRI상위10대라이선스

1

2

1%

1%

1%

1%

1%

1%

LGPL-2.1

GPL-3.0

ISC

GPL-2.0

Zlib

Public Domain

12%

3%

BSD-2-Clause

53%

MIT

27%

Apache

-2.0

ETRI상위10대

라이선스

6%

BSD-3-Clause


background image

오픈소스확산

IV  오픈소스 확산
ETRI는 오픈소스 R&D 확산과 인식 장려를 위해 
오픈소스 교육, 비즈니스 모델 등 지원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교육

인식도 조사

오픈소스 비즈니스

1. 인식도 조사

38

2. 교육

39

3. 오픈소스 비즈니스

4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38

IV  오픈소스 확산

39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1.

인식도조사

ETRI오픈소스센터는오픈소스기반연구개발활동을지원하기위해꾸준히노력하고있다.
이러한노력의결과,ETRI의연구개발활동에서오픈소스의중요도는계속증가하고있다.
특히,연구원들의오픈소스활동경험과연구과제수행시오픈소스활용비중은인식도조사를
시작한이후매년확대되고있다.

오픈소스활용의증가와함께,오픈소스관리프로세스와시스템에대한고도화요구도함께
증가하고있다.오픈소스센터는연구원의다양한요구사항들을파악하여개선하기위해
노력하고있다.오픈소스관리체계개선을위한지속적인노력의결과,꾸준히제기되었던
라이선스검증에대한불편이감소하기시작하였다.향후,연구원의요구사항을분석하여
오픈소스업무프로세스와시스템효율화및거버넌스체계강화를추진할계획이다.

연구원의 연구개발 활동에서 
오픈소스는 핵심 요소이다

오픈소스 활동경험

2021활동경험

2022활동경험

2023활동경험

2024활동경험

60%

60

69.8%

66.5%

75.5%

2024년전직원대상오픈소스활용실태설문조사

IV

오픈소스 확산

46.2

64.5

63.6

57.0

라이선스 검증 애로사항(%)
검증프로세스+도구

66.1

68.3

68.0

72.2

오픈소스 과제활용 비중(%)

68.0

72.7

78.0

80.5

2021

2022

2023

2024

심의방법기간개선

오픈소스심의 개선사항(%)

2.

교육

ETRI는연구원의오픈소스R&D수행역량을강화하기위해다양한오픈소스교육을제공한다.
ETRI오픈소스교육은신입직원,오픈소스개발자,사업책임자,관리자등으로교육대상이
세분화되어있으며,연구원의오픈소스역량을강화하기위해교육을진행하고있다.

오픈소스교육은정기적으로외부전문가를초빙하여오프라인으로진행하는강의및실습,
전문가세미나가있으며,교육영상을통해상시제공되는온라인교육이있다.특히,온라인
교육은오픈소스개방형R&D플랫폼과교육콘텐츠개발을통해제공한다.

ETRI는오픈소스R&D혁신을위해다양한맞춤형교육을시행하며연구원의오픈소스거버넌스와
원내오픈소스업무프로세스에대한이해를높이고오픈소스R&D활동을활성화할것이다.

ETRI는 연구원의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 오픈소스 라이선스

개요, 분류(특징) / 의무사항

라이선스 양립성

라이선스 선정 고려사항

License선정주요고려사항

특허관련주요고려사항

듀얼License적용방법과사례

오픈소스 라이선스  
소송 판례와 시사점

License만문제가된경우들

상표권등다른이슈와복합적인경우

허용적 라이선스

PermissiveLicense개요

Apache2.0,BSD2.0/3.0/4.0,MIT,MS-PL,ISC,기타

약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WeekCopyleftLicense개요

LGPL2.1/3.0,MPL2.0,EPL2.0,CDDL,기타

오픈소스아카데미과목


background image

40

IV  오픈소스 확산

4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강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StrongCopyLeftLicense개요

GPL2.0/3.0,AGPL

CCL
(Creative Commons License)

