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꽃 피운
ETRI 기술
상용화 현장지원 성공사례집
www.etri.re.kr
01
02
03
04
05
06
07
08
07
17
27
33
41
49
57
65
(주)에이알텍
100G 이더넷용 ROSA 4x25G 및 43G ROSA기술 현장지원
이 준 기 책임연구원 / 광전송연구실
(주)하버맥스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브릿지기술 현장지원
유 대 승 선임연구원 / 조선해양
IT융합연구실
(주)욱성미디어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기술 현장지원
최 승 한 선임연구원 / 스마트워크연구실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Ka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형태 급전부품 설계기술 현장지원
엄 만 석 책임연구원 / 위성무선
RF기술연구실
(주)실리콘웍스
BLDC모터용 모터구동회로기술 현장지원
허 세 완 선임연구원 / 전력제어소자연구실 외
(주)케이쓰리아이
증강현실 기반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기술 현장지원
조 현 우 연구원 / 지식이러닝연구실
(주)보이스웨어
콜센터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 음성인식기술 현장지원
강 병 옥 선임연구원 / 음성처리연구실
(주)헤드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및 제어기술 현장지원
나 동 길 선임연구원 / 스마트포스트연구실
09
10
11
12
13
14
15
16
73
81
89
97
105
113
119
127
(주)아이엔소프트
분산 클라우드 관리기술 현장지원
윤 승 현 책임연구원 /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주)블루콤
저전력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기술 현장지원
김 혜 진 책임연구원 / 나노융합센서연구실
(주)
A&D엔지니어링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 상용화 및 운용기술 현장지원
박 광 문 책임연구원 / 전파신호분석연구실
(주)기가레인
S-band 50W GaN 전력소자기술 현장지원
김 해 천 책임연구원 /
RF융합부품연구실
(주)넷커스터마이즈
GPS L1과 L2 신호대역 혼신원 검출 및 방향파악기술 현장지원
이 점 훈 책임연구원 / 위성항법연구실
(주)컨퍼스트
자동차 번호판 고속 검출기술 현장지원
강 현 우 선임연구원 / 지역산업
IT융합연구실
(주)엘지유플러스
대규모 클라우드 파일 시스템 확장 적용기술 현장지원
차 명 훈 책임연구원 / 스토리지시스템연구실
(주)엘컴텍
적응형
IPTV오버레이 멀티캐스트기술 현장지원
신 일 홍 선임연구원 /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CONTENTS
100G 이더넷용 4x25G 및
43G ROSA기술 현장지원
통신인터넷연구소 광전송연구실(실장 이정찬)은 “광전송 시스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등의 광통신 장치에서
고속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광수신기 (
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y) 기술을 통해 100G
40km CFP 광트랜시버, 100G 80km CFP 광트랜시버, 5x10G 광수신기(ROSA) 개발 및 시험과 초고속 광모듈,
전자 소자, 관련 계측기 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100G 광트랜시버 사업화로 730만 달러 수출계약 체결, 100G CFP
제품이 중국
ZTE사 표준 규격 선정 및 제품 개발기간 단축으로 ZTE, Huawei의 납기 요구를 만족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3. 3 ~ 2014. 5. 27
●
지원규모 :
5 M/M
●
지원자명 : 이준기 책연, 강세경 선연, 허준영 선연
지원 내용
●
100G 40km CFP 광트랜시버 개발 및 시험
●
100G 80km CFP 광트랜시버 개발 및 시험
●
5x10G 광수신기(ROSA) 개발 및 시험
●
초고속 광모듈, 전자 소자, 관련 계측기 기술 교육
지원 성과
●
최대
80km 떨어진 이동통신 중계국 간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100G
80km CFP 광트랜시버” 세계 최초 개발 성공 (당초 목표 전송거리 40km,
소모전력
24W를 80km, 17W로 초과 달성)
ㅡ
06
07
ㅡ
10
0G
이
더
넷
용
4x
25
G
및
43
G
R
OS
A
기
술
현
장
지
원
●
㈜에이알텍
100G CFP 제품이 중국 ZTE사의 표준 규격으로 선정됨(2014. 9.)
●
국내 최초로 중국 광모듈 시장에 진출,
ZTE, Huawei사에 730만 달러 수출
계약 체결 (
2014. 5. ~ 9.)
*
ZTE : 중싱통신 (
中兴通迅, ZTE; Zhongxing Telecom Equipment)은 1985년에
설립되었으며, 매출은
15조원 규모이고 총 7만 8천명의 직원이 있음. 중국 모바일 및
광통신 장비 분야에 있어
Huawei에 이어 두 번째 거대 기업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통신인터넷연구소 광인터넷연구부 광전송연구실 이준기 책연, 강세경 선연
이전 기술명
●
100G 이더넷용 4x25G ROSA 기술
●
43G ROSA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본 기술은 광전송 시스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등의 광통신 장치에서
고속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광수신기 (
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y) 기술
● 광역다중화기 (
Optical DMUX) 설계, 제작 기술
● 광수신기(
ROSA) 설계, 제작 및 시험 기술
● 고속 신호 처리용 세라믹 기판 및
Flexible PCB 설계, 제작 기술
● 광정렬 기술 및 장치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에이알텍 (대표 이성민)
●
회사 주소 : 경북 구미시 공단로
145
●
연 구 소 :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111길 23
●
주요 사업 : 무선 및 광통신 부품, 모듈 개발 및 제조
[
100G 이더넷용 4x25G ROSA 및 43G ROSA ]
[ ㈜에이알텍 사업 영역 (홈페이지) ]
ㅡ
08
09
ㅡ
10
0G
이
더
넷
용
4x
25
G
및
43
G
R
OS
A
기
술
현
장
지
원
100G 이더넷 CFP 광트랜시버
100G 이더넷
4x25G ROSA
100G 이더넷 4x25G ROSA 구성도
Optical DMUX
블록
LC receptacle with
collimating lens
PD 블록
43G ROSA
Case IId
회사 소개
㈜에이알텍은
2004년에 설립되어 주로 가입자망에 적용되는 광모듈을 개발
생산하였으며,
2009년에 LIG 네옵텍을 인수 합병하였다. 2011년에 수출 천만
불 달성, 광통신 모듈 누적
100만개 출하 실적을 달성하였으며, 2014년에
민군기술협력 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등
ETRI 기술이전과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세계 최초로 최첨단
100Gb/s CFP 광트랜시버 제품 개발,
중국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광모듈 시장의 작은 거인,
에이알텍
“
2014년 5월 에이알텍 본사에서는 큰 함성소리가 퍼져 나왔다. 이는 중국 ZTE에서
진행되고 있던
3개월간의 100G 80km CFP 광트랜시버의 샘플테스트 결과 양호
판정과 더불어 제품 납품 요청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작은 거인 에이알텍이 초
고속 광모듈업체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고, 세계 최대의 광모듈 시장을
가지고 있는 중국시장에 성공적인 진출을 의미한다.
