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에 선정_240923_F.hwp

닫기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2024.09.26.(목)

배포번호 : 2024-58호

행정본부

인재개발부장

이인석(042-860-5376)

E-mail : islee@etri.re.kr

인재개발부

인재교육실장

김신영(042-860-5598)

E-mail : sinyoung@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행정원

이서진(042-860-0635)

E-mail : seojin@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2매(참고자료 2매, 사진자료 5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에 선정

- 14년, 19년 이어 세 번째 인증획득 쾌거가족친화인증기관도 획득

- 인공지능 교육위한 AI아카데미, 전 출연연에 AI통합교육 성공 추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직원을 위한 각종 인적자원 개발 노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ETRI는 교육부가 총괄주최하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주관한 ‘2024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Best HRD)에서 우수기관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2019년, 2014년(교육부장관상 수상)에도 인증을 받았으며, 올해 선정 결과로 세 번째 인증을 획득하게 되었다.

또한, 인사관리(HRM) 분야에서 일-가정 양립을 위한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여 여성가족부 가족친화인증기관’(2021.12.~2024.11.)을 획득한 바 있다.

연구원은 연구연수생 제도를 통해 청년 과학기술인 육성 노력 및 청년 채용 부분에서 최근 2년간 80.2% 채용을 달성하는 등 인사제도에 정부시책을 반영하기 위한 큰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밝혔다.

ETRI는 지난해 4월, 인재개발(HRD) 분야에서 인재키움 비전 및 전략수립해 기관비전 연계 인재경영 혁신 성과중심의 전략적 HRD고도화 구전문성 강화로 전략기술 리더십 확보를 전략목표로 설정했다.

이에 따른 추진전략으로 기술전문역량 및 연구인력고도화, AI아카데미 인재양성 플랫폼 고도화 등 다양한 인재육성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ETRI 인공지능 관련 AI아카데미 교육 운영을 통해 정부출연(연) AI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 출연연구원들과 함께 ETRIAI전문인재양성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본 교육이 연구기관의 동반 성장을 이루는 교육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2024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Best HRD) 사업은 정부가 인적자원개발 촉진을 위해 공공·민간기관에서 능력 중심으로 인재를 채용·관리하고,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 지속적인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인적자원개발이 우수한 기관에게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인증기관으로 최종 선정된 기관은 유효기간 3년의 인증서·인증패 수여 및 인증 로고 활용, 인증 기간(3년) 정기근로감독(근로감독관 집무규정 제12조 제1호)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ETRI 방승찬 원장은 그동안 연구원이 기관 경영에 근거한 인사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여 그 우수성을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ETRI는 앞으로도 ICT·융합 전략·원천기술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선도적 역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1

ETRI 인적자원개발 개요 및 체계

중장기 인재 육성 기반 전략(인재키움) 수립(3개년 계획 수립)

- 기존의 단년도 계획 중심체계에서 벗어나 ’23~’25 중장기 인재개발 발전전략 수립

비전 및 경영철학, 3년간의 경영목표 등 중장기 전략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전략적 HRD 역할 확대

인재키움

비전

ICT·융합 전략/원천기술 전문인재 육성

인재상

도전인기술에 도전하고 개척인시장을 개척하며 협력인혁신주체와 협력을 추구

[도전인] 전문분야 통찰력을 바탕으로 기술창조의 즐거움과 기술성취의 자긍심을 품은 인재

[개척인] 사업화 기회를 창출하는 진취성과 난관을 극복하려는 끊임없는 열정을 갖고 경제성장 기여의 명예감을 지닌 인재

[협력인] 개방적 사고와 신뢰를 기반으로 혁신주체와 융합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상생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추구하는 인재