BY,NC,ND,SA소개

라이선스유형및사례소개
-CC-BY,CC-BY-NC,CC-BY-ND,CC-BY-ND-SA등

최근 라이선스 이슈

최근라이선스이슈들의상황

클라우드서비스와라이선스(SSPL등)

LLM,FoundationModel의License

AI데이터셋의라이선스

AI가생성한저작물의License

2. 오픈소스 거버넌스

오픈소스 거버넌스 필요성

오픈소스 거버넌스 제도, 정책

오픈소스 거버넌스 조직, 프로세스

오픈소스 거버넌스 교육, 평가

3. 오픈소스 비즈니스 (특허 등 다른 지적 재산권을 고려)

오픈소스 비지니스 개요

사용가치·판매가치 추구형 BM 및 사례

오픈소스 비즈니스 고려사항

4.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생태계 개요와 구성원(개발자, 커미터, 메인테이너, 사용자)

주요 오픈소스 커뮤니티(구성, 운영)

주요 오픈소스 재단(조직, 운영)

주요 사용자 커뮤니티

5. 오픈소스 프로젝트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운영 방식

리파지토리구성

개발프로세스관리(GitHub기준)

Issue,PR,코드리뷰프랙티스

외부오픈소스연동방법

커뮤니티개발자수용

3.

오픈소스비즈니스

오픈소스활용비중이점진적으로증가함에따라ETRI는오픈소스R&D결과물을활용한
비즈니스모델개발을오픈소스운동의거장인에릭R.레이몬드의오픈소스사용가치와
판매가치분류모델을기반으로구분하여출연연구기관관점에서의오픈소스기반사업화
가이드를제시한다.

오픈소스비즈니스모델들을사용가치추구형모델과판매가치추구형모델로크게구분하고,
수익의원천이제품인지서비스인지에따라제품기반형,서비스기반형,제품+서비스
융합형으로구분하여각비즈니스모델들의정의,절차,고려사항,사례등을제시한다.단,
공개SW를개발하지않는조직들이주로수행하는서비스기반형모델들은오픈소스연구개발
활동과관련없으므로배제한다.

오픈소스 활용 비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ETRI는 오픈소스 R&D 
결과물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오픈소스비즈니스모델분류

사용가치 추구형 
모델

제품으로서의공개SW자체를개발하는것에의미를두기때문에서비스
보다는제품기반형모델이다.

원가및위험공유모델,국가R&D사업모델,보조금획득모델,
브랜드라이선싱모델

판매가치 추구형 
모델

오픈소스기술,제품,서비스의판매를통한수익창출을추구하는유형
으로제품기반형,서비스기반형,제품+서비스융합형모델로세분화
할수있다.

제품 기반형 
판매가치 추구 모델

출연연의목적외수익사업에대한제한으로기본적으로는간접사업화
가권장되지만창업(실험실창업,연구소기업등)을통한직접사업화도
가능한영역이다.
듀얼라이선싱모델,노픈코어모델,버전업모델,재라이선싱모델,
위젯프로스팅모델

제품+서비스 
융합형 판매가치 
추구 모델

SW제품에기반하고있지만SW를직접판매하기보다는이를공개SW
로제공하는대신다양하고지속적인부가서비스를창출하는모델로
간접사업화뿐만아니라출연연의직접사업화도적극권장할만한영역
으로판단된다.
유상기술이전서비스모델,무상기술이전서비스모델,교육&인증모델,
무료제품&기술지원서비스모델,구독모델,오픈플랫폼모델,SaaS모델,
콘텐츠모델,광고모델


background image

국제표준준수

ETRI Open Source 
Tech Day(EOST)

표준화 활동

출연연 오픈소스 

협의체

V  대외 활동
오픈소스 R&D 연구문화 정착과 건전한 SW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각적 대외 활동 수행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1. ETRI Open Source Tech Day(EOST)

44

3. 표준화 활동

47

4. 출연연 오픈소스 협의체 

48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2. 국제표준준수

46


background image

44

V  대외활동

45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1.

ETRIOpenSourceTechDay(EOST)

ETRI는오픈소스를통한연구개발혁신과생태계조성을위해2020년부터‘ETRIOpenSource
TechDay’행사를개최해오고있다.