ETRI와 에이알텍과의 인연은 2013년 8월 “100G 이더넷 CFP 광트랜시버” 기술
이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전까지
2.5G급 저가 광트랜시버 제품을 개발 생산해
오던 에이알텍은 이성민 대표 인수이후 고부가가치의 최첨단 제품 개발로 기업의
비전을 변경했다. 무선 인터넷 사용이 급증하고
LTE 시장이 커지면서 대용량 광트
랜시버 모듈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ETRI
를 찾아와 기술을 이전받게 되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40G 40km CFP 광트랜시
버를 개발하였고, 중국
ZTE사에 성공적으로 수출하였다.
하지만, 중국 이동통신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납품된
40G 제품이 아닌
동일한 크기에
2.5배의 전송용량을 가지는 100G 제품을 ZTE가 요청하게 된다.
개별 소자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40G 제품과는 다르게 광수신기 집적화기술이 필
요하였지만,
ZTE가 요청한 약 4개월 이라는 시간 안에 기술 개발 및 양산까지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이알텍에서는 우선 광패키징 및 고속 광트랜시버 기술을 개
발한
ETRI 광전송연구실로부터 4개의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가 다중화 되어 있는
체험수기
01
ㅡ
10
11
ㅡ
10
0G
이
더
넷
용
4x
25
G
및
43
G
R
OS
A
기
술
현
장
지
원
광신호를 수신해서 광학적으로 역다중화 하고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
을 하는 “이더넷용
4x25G ROSA 기술”을 이전 받고, 이를 바탕으로 상용화 현장
지원 제도를 이용하여
5x10G ROSA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또한 기존의 광트랜시
버 내부 전자 회로도 기존
40G 용량에서 100G 용량으로 확장이 필요하였기 때문
에, 시간을 맞추기 위해 상용화 현장지원을 광트랜시버 부분과
ROSA 부분을 동시
에 병행해서 진행하였다. 우선, 광트랜시버 부분은 에이알텍에 개발 환경이 구축되
어 있어, 이준기 책임 연구원이 서울 에이알텍 연구소로 한 달간 파견을 통해 진행
하였으며,
ROSA 부분은 ETRI의 광계측기 및 개발환경을 활용하기 위해 두 명의
에이알텍 직원이 역 파견을 통해 개발이 진행되었다.
에이알텍 연구소는 서울 논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30여명의 연구원들이 광모듈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여느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신제품을 개발뿐 아니라 기존
제품의 불량 대한 원인 분석과 제품 양산 관리도 해야 하는 등 눈앞의 일에만 매달
려 있다 보니,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대한 연구/개발 시간이 없는 것
이 현실이었다. 그리고 개발 과정 또한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검토하면 한 번에 완
료할 수 있는 과정을 두세 번씩 반복하게 되어 결국에는 오히려 시간과 노력과 비
용을 더 들이는 일이 많은 게 현실이었다. 이러한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이준기 책
임 연구원은 파견기간 동안 선행기술 개발팀의 연구원들과 개발해야할
100G 제품
[
100G 80km CFP 광트랜시버 모듈 ]
[ 한국 경제신문,
2014. 5.15 ]
을 위해 토론을 통한 효율적인 방안 모색 및 개발 일정에 대한 조율, 그리고 기본적
인 부품 선택 및 구조 설계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조언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함
께 나누어 광트랜시버의 회로 설계와
PCB 설계를 진행하였다. 처음에는 어색함과
조급함, 그리고 과연 잘 할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들이 성과들을 하나 둘씩 얻어가
면서 에이알텍 연구소에서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성취감들로 바뀌게 된 것이다.
대전
ETRI 역 파견 팀으로부터 ROSA를 공급받아 제작된 보드에 결합하여 최종
100G 광트랜시버 제품을 만드는 과정은 그리 만만하지 않았다. 100G 용량은 10
개의
10G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나의 채널에라도 불량이 나면 완제품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사소한 실수도 허락하지 않았다. 개발과 디버깅 작업이 그만큼
신중의 신중을 기해야 하는 작업이었다. 수십 번의 실패와 몇 주간의 전력질주로
다들 지쳐갈 쯤에 드디어 첫 번째 제품이 탄생했다. 모두들 흥분에 젖었으며, 좀 더
노력하면 되겠구나 하는 자신감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개발된 제품의 성능을 확인
하고 장비와의 관리, 운용 통신도 구현하는 등 하드웨어에 영혼을 불어 넣는 작업
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고 중국 고객사의 납품 일정에 맞게 샘플이 완성할 수 있었
다. 어느덧 파견 기간이 지나고 대전으로 복귀했지만 수차례 출장을 통해서 첫 제
품에 대한 평가와 개선, 보완점을
list-up 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한편,
ETRI에서 진행된 ROSA 개발은 광트랜시버 보드 개발보다 더한 난관에 부
딪히고 있었다.
2개월이라는 더 짧은 시간 내에 ETRI에서 기술 이전한 ROSA 기
술을 기반으로 우수한 성능의 저가형
5x10G ROSA를 개발해야만 했다. 처음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개발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업체에는 개발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연구원에 업체 개발인력을 파견하여 강세경 선임 연구원과 허
준영 선임 연구원이 연구원내에서 설계 및 성능 검증과정 등을 통해 개발이 진행되
었다. 광수신기 개발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던 에이알텍을 위해 기술 교육과 개발
이 동시에 진행 되었으며, 전송 거리 증대를 위해 수신 성능을 조금이라도 올리면
서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적용되었다.