전략

목표

기관비전 연계

인재경영 혁신

성과중심의

전략적 HRD 고도화

연구전문성 강화로

전략기술 리더십 확보

추진 전략

1. 기술전문역량 및 연구인력 고도화

󰊱 략/원천기술 선도형 전문기술 역량 극대화

개 선

󰊲 제선도 기술전문역량 향상

개 선

󰊳 계적인 교육효과 추적평가 강화

개 선

2. AI 아카데미 인재양성 플랫폼 고도화

󰊱 연(연) AI 통합교육 확대

개 선

󰊲 AI 원천기술 기반 미래혁신 역량 강화

신 규

󰊳 AI 교육기반 조직역량 강화 및 직무역량 향상

개 선

3. 기술선구자 지향 경영교육 및 리더십 함양

󰊱 영철학 및 핵심가치 구현 경영교육 강화

개 선

󰊲 ·성과지향의 리더십 역량 강화

신 규

4. 학습공동체 참여·개방 활성화

󰊱 역연구센터 기술전문교육 확대

개 선

󰊲 ···관 학습공동체 구현 및 디지털 혁신역량 향상

신 규

5. 창의·열정의 학습조직문화 구현

󰊱 ·협력·공감의 조직활성화 프로그램 활성화

개 선

󰊲 구현장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배움터 활성화

개 선

󰊳 과 학습 병행형 자기주도학습의 스마트러닝 활성화

개 선

󰊴 법정 의무교육을 통한 건전한 직장 조직문화 구현

개 선

참고2

ETRI AI아카데미 운영

출연(연) 최초 개방형 AI 아카데미 교육체계 운영

1. (ETRI AI 아카데미) 국가전략기술분야 선도 및 AI 기반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내·정책 수요를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AI 연구인재 육성을 위한 ETRI AI 아카데미신설·운영 (’20~)

- (’21년) 출연(연) 최초 개방형 AI 아카데미 운영,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소속 24개 출연연 재직자 대상 교육 시행

- (’22~현재) 유관기관 컨소시엄(ETRI-KISTI-KIRD) 구성 및 AI 통합교육시행

(총괄: 과기정통부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 교육운영: ETRI, KISTI, KIRD)

2. (운영목표 및 교육체계) 교육 수요자의 직무 및 역량 수준에 따라 총 6개 과정* 운영

*3개 부문(전략Business-실무Technology-고급eXperience) 6개 교육과정

(➊전략과정, 기초·공통과정, 전문과정, 심화과정, 혁신과정, 고급과정) 운영

ETRI AI 아카데미 운영 목표

- 지속 가능 AI 혁신 생태계 기반 제공을 위한 디지털 인재양성

ETRI AI 아카데미 추진 전략

(직무역량) 디지털 문제해결 역량강화

- 전문지식·역량 제고 업스킬링

- 융합·혁신역량 강화 리스킬링

(교육체계) 다양성 및 개방성 확대

- 온·오프라인 교육(콘텐츠) 확대

- 유관기관 협력·개방형 교육 확대

(조직문화) 동료/상호학습 활성화

- 원내 AI 전문강사 육성

- 자기주도형/맞춤형 학습 정착

3. 원내강사(동료학습) 및 ETRI 연구결과(데이터 등) 활용 등 ETRI만의 차별화된 교육체계·과정 운영

주요 내용

(교육과정) ’22년 5개 과정 → ’23년부터 혁신과정을 추가하여 6개 교육과정으로 확대·개편

- 경영진(CEO) 대상 “①전략과정”, 실무진 대상 AI “②기초·공통과정 → ③전문과정 → ④심화과정”,

AI 기반 타 산업분야 융합을 위한 “⑤혁신과정”, 원내강사 육성을 위한 “⑥고급과정운영

- 직무별/수준별 교육과정 및 커리큘럼 운영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학습경로 제공

(외부개방) 출연(연) 및 과기부 직속 연구기관 등 유관 연구기관 총 39개 기관 재직자 대상 교육 시행(개방형 교육)

(온/오프라인 병행) 총 4차에 걸친 오프라인 교육, 사전 자율학습형 온라인 교육(총 3차) 병행 운영

(원내강사 활성화) AI 전문교수 17명, 일반강사 16명 등 총 33명의 원내강사 운영

- 원내강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역량 강화 프로그램(고급과정) 별도 운영

(찾아가는 AI 교육) 지역연구본부 및 지역 소재 출연연/유관기관 대상 찾아가는 AI 교육 시행으로 교육접근성 및 효과성 제고

(현업적용도 조사) 실무 중심의 기술 전문교육의 효과성 및 성과 확인을 위하여 교육 이수자 대상 현업적용도를 연간 1회 조사·분석하여 차년도 교육계획에 반영(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