‘ETRIOpenSourceTechDay2024’는“오픈소스,무한한가능성을향한도약”이라는주제로
2024년10월15일에개최되었다.ETRI와함께7개의정부출연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천문연구원,한국항공우주
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이공동으로행사를주관하고,출연연이추진중인항공우주,화학,
에너지,원자력,천문등연구개발분야의성과들을공유하였다.ETRI부원장의개회사를
시작으로키노트,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오픈소스와R&D,개발자와커뮤니티의주제발표가
진행되었으며핸즈온,홍보자료전시등다양한프로그램이많은관심을받았다.본행사는
오프라인으로개최되었으며,약300여명이현장참여하여성황리에행사가마무리되었다.
ETRI는2024년테크데이행사영상을ETRI유튜브채널에공개하고있으며행사프로그램
발표자료또한GitHub에업로드되어있어언제나행사자료를확인할수있다.

ETRI는오픈소스R&D성과를외부로공유·확산시키고출연연,오픈소스커뮤니티,기업들과의
협력을강화하려는방안으로본행사를지속해서개최할예정이다.

ETRI는 오픈소스 R&D성과를 
외부로 공유·확산하고 
출연연, 커뮤니티,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오픈소스 테크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1

 EOST 행사 공식 사이트 https://eostday.kr

2

 EOST 발표자료 사이트 https://github.com/eostday

3

 ETRI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etri9401

3

2

1

V  

대외 활동


background image

46

V  대외활동

47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ETRI는 연구원의 오픈소스  
대응 체계의 고도화와  
구축 경험의 확산을 위해 
국내외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ETRI는 국제표준을 준수하여 
연구원의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고도화한다

3.

표준화활동

국내표준화단체인TTA소프트웨어/콘텐츠기술위원회(TC6)내의PG602
프로젝트그룹을통해오픈소스소프트웨어개발및활용에필요한표준화
활동에참여하고있다.

TC6는국내소프트웨어및콘텐츠분야의표준개발및국내소프트웨어/콘텐츠산업체육성을
지원하기위해임베디드SW,SW품질평가를포함하여SW관련한프로젝트그룹들을구성하여
운영하고있고,오픈소스소프트웨어는PG602프로젝트그룹으로주요활동은다음과같다.

오픈소스센터에서추진한표준화활동은다음과같다.

ETRI는인증획득이후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체계를고도화하는노력을지속해나가고
있다.오픈체인인증은주로자체인증방식을권고하고있는데,이는기관마다특성에맞는
컴플라이언스체계를인정하기위해서다.ETRI는18개월마다표준을준수하고있다는것을
선언해야한다는오픈체인의권고규정에따라금년12월20일자로재인증을받았다.또한
오픈소스의보안취약점사고로인해보안보증도점점중요해짐에따라국제표준(ISO/IEC
18974:2023)을준수하여구축해나가고있다.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는기관의특성에따라정책,프로세스,시스템등이다양함에따라,
기관에적합한체계를갖추는것은시간과노력이요구된다.국제표준을준수하는ETRI의
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체계는정부출연연/공공기관등에최적화된참조모델로활용가능할
것으로기대된다.ETRI의체계를활용또는참조하고자하는기관들에는무상으로경험들을
공유할예정이다.

2.

국제표준준수

ETRI는2017년오픈소스센터를설립한후오픈소스거버넌스및컴플라이언스체계를
수립하기위해노력해오고있다.이를위해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관련국제표준인리눅스
재단의오픈체인을기반으로컴플라이언스체계를구축하는작업을시작하였다.그결과,
ETRI는2021년12월10일자로정부출연연구기관최초로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국제표준인
오픈체인인증(ISO/IEC5230:2020)을획득하였다.

오픈체인(OpenChain)은리눅스재단(LinuxFoundation)의주도로2016년부터시작된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관리규격및프로세스를정의하는프로젝트로,전세계기업들의자발적인
참여로운영되고있다.오픈체인은오픈소스사용권준수및보안취약점관리를포함한각
기관의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대응역량을평가하여국제인증을발급해오고있다.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표준인오픈체인규격이2020년에국제표준(ISO/IEC5230:2020)으로채택되어
그영향력을확대하고있으며,오픈소스보안보증규격도금년말에국제표준(ISO/IEC18974:
2023)으로채택되었다.