ETRI 연
구원, 에이알텍 직원과 협력 업체 직원이 서울과 대전을 오가면서 구조 설계를 완
료하게 되었다. 이제부터 시간과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단기간 안에 제품을 완성해
ㅡ
12
13
ㅡ
10
0G
이
더
넷
용
4x
25
G
및
43
G
R
OS
A
기
술
현
장
지
원
야 했기 때문에 최적 설계가 아닌 시간 내에 가능한 설계 및 개발이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각 주요 부품들의 철저한 제작 공정 관리를 해서
1차 ROSA가 완성되었지
만, 시간제한에 따른 구조 설계에서 희생되었던 부분에 대한 영향과 예상하지 못했
던 부분에서의 광학적인 반사에 의해 성능 열화를 가져왔다. 결국 문제점들을 개선
하여
2차 ROSA가 개발되었고, 자체 성능 시험 결과는 에이알텍의 고객사에 요구
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80km 전송 가능한 수신 감도를 확인하였다. 업체의 신속한
결정과 행정 지원 및
ETRI의 밀착 기술 지원을 통해 2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에 업체에서 요구한 저가형
5x10G ROSA를 개발하여 중국 고객사에 납품할 광트
랜시버에 적용하여 정상 동작함을 확인하는 순간 “성공이구나” 하고 마음속으로 외
치면서 짧은 기간 동안 업체 직원들과 힘든 개발 과정이 주마등처럼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ETRI 연구원 들은 제품화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및 설계 기술을 제공하고 구현하
는데 주로 기여를 했고, 에이알텍 연구원들은 첫 번째 제품 완성 후에 개량개선 작
업과 양산화 작업을 착실히 진행했다. 그 결과
3개월간의 고객사 샘플 시험을 성공
적으로 완료하고 세계 유수의 경쟁업체들을 물리치고 당당히 표준 제품으로 인정
받게 되었다.
2014년 말에 500만 달러의 수출 계약이 성사되고 지금은 초도 물량
납품이 진행 중이다.
이제 에이알텍은 지난 일 년 동안 노력과 그 성과로 인해 여타의 중소기업처럼 도
전을 두려워하는 기업이 아니라 즐기는 기업으로 체질 개선에 성공하였으며 그 결
과, 에이알텍은
Huawei, ZTE 등의 해외 업체로부터 40G/100G 초고속 광모듈
업체로 인정받고 있다. 아직 세계 시장에서 상용화된 바 없는
100G 이더넷 CFP4
광트랜시버를 요청받고 이 기술 개발을 성공한 우리
ETRI 광전송연구실로부터 기
술이전 받아서
2015년 2월 샘플 공급을 위해 상용화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이는
해외서도 에이알텍이 세계 유수의 광모듈 업체인
Finisar와 Sumitomo와 더불어 기
술을 선도할 수 있는 광모듈 업체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이번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느낀 가장 큰 부분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환경이
말로만 듣던 것보다 열악했다. 경제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개발 프로세서를 진두지
휘하고 조율할 수 있는 인력 부족이 더욱 큰 문제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기술 습득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제품 상용화에 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이 필요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타임 투 마켓(
Time to market) 개발에 실패하는 주된 요인으
로 판단된다. 이렇다 보니 국책연구소에서는 중소기업에서 기술 이전을 통해 식탁
을 차리는 것이 아닌 밥까지 떠먹여주길 원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중소기업에서
는 제대로 된 기술 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만연한 걸 수도 있다. 이번
의 기술 이전을 통한 상용화 개발 성공은
ETRI 연구원들과 에이알텍 구성원들의
노력에 밑받침이 되었겠지만, 무엇보다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과 국책
연구기관 사이에 필요한 연결 고리가 만들어 진 것이 가장 큰 핵심이었던 것 같다.
앞으로 보다 더 많은 기술이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제품으로 개발되어 국내 중
소기업들이 세계에서 호령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길 기원한다.
ㅡ
14
15
ㅡ
10
0G
이
더
넷
용
4x
25
G
및
43
G
R
OS
A
기
술
현
장
지
원
융합기술연구소 조선해양
IT융합연구실(실장 장병태)은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브릿지 기술”에 대한 상용화
현장지원을 실시하여 육지와
50Km 이상 떨어진 해양 선박에서 WCDMA, WiFi, LTE 등 육상 무선통신서비스를
구현하여 해상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주요 성과로는 해상광대역 통신시스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고 부경대 창업투자설명회 최우수상을 수상
하였으며, 향후
5년간 160억 원의 매출액이 예상된다.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브릿지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7. 7 ~ 2014. 11. 28
●
지원규모 :
6.6 M/M
●
지원자명 : 유대승 선연, 김형주 선연, 최진규 선연, 진광자 책연,
이경희 선연, 박정호 책연
지원 내용
●
사업수주 평가를 위한 상용화 수준의 기술완성도 확보 및 운영 중 요구기능
개발 지원
●
시스템 브릿지 기술/로드밸런싱 기술지도 및 현장시험 지원
●
자체 기술인력 구성 지원
●
시제품 디자인 및 형상화 지원
●
실선 시험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시범적용 지원
●
연구소 기업 등록 지원
ㅡ
16
17
ㅡ
해
상
광
대
역
통
신
시
스
템
브
릿
지
기
술
현
장
지
원
현장에서 꽃 피운
에트리 기술
지원 성과
●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계약 체결(2014년 2월)
●
연구개발 특구 내 신사업 발표회에서 최우수상 수상(
2014년 12월)
[ 지원 기업에 설치된 해상 관대역 통신 시제품 ]
●
기존 거래처인 중국석유공사(
COSL)와 대만의 해양경찰/해군/해양조사단
(
TORI: Taiwan Ocean Research Institute)등과 MOU 체결(2015년 2월
예정)
●
국내 다수 기관으로부터 기술제공 의뢰 및 협의 진행(
2015년)
●
2부산대학교 의료연구원 : 원격 선상 의료검진시스템
● 한국해운 조합 : 연안 기상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 해양수산부 : 연안 항로지시 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외 다수
●
부산 <=> 오사카 간 왕복운항 크루저선에 시범운영 성공적 수행(
2015년)
●
ETRI 연구소기업 설립(2015년)
●
매출 계획
(단위 : 백만원, 순증매출액)
구 분
2016년
2017년
2015년
2018년
국내
일반선박
여객선
조선소
OFFSHORE
기타 부가
100
100
-
-
50
-
50
-
30 set
300
2,000
1,000
500
100
500
1,000
800
100
600 set
6,000
300
300
200
20
200
100
400
40
150 set
1,560
3,000
300
1,000
300
1,500
2,000
1,500
500
1,200 set
10,100
일반선박
여객선
조선소
OFFSHORE
기타 부가
판매대수
매출액
국외
합계
ㅡ
18
19
ㅡ
해
상
광
대
역
통
신
시
스
템
브
릿
지
기
술
현
장
지
원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융합기술연구소 산업
IT융합연구단 조선해양IT융합연구실 유대승 선연
이전 기술명
●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브릿지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육상으로부터 해상으로
100km까지 최소 1M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제공
하는 멀티홉 릴레이 기반의 해상 광대역 통신 기술
●
멀티홉 기반 해상 광대역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링크 제어 관리 및 데이터
링크 브릿징 또는 라우팅을 제공하는 기술
● 지상접속모듈, 해상방향접속모듈, 지상방향접속모듈 등의 제어관리 기능
● 브릿징 및 라우팅 기능
● 해상통신국(
MariStation) 제어관리 기능
● 위치정보 수집 및 전달 기능
● 장애진단 및 복구 기능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하버맥스 (대표 강희욱)
●
회사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65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제
10공학관 212호
●
주요 사업 : 선박 운항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및 관련 솔루션
회사 소개
㈜하버맥스는 조선해양
IT 분야에서 십 수 년 이상의 업무경험을 가진
엔지니어들이 지난
2013년 해양자동화의 기치 아래 본 ‘해상인터넷 광대역
통신시스템’ 의 기술을 이전받아 새로운 차원의 해양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신설된 회사이다.
㈜하버맥스의 강희욱 대표는 다년간 다국적 영국
BP해운, 영국 Fujitsu의
IT전문가들과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각종 에너지 운반선의 선단 IT
구축 및 시운전 경험을 바탕으로, 선내 관리 자동화를 위하여
ETRI의 새로운
해상광대역통신 기술을 이전받아 새로운 통신장비를 만들어 세계시장에 과감히
도전하고 있다.
선박의 모든 시스템들이
IP 통신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과 육상 관제소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이 인공위성을 통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 선박 운항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SMS) ]
[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 및 관련 솔루션 ]
ㅡ
20
21
ㅡ
해
상
광
대
역
통
신
시
스
템
브
릿
지
기
술
현
장
지
원
해상 인터넷 시대를 열다
“
비행기를 타면 안전을 위해 스마트폰을 잠시 꺼두거나, 비행기 탑승 모드로 바꿔본
경험이 누구나 있겠지만, 배를 타는 동안에는 어떨까?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서 스
마트폰을 꺼두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항구를 떠난 배 안에서는 인터넷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고, 전파가 안 잡히는 곳에서는 배터리 소모량도 크기 때문이다.
2011년부터 3년간 개발한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육상의 WCDMA, WiFi,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해상의 선박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첨단
인터넷 시스템이다. 망망대해를 운항하는 배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하려는 우리의 꿈은 ㈜하버맥스가
2013년에 이 기술을 이전 받으면서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초석이 되었다.
기술 개발 과정은 쉽지 않았다. 다양한 해상 환경에서 통신 성능을 측정하고 사업
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어선, 터그선, 유람선, 유조선, 드릴쉽 가릴 것 없이
통신 장비를 설치하고 뱃멀미를 참아가며 시험해야했기 때문이다. 많은 공동 연구
진이 힘을 합치고, 숨은 조력자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체험수기
02
소형 어선 시험(창원 해양공원)
누리마루호 시험(부산)
실선시험 테스트베드 구축(거제)
대우조선해양 실선시험(거제)
실시간 영상 업로드
선내망 연결 동영상 시청
2014년에는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기술이전 업체에 상주하며 사업화 가능성
이 있는 여객선에 인터넷 시범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었다. 현재 부산과 오사카를
운항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크루즈선인
PanStar Cruise에 해상 인터넷 서비
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하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대우조선해양 옥포조
선소에서 시험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활용하여
PanStar Cruise에 시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였고, 부산에서
50km 이상 떨어진 대마도 부근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시연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하버맥스와
ETRI가 꿈꾸는 해상
인터넷 서비스의 사업화가 처음으로 태동하는 순간이었다.물론 아직은 시범 시스
템이고, 실제로 수요가 있는 여객선 항로나 특정 플랜트 지역에 안정적인 해상 인
ㅡ
22
23
ㅡ
해
상
광
대
역
통
신
시
스
템
브
릿
지
기
술
현
장
지
원
PanStar Cruise 해상 광대역 통신 시험
대마도 부근(부산에서
54Km 지점) 인터넷 속도 측정
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시범 시스템을 바탕으로 선박
운항 중의 진동이나 소금기를 머금은 해풍에 견딜 수 있는 케이스 등의 추가 개발
이 필요하지만, 실제 승객들이 탑승한 여객선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 성공사
례는 앞으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육상에서는 하루가 다르게 첨단의
IT 서비스가 개발되고 사용자들도 새로 출시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서비스에 발 빠르게 적응하는데 어색함을 느끼지 못하는 시
대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 해상에서는 값 비싼 위성 통신 단말기는 꺼두고 몇 십 년
째
VHF 무전기 외에는 구경해보지 못한 사용자들이 대부분이다. 육상의 첨단 IT
서비스가 해상으로 전파되지 않아 해상의
IT 시계가 서울 올림픽이 열리던 시절로
멈춰있는 이유이다.
현재 ㈜하버맥스는
ETRI 연구소기업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ETRI의 해상 광
대역 통신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도서지역에 인터넷을 공급함으로써 정보 소외지
역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상 선박에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
여 사고 예방 및 해양 플랜트 지역의 초고속 인터넷 사용을 위한 해상 인터넷 시대
의 개막을 위해
ETRI 연구진과 ㈜하버맥스는 한배를 타고 항해중이다.