ETRI오픈소스거버넌스

국제표준인증(‘21.12)

또한ETRI는OpenChain프로젝트의한국사용자그룹인
OpenChain-KWG의적극적인활동을통해국내타기관들과

다양한컴플라이언스이슈나컴플라이언스대응사례들을공유하여연구원의컴플라이언스
고도화에반영하고있다.그중Legalsubgroup에적극적인참여를통해OpenChain-KWG
운영에도기여하고있다.이와같이축적한오픈소스컴플라이언스운영경험은표준화
작업에도향후적극반영해나갈예정이다.

•오픈소스소프트웨어거버넌스관리
•오픈소스소프트웨어컴플라이언스관리
•오픈소스소프트웨어공급망관리(SBOM,SPDX,OpenChain등)
•오픈소스소프트웨어개발,활용,배포,유지보수
•오픈소스소프트웨어품질및성숙도관리


background image

48

V  대외활동

49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출연연 8개 기관이 모여 
커뮤니티 기반  
협력 R&D 강화를 위한
‘출연연 오픈소스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4.

출연연오픈소스협의체

오픈소스센터는커뮤니티기반협력R&D강화를위해연구회산하출연연을대상으로오픈
소스커뮤니티협의체를구성하여‘출연연오픈소스협의체’(이하협의체)를운영하고있으며,
’22년8월발족하여8개기관이참여하고매년3~4회협의체회의를진행하고있다.

이를통해오픈소스기반R&D수행을통한출연연역량을배양할수있고,오픈소스활용시
발생가능한컴플라이언스이슈(라이선스,보안취약점등)에선제대응할수있을것이다.그리고
오픈소스커뮤니티활동을통한출연연협력문화를조성할수있다.특히,협의체기반협력
활동을통한출연연간상생협력·지속가능연구실현등ESG경영에도기여할수있을것으로
기대된다.

협의체는오픈소스커뮤니티협업문화를확산하고,출연연별거버넌스체계를구축하며,
오픈소스에대한인식을높이고오픈소스를활용한연구를활성화하는것을목표로하고있다.
이를위해출연연간오픈소스생태계협력을촉진하고발전시키는데주력하고있으며,출연연
간오픈소스정보공유와커뮤니티를통한협업활동지원을위한플랫폼인OpenCP(Open
CommunityPlatform)도구축하였다.이플랫폼의소스코드는’24년6월에GitHub사이트에
공개하여,누구나자유롭게다운로드하여활용할수있다.

협의체 주요 활동

•출연연별오픈소스활동및운영방식공유
•오픈소스R&D를위한컴플라이언스정보공유(보안취약점,라이선스등)
•워크숍및컨퍼런스등을통한협업및성과홍보등(오픈소스테크데이행사공동개최등)

참여 출연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한국식품연구원 (KFRI)

한국화학연구원 (KRIC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한국천문연구원 (KAS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1. ETRI 외부공개 오픈소스 프로젝트 

50

3. ETRI 오픈소스 관련 사이트

55

2. 공개SW 과제 목록

52

부록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


background image

50

부록

51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No.