“팬스타 크루즈선에
장비 설치하기 전까지 어려웠던 점”
PanStar Cruise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항중인 가장 큰 크루즈선으로 부산과 오사
카를 운항하고 있다.
㈜하버맥스는 기술이전 받은 우리 해상 광대역 통신 시스템을
PanStar Cruise와 해
양대가 위치한 조도의
VTS센터에 Base Station을 설치하여 시범 운영을 추진 중
에 있었으며 우리는 상용화 현장지원 기간에 이 업무를 지원하였다. 바다·지진·
돌풍의 신 포세이돈이 우리를 시기 질투한 것인지 장비를 설치하기로 예정한 날
에 오사카에서 커다란 폭풍우가 몰아쳐 예정된 시간보다 늦게 오사카에서
PanStar
ㅡ
24
25
ㅡ
해
상
광
대
역
통
신
시
스
템
브
릿
지
기
술
현
장
지
원
통신인터넷연구소 스마트워크연구실(실장 김도영)은 상용 유무선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패킷손실을
SW 기반으로
실시간 복구하여 영상회의 중 발생하는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의 끊김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 기술”을 ㈜욱성미디어에 이전하였다. 그 결과 ㈜욱성미디어는 지원 받은
기술을 교육부 원격화상 진로멘토링 사업에 납품하여
408개 초.중.고교에 설치하였고 외국산 대비 2배 수준의
품질성능을 제고하였으며, 향후
5년간 500억 매출이 예상된다.
Cruise가 출발하여 부산항에 2시간 늦게 입항하였다. 우리는 2시간 동안 고기잡이
나간 낭군님이 무사히 귀환하시기를 학수고대하는 마음으로 기다리다 마침내 부산
항에서
PanStar Cruise에 승선하여 작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바닷일은 언제나 그렇듯 우리가 생각하고 계획한 일정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번에도 여지없이 알게 되었다. 바닷일은 언제나 낚시를 하듯 하염없이 기다
리는 것이 미학이 아닐까 생각된다.
ㅡ
26
27
ㅡ
미
디
어
패
킷
손
실
복
구
기
술
현
장
지
원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9. 1 ~ 2014. 10. 10
●
지원규모 :
4.4 M/M
●
지원자명 : 최승한 선연, 구기종 선연, 김도영 책연, 이미숙 책연, 황인기 선연
지원 내용
●
(주)욱성미디어의 스마트 교육 사업화 및 영상회의 보급용 상용제품(모델명:
WEP-100)에 이전 기술인 미디어 패킷손실 복구 기술의 성공적인 이식 및
상용 인터넷에서의 성능 확보
●
WebRTC 등 신기술 동향 기술정보 제공 및 차기 모델 기술기획 지원
지원 성과
●
통신망의 패킷손실에 대해 외산(미국 폴리컴) 대비
2배 수준의 강인한 영상
회의 서비스 품질 제공 기술 차별성 확보
●
HD(720p) 수준에서 풀 HD 수준으로 영상회의 서비스 제품 품질 향상
●
상용제품 완성 기술에 대한 범부처 영상회의 사업화 위한 홍보·마케팅 지원
●
WebRTC 등 신기술 동향 기술정보 제공 및 차기 모델 기술기획 지원을 통한
사업화 대상 시장 확장 도모
●
개발기간 :
6개월 단축, 2명의 인력절감, 3억 원의 개발비 절감
●
이전 기술의 상용화 성공으로 향후
5년간 500억 원의 예상 매출 기대
[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 기술 ]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통신인터넷연구소 유무선융합연구단 스마트워크연구실 김도영 책연
이전 기술명
●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기술
이전 기술 내용
●
상용 유무선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패킷손실을
SW 기반으로 실시간 복구하여
영상회의 중 발생하는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의 끊김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욱성미디어 (대표 박배욱)
●
회사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5로 68 우림빌딩 4층
●
주요 사업 : 영상회의 시스템 제조, 운영 및 유지보수
[ 욱성미디어 영상회의 시스템
– iMentor WEB-100 ]
회사 소개
(주)욱성미디어는 고속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원격지간에 고품질로 효과적인
스마트워크, 스마트 교육, 스마트 케어를 가능하게 하는 원격영상 교육·회의·
케어 시스템을 대표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회사이다.
특히 스마트 교육·회의 시스템
iMentor WEB-100은 미국 및 이스라엘의 몇몇
회사만이 보유한 하드웨어 코덱 방식의 영상회의 시스템을 순수 국산 기술로 개
발 성공한 제품이며,
PC 기반 영상회의 시스템과는 달리 해킹, 버그, 보안, 관리
등
PC Dependency로 인한 여러 문제가 없는 고성능 고품질 제품이며 안행부
의 정부 영상회의 공통 환경 연동시험을 통과한
3개 제품 중 국내 유일의 제품이
다.
ETRI의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이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영상회의 시
장을 선점해 나아가고 있다.
ㅡ
28
29
ㅡ
미
디
어
패
킷
손
실
복
구
기
술
현
장
지
원
영상회의 시스템으로 제
2의
도약을 하는, 욱성미디어
“
현재 국내에서 영상회의, 원격 교육 서비스를 위한 영상회의 시스템 시장의
50%
이상은
CISCO, Polycom 같은 외산 장비 업체가 점유하고 있다. 이 외산 장비의
아성에 넘어 국내 영상회의 시장을 되찾기 위해 도전하는 욱성미디어에 필자와 스
마트워크연구실
4명의 연구원이 함께 2014년 9월 한 달 동안 상용화 현장 지원을
다녀왔다.
욱성디미어의 전신은 욱성전자로,
ETRI 동문이신 박배욱 사장님이 1995년에 연
구원 창업 이후 인터넷 영상전화기를 기반으로 꾸준히 성장했지만, 이후 전혀 예
상치 못한 영업사고로 사업을 중단했다가
2012년 욱성미디어로 재 창업했다. 고속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원격지간에 고품질로 효과적인 스마트워크, 스마트 교육,
스마트 케어를 가능하게 하는 원격영상 교육/회의/케어 시스템을 대표 제품으로
한다. 스마트 교육·회의 시스템
iMentor WEB-100은 미국 및 이스라엘의 몇몇
회사만이 보유한 하드웨어 코덱 방식의 영상회의 시스템을 순수 국산 기술로 개발
성공한 제품이며,
PC 기반 영상회의 시스템과는 달리 해킹, 버그, 보안, 관리 등
PC Dependency로 인한 여러 문제가 없는 고성능·고품질 제품이며 안행부의 정
부 영상회의 공통 환경 연동시험을 통과한
3개 제품 중 국내 유일의 제품이다. 성
장 가능성이 높은 욱성미디어는
2014년에 ETRI 1실 1기업으로 선정되었다.
ETRI 스마트워크연구실은 인터넷 전화의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과 코
덱 기술을 오랫동안 연구해 왔고, 최근
3년 동안 과제 수행을 통해서 고품질의 영
상회의 시스템인 분산 기반의 텔레프레즌스 시스템과 핵심 기술을 연구 개발하였
고, 개발한 핵심 기술은 여러 업체에 기술이전 하였다. 욱성미디어도 핵심 기술 중
에 하나인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 기술”을 기술이전 받았다.
미디어 패킷 손실 복구 기술은 상용 유무선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패킷손실을
SW
기반으로 실시간 복구하여 영상회의 중 발생하는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의 끊김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욱성미디어에서는 영상회의
와 스마트 교실용 제품 경쟁력과 시장 확보를 위해 연구원에서 이전 받은 미디어
패킷손실 복구 기술의 이식과 성능 검증을 통한 상용제품화 지원을 시급히 요구함
에 따라서 스마트워크연구실에서 상용화 현장지원을 수행하게 되었다.
상용화 현장 지원 첫 날 욱성미디어에 출근을 했을 때에, 오전 일찍부터 전국 여러
학교에 스마트 원격 교육을 위해서 납품한
iMentor 장비의 안정화 시험을 위해서
전국의 학교 담당자와 영상으로 시험 하는 것을 보면서 긴장되기도 하고, 한편으로
우리가 개발한 핵심 기술이 현장에서 잘 동작 돼야 한다는 부담이 들었다. 하지만,
욱성미디어 직원분들과 함께 미디어 패킷 복구 기술을 욱성미디어의 시스템에 성
공적으로 적용했을 때에는 연구원에서 느껴보지 못한 또 다른 성취감으로 기쁘기
도 하였다. 또한,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이 실제 학교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었을
때에는 자부심도 느꼈다.
상용 망에서 핵심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연구실에 발견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
견되어 긴장도 되었지만 다른 연구를 통해서 단련된 문제 해결 방법을 통해서 빠른
시간 내에 해결을 할 수 있었으며,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서 개발한 핵심 기술의
고도화를 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였다.
체험수기
03
[ 욱성미디어 영상회의 시스템
– iMentor WEB-100 ]
ㅡ
30
31
ㅡ
미
디
어
패
킷
손
실
복
구
기
술
현
장
지
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무선
RF기술연구실(실장 염인복)은 Ka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형태 급전부품
설계기술”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반사판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험 자문을 실시하고 반사판 안테나 시험
방법에 대한 절차 수정을 통해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여,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로 하여금 해양선박컨소시움
(
INMARSAT) 안테나 패턴규격 통과 및 공급업체로 선정되도록 하여 연 100억원의 예상 매출액을 달성하였다.
또한,
ETRI에서 기술 이전한 기술뿐만 아니라 욱성미디어로 부터 웹 브라우저에
서 고품질의 영상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WebRTC(Real Time Communication) 기
술의 소개를 요청 받아 이 기술에 대한 자료 조사, 분석 및 시연을 통해서 욱성미
디어에 향후 사업 설정 및 차기 기획 모델의 기술 지원을 하였다.
그러나 불철주야 사업화에 매진하는 기업 . 연구진들을 뒤로하고
ETRI로 돌아올
때는 왠지 미안한 마음에 발걸음이 그렇게 가벼울 수만은 없었다.
ㅡ
32
33
ㅡ
K
a
대
역
위
성
단
말
용
도
파
관
형
태
급
전
부
품
설
계
기
술
현
장
지
원
Ka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형태
급전부품 설계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3. 5. 15 ~ 2013. 12. 19
●
지원규모 : 지원횟수
6회. 지원자 4명
●
지원자명 : 엄만석 책연, 윤소현 선연, 이홍열 선연, 염인복 책연
지원 내용
●
“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 상용화 현장 지원
● 인텔리안테크놀리지스사로 부터
2013년 4월 기술이전 받은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 설계기술” 상용화 추진 과정에서 안테나 시험 방법에 대한
현장 지원 요청
▶ 기술 이전된 급전 부품에 대한 시험뿐만 아니라 반사판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험 자문 실시. 반사판 안테나 시험 방법에 대한 절차 수정을 통해 안테나 성능
개선 실시.