프로젝트명

분야

저장소

1

AIR

AI

https://github.com/ai4r

2

Cloud-Barista

클라우드

https://github.com/cloud-barista

3

CICN-NRS

네트워크

https://github.com/etri/cicn-nrs

4

dotaclientQMIX

AI

https://github.com/etri/dotaclientQMIX

5

DTSim

컴퓨팅

https://github.com/etri/dtsim

6

GymProxy

AI

https://github.com/etri/GymProxy

7

IoTware

IoT

https://github.com/etri/IoTware

8

mw-nfd

네트워크

https://github.com/etri/mw-nfd

8

nest-compiler

AI

https://github.com/etri/nest-compiler

10

pbr4ai

AI

https://github.com/etri/pbr4ai

11

psdcn

네트워크

https://github.com/etri/psdcn

12

SSI

블록체인

https://github.com/etri/SSI

13

DeepGuider

AI

https://github.com/deepguider

14

GEdge-platform

클라우드

https://github.com/gedge-platform

15

SODAS-CKAN Extension

데이터

https://github.com/etri-odp

16

moca-etri

컴퓨팅

https://github.com/moca-etri

17

lge-robot-navi

로봇

https://github.com/lge-robot-navi

18

memos

컴퓨팅

https://github.com/ememos

19

edgeAI

AI

https://github.com/etri-edgeai/

20

TrainDB

AI

https://github.com/traindb-project/

21

azalea

운영체제

https://github.com/oslab-swrc/Azalea

22

aliusM

운영체제

https://github.com/oslab-swrc/aliusM

23

Hydrangea

운영체제

https://github.com/oslab-swrc/Hydrangea

No.

프로젝트명

분야

저장소

24

mkpac

운영체제

https://github.com/oslab-swrc/mkpac

25

pmperf

도구

https://github.com/oslab-swrc/pmperf

26

NEST-OS

AI

https://github.com/etri/nest-os

27

QPlayer

양자컴퓨팅

https://github.com/eQuantumOS/QPlayer

28

DiscBlock

AI

https://github.com/etri-edgeai/nn-comp-discblock

29

TANGO

AI

https://github.com/ML-TANGO/TANGO

30

RECIPE-with-pmperf

시스템

https://github.com/oslab-swrc/RECIPE-with-pmperf

31

SSI

블록체인

https://github.com/etri/SSI

32

ftsynthesis

양자컴퓨팅

https://github.com/ETRIQuantum/FTCircuitSynthesis

33

Optimus

AI

https://github.com/ai-computing/aicomp

34

주행협상 시나리오 검증 모형차량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https://github.com/AutomotiveNegotiation1

35

OPENCP

소프트웨어

https://github.com/etri/opencp

1.ETRI외부공개오픈소스프로젝트

문의처: https://opensource.etri.re.kr/contactus?lng=0

부록


background image

52

부록

53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No.

프로젝트명

분야

부서

사업책임자

15

메모리 중심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 구조 연구

메모리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데이터중심컴퓨팅시스템연구실

김강호

16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형 인프라스트럭처 기술 개발

S/W 솔루션 

(모빌리티)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AI컴퓨팅시스템SW연구실

강성주

17

배리어프리 유니버셜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ICT 

융합디지털

호남권연구본부 

광ICT융합연구실

박형준

18

빅데이터 대상의 빠른 질의 처리가 가능한 

탐사 데이터 분석 지원 근사질의 DBMS 기술 개발

빅데이터

초지능창의연구소 

스마트데이터연구실 

이태휘

19

생성형 언어모델의 지속 가능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최신성 반영을 위한 학습 및 활용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언어지능연구실

임수종

20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소셜로보틱스연구실

장민수

21

스스로 학습역량을 인지하고 활용하여 

적정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

배유석

22

신경망 응용 자동생성 및 실행환경 최적화 배포를 지원하는 

통합개발 프레임워크 기술개발

인공지능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AI컴퓨팅시스템SW연구실

조창식

23

악천후/비정형 환경변화에서의 Seamless 자율주행을 위한 

인지/판단 AI SW 핵심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안경환

24

영유아/아동의 발달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행동·반응 심리인지 AI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소셜로보틱스연수실 

유장희

25

예외 상황 합성데이터 생성 및 

인공지능 예측 모델 고도화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스마트데이터연구실

정문영

26

온디바이스 로봇 지능 지원 SW플랫폼 핵심 기술 개발

임베디드 S/W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지능디바이스·시뮬레이션연구실

김정시

27

이종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 및 관리 복잡성을 극복하는 

멀티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클라우드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강동재

28

인간과 교감하는 멀티모달 인터랙션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복합지능연구실 

김승희

2.공개SW과제목록

No.