●
Ka 대역 안테나의 20 GHz 대역 포트에서 30 GHz 대역 특성을 인텔리안테크놀로지
스사에서 측정하는데, 원하지 않는 스퓨리어스가 발생하여 현장 지원 요청
▶ 기술 이전된 급전 부품에 대한 시험뿐만 아니라 반사판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에서
▶
30 GHz 대역을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어댑터를 제공하였고, 어댑터에 대한
설명 실시 및 시험 시연
●
“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을 적용한 반사판 안테나 타당성
분석을 통한 상용 현장 지원
● 기술이전 받은 급전 부품을 반사판 안테나에 적용하여 기술 구현성 확인완료. 기능
확인 후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사에서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세계 최고
경쟁사와의 동등 이상의 성능을 지닌 안테나를 확보하고자 고성능 반사판 안테나
개발 가능성을 요청하였음
▶ 요청 받은 국제
FCC 및 ITU 요구 규격을 만족하는 안테나에 대한 성능 분석을
통해 기술 가능성 제시완료. 또한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사가 국외로부터 도입하는
반사판 안테나에 대해 직접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만족하는 고이득
안테나에 대한 국산화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음
지원 성과
●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비용 절감효과 : 약
1억 원(안테나 설계/시험 관련
기술자
3명에 대한 18개월 단축 효과)
●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상호 신뢰를 유지하여 국책 과제 등을 도출하기
위한
MOU 및 추가 분야 기술이전 체결
● 위성단말 안테나에 대한
MOU 체결 (2013년 7월)
●
Ka 대역 위성단말 안테나용 부반사판 및 급전혼 설계 기술에 대해 2014년 12월 3일
기술 이전 계약 체결 (기술료 :
4천만 원)
●
상용화 현장 지원 만족도 :
100점
●
INMARSAT Global Xpress 요구 규격 만족하는 제품 개발 성공(100억 이상
수출 예상)
●
인텔리안
VSAT 전 모델 ANATEL 인증 획득
●
해양용 안테나 전 세계 시장 점유율
95% 차지. 전 세계 1-2위 달성
●
산업통산자원부 주관 ‘
3천만 불 수출의 탑’ 수상 (2014년)
●
2015년도 100억 이상의 추가 매출 예상
●
2015년도 ICT R&D 사업 “위성통신용 무인기 탑재 안테나 시스템 개발”
수요서 공동 작성
●
위성기반 선박용 안테나에서 항공기로 제품 확대를 유도하고, 이를 위한 기술
지원을 수행한다면
5년 내 매출액 5,000억 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무선융합연구부 위성무선
RF기술연구실
엄만석 책연
이전 기술명
●
Ka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 부품 설계기술
이전 기술 내용
●
위성통신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위성으로부터의
RF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 또는 송신하여 중계기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안테나 급전부 필요
●
위성통신 안테나 급전부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으로는 그림
1과 같이 편파기
(
POL), 직교모드변환기(OMT), 다이플렉서(DIP)가 있음
●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인 편파기는 두개의 직교하는 선형 편파가
두개의 원형편파 (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로 출력되거나 입력되도록 하는 부품이다. 위성의 하향 (20 GHz 대역)
및 상향 (
30 GHz 대역) 주파수 대역에 맞도록 이중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다.
●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인 직교모드변환기는 두개의 직교하는
선형 편파를 지닌 상향 및 하향 위성 신호를 두개의 편파로 구분해 주는 장치이다.
송수신 대역에서 두개의 직교 편파가 공존하는
Ka 대역 위성통신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원형 도파관 형태 안테나 포트와 두개의 선형 편파로 분리된 신호가
연결되는 직각 도파관 형태 송수신 포트로 구현되는 기술을 적용한다.
●
Ka 대역 위성단말용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인 다이플렉서는 상향 및 하향 위성
주파수 대역 신호를 구분해 주는 장치이다. 두개의 상
a향 및 하향 주파수 신호가
공존하는 구형 도파관 형태 안테나 포트와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된 신호가
연결되는 직각 도파관 포트 형태를 갖도록 기술을 적용한다.
ㅡ
34
35
ㅡ
K
a
대
역
위
성
단
말
용
도
파
관
형
태
급
전
부
품
설
계
기
술
현
장
지
원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대표 성상엽)
●
회 사 주 소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산단로
18-7
●
부산 사무소 :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북대로
60 센텀아이에스타워 1701호
●
서울 사무소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730 동익빌딩 2층
●
주 요 사 업 : 선박용 위성
TV 안테나,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 Inmarsat
Global Xpress 및 Fleet Broadband 등 제품 개발, 판매,
유지보수
회사 소개
2004년 설립된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이하 인텔리안)는 선박용 위성 안테나
시스템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위성
TV 안테나, 위성 통신 안테나 시스템 및
Fleet Broadband 등 전 제품군에 걸쳐 다양한 선박용 위성 안테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
1위의 위성 통신 사업자인 Inmarsat 의 차세대 초고속 위성 서비스인
Global Xpress®의 개발, 제조 파트너로 선정된 인텔리안은 전 세계 400여
대리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6대륙 6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9개 해외 지사 및 사무소를 통하여 전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구매, 수리
및 기술 지원이 가능한
Global Support Network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산에 해양기술센터를 두어 국내 및 전 세계 주요 선박에 대응이 가능
하도록 사무소를 개설 및 운영 중이다.
ㅡ
36
37
ㅡ
K
a
대
역
위
성
단
말
용
도
파
관
형
태
급
전
부
품
설
계
기
술
현
장
지
원
[ 반사판 안테나 급전부 구성 ]
[ (주)인텔리안 테크놀로지스 홈페이지 ]
급성장하여,
2014년 매출액은 600억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4년 산업
통산자원부로부터 ‘
3천만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안테나 측정은 실내의 챔버에서 진행될 수도 있지만,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은 업
체들은 주변 건물이 비교적 적은 야외에서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인텔리안에 지원
된 상용화 현장지원 기간은 여름부터 겨울까지여서 야외 옥상에서 수행하는 실험
은 육체적인 고단함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어려움은 규격을 만족하는
결과를 짧은 시간 안에 얻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규격, 목표가 유동적이라
는 것이었다.
Ka 대역 반사판 안테나는 선도 기술이다 보니 사용자 요구사항 변동
이 여러 번 있었다. 단축된 개발 기간의 압박은 물론 그간 고생한 결과가 물거품이
되거나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 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실에서만 느끼던
고객 만족을 위한 고충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었다. 상용화 현장 지원을 통해 실제
사용 고객이 직면하게 될 있는 문제점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되었고 제품화
의 어려움을 실감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연구에 새로운 동기 부여를 해 준 것이라
생각이 든다.
손뼉도 마주쳐야 한다
“
2010년 발사된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은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정지궤
도 위성이다(
ETRI 통신 탑재체 개발). 현재까지 천리안 위성의 통신 시스템은 우
수한 성능을 유지하며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국내 기술의 우수성을 증명하
고 있다. 천리안 위성의 통신 탑재체가 제공하는
Ka 대역 서비스는 전 세계 선두
그룹의 기술이다. 이렇게 우주인증까지 이루어진
Ka 대역(20/30GHz)의 우수한
RF 부품들을 위성 탑재체에만 활용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내 독
자 개발된 우수한 기술이 국내 산업체의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던
찰라, 도파관 부품형태 급전부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체를 만났다. 해양
용 안테나 전문 업체인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이하 인텔리안)였다. 국가 대표
IT
R&D 기관인 ETRI와 Inmarsat 공급권을 따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인텔리안의 만
남은 시기적으로 기술적으로 훌륭하였다.