프로젝트명

분야

부서

사업책임자

1

지능형 디지털 연합트윈 운용 및 예측 핵심기술 개발

디지털 트윈

디지털융합연구소 

자율형IoT연구실

박찬원

2

인공지능 에이전트 협업기반 신경망 변이 및  

지능 강화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

이용주

3

AI Bots 협업 플랫폼 및 자기조직 인공지능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

강동오

4

전문지식 대상 판단결과의 이유/근거를 설명가능한 

전문가 의사결정 지원 인공지능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언어지능연구실

배경만

5

일상생활 공간에서 자율행동체의 복합작업  

성공률 향상을 위한 자율행동체 엣지 AI SW 기술 개발

클라우드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장수민

6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AI 학습 SW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민경욱

7

커넥티드 자율주행 서비스 엣지 AI 요소 기술개발

자율주행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민경욱

8

초고속 V2X 통신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 개발

자율주행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민경욱

8

 자율주행 AI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모빌리티로봇연구본부

최정단

10

개방형 엣지 AI 반도체 설계 및 SW 플랫폼 기술개발

SoC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지능디바이스·시뮬레이션연구실

권용인

11

거대 학습 모델 초고속 처리를 위한 

고효율 AI 컴퓨팅SW 핵심 기술개발

AI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고성능컴퓨팅시스템연구실

김홍연

12

고품질 데이터셋의 적시·적소 활용을 지원하는 

데이터옵스 프레임워크(DataOps Framework) 기술 개발

빅대이터

초지능창의연구소 

사이버브레인연구실

원희선

13

능동적 즉시 대응 및 빠른 학습이 가능한 

적응형 경량 엣지 연동분석 기술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

문용혁

14

다화자 동시 처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대화 모델링 기술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복합지능연구실

송화전

부록


background image

54

부록

55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No.

프로젝트명

분야

부서

사업책임자

29

자연어로 기술된 요구사항에서 전문 개발자 수준의 

고품질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기술 개발

인공지능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지능디바이스·시뮬레이션연구실

마유승

30

자율행동체의 복합작업 자율 수행을 위한 

임무 수행 절차 생성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소셜로보틱스연구실

김도형

31

전원 불안정 감내 자율적 에너지기반 

컴퓨팅 시스템SW 원천기술 개발

임베디드 S/W

디지털융합연구소 

DNA+드론플랫폼연구센터 

임유진

32

지능형 디지털 트윈 연합 객체 구성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 개발

디지털트윈

디지털융합연구소 

과학치안공공ICT연구센터 

백명선

33

지능형 차량에 필요한 AI 프레임워크와 연동되는 

SDV기반  자동차 SW플랫폼 기술 개발

인공지능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AI컴퓨팅시스템SW연구실

조창식

34

초연결 분산컴퓨팅 기반의 

서비스형SW 전환 지원 핵심기술 개발

S/W 솔루션 

(클라우드)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강동재

35

커넥티드 자율주행을 위한 5G-NR-V2X 성능 검증

자율주행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송유승

36

클라우드 기반 융합형 자율주행 지능학습 데이터 

생성/제공을 위한 데이터 수집·가공 핵심기술 개발

자율주행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김주영

37

혼잡도로 주행 위험상황에 최적 주행행동 결정을 위한 

강화학습형 자율주행 AI SW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자율주행지능연구실

민경욱

38

효율적 사전학습이 가능한 

한국어 대형 언어모델 사전학습 기술 개발

인공지능

초지능창의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

이용주

부록

3.ETRI오픈소스관련사이트

ETRI 공식 GitHub

https://github.com/etri

ETRI 오픈소스 공개사이트

https://opensource.etri.re.kr

EOST 행사 공식 사이트

https://eostday.kr

EOST 발표자료 사이트

https://github.com/eostday

ETRI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

@etri9401


background image

본저작물은공공누리“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따라이용할수있습니다.

발행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s:/ www.etri.re.kr

편집 한국전자통신연구원오픈소스센터

대전광역시유성구가정로218

Tel.0428605468

E-mail.jungsp@etri.re.krosc@etri.re.kr

디자인 스튜디오일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background image

9 77280

0 06800

9

25

      ISSN 2800-0684

ETRI Open Source 
Annual Report 2024

R&D 
Innovation with 
Open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