세계 제
1위 위성통신 사업자인 영국 인마샛(Inmarsat)은 미국의 씨텔사(통신용 위
성안테나분야 세계
1위 업체)에게만 공급권을 주고 있는 상황이었다. 인텔리안은
씨텔사보다 우수한 성능을 도출해야만 했다. 인텔리안은
Ka대역의 높은 주파수에
서 안정적인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도파관 형태 급전부품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개발을 진행했지만 원편파 특성을 얻기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ETRI는 인텔리안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하였고, 그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ETRI는 문제해결을 위해 국소적인 시야를 벗어나 시스템 전체를 살피고
인텔리안 제품의 성능을 보완해 나갔다. 결국 인텔리안은 인마샛에서 진행하는
Ka
대역 프로젝트에 안테나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인텔리안의 매출은
체험수기
04
[
MOU 체결식 (2013. 7. 24) ]
좌부터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채종석 소장 / 인텔리안 성상엽 대표
ㅡ
38
39
ㅡ
K
a
대
역
위
성
단
말
용
도
파
관
형
태
급
전
부
품
설
계
기
술
현
장
지
원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전력제어소자연구실(실장 양일석)은 홀센서를 통한 모터회전자 위치파악 및 속도기반
고정밀 위치추정 기술을 비롯하여
SMO (Sliding Mode Observer) 알고리즘을 통한 고정밀 위치추정 기술 지원
등을 통해 브러쉬가 없는
BLDC 모터에 통상적으로 모터구동위치파악을 위해 적용되는 홀센서 없이 모터를 구동
할 수 있는 구동회로
IC상용 기술을 확보하였다.
[ 도별
3차원 영향분석 표시 ]
아직 기술개발의 막은 내려지지 않은 채 여전히 진행 중이다. 기술개발의 성과는
사업의 확산이라는 열매를 하나 둘 맺고 있다. 우수한 기술을 만들어 갈수록 그 열
매 또한 견실하리라고 믿는다. 또한 사업이 확산될수록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상용화 현장연구는 도돌이표처럼 계속될 것이다. 다시 험난한 현장연
구에 빠져드는 시간이 다가오겠지만 그 시간들을 헤쳐나 올 즈음엔 성과도 기술도
참여한 개발팀도 한 단계 더 발전해 있을 것을 기대해본다.
BLDC모터용 모터구동회로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4. 18 ~ 2014. 6. 17
●
지원규모 :
7.4 M/M
●
지원자명 : 허세완 선연, 오지민 연구원, 김민기 연구원, 석정희 선연
지원 내용
●
홀센서를 통한 모터회전자 위치파악 및 속도기반 고정밀 위치추정 기술 지원
●
SMO(Sliding Mode Observer) 알고리즘을 통한 고정밀 위치추정 기술 지원
●
클락 카운팅을 이용한
100~10000 rpm 속도추정 및 linear 속도 트래킹을
통한 속도제어 기술지원
●
Forced Commutation을 이용한 홀센서리스 스타트업 기술 지원
●
sense FET를 이용한 전류센싱 및 VGA (Variable Gain Amplifier), ADC
(
Analog-to-Digial Converter)를 통한 파워소자 전류센싱 기술 지원
●
저소음을 위한 정현파 모터구동 기술 및 고정밀
PWM 신호생성 기술 지원
ㅡ
40
41
ㅡ
B
LD
C
모
터
용
모
터
구
동
회
로
기
술
현
장
지
원
지원 성과
●
BLDC 모터용 모터구동회로, 파워소자구동회로를 하나의 칩으로 one-chip
화 하는 기술을 통해 제작단가 절감
●
기능별
IP 확보를 통한 TAT(Turn-Around-Time)가 축소되어 빠른 제품화
가능
●
회로 통합을 통해 일체화된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향상
●
저소음
BLDC 모터를 효율적으로 구동하는 레이저 프린터 등에 활용 예정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나노융합소자연구부 전력제어소자연구실
양일석 실장
이전 기술명
●
BLDC모터용 모터구동회로
이전 기술 내용
●
BLDC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제어, 파워소자구동, 파워소자 등으로
구성된 모터구동시스템과 관련된 기술
●
모터제어는 모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저소음 및 높은 효율을 갖도록
효과적으로 구동하는 기술
● 홀센서 기반 위치추정 기술
● 홀센서리스 기반
SMO 알고리즘을 통한 고정밀 위치추정 기술
● 속도 추정 및 속도제어 기술
● 홀센서리스 스타트업 기술
● 파워소자 전류센싱 회로 기술
● 펄스폭변조(
PWM)를 통한 저소음 정현파 모터구동 기술
[
BLDC모터용 모터구동 시스템 ]
[ 적응적 미디어 비트율 제어 기술
in IPTV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실리콘웍스 (대표 한대근)
●
회사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
707번지
●
사무소
1 :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867번지 웨스턴타워T 1동 1001호
●
사무소
2 : 경기도 분당구 야탑동 361-4번지 탑빌딩 7층
●
주요 사업 : 반도체와 반도체장비
ㅡ
42
43
ㅡ
B
LD
C
모
터
용
모
터
구
동
회
로
기
술
현
장
지
원
회사 소개
(주)실리콘웍스는
Display용 시스템반도체 Total Solution 분야에서 세계적인
설계 및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
발전하며
1999년에 설립되었다.
세계 최초
LCD용 MD Architecture라는 차별화된 설계 개념을 바탕으로 D-IC
개발에 성공하여 세계 컬럼 드라이브
IC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었고, 소비자
중심의 신기술을 상품화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해외의 원천기술이
아닌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뛰어난 성능의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세계적인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반도체 팹리스 산업의 중심,
실리콘웍스
“
대전시 유성구에 본사를 두어
ETRI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실리콘웍스는
LED 드라이버를 비롯하여 다양한 실리콘기반의 제품을 출시한다. 직원 수가 수백
명에 이르는 중견기업으로써, 국내 팹리스 업체 중 매출 및 이익
1위를 지키고 있
으며,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제품의 연구 및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상용화 현장연구를 수행하는 도중에 놀라운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국내 팹리스
1
위 업체인 실리콘웍스가 반도체 설계 기술력을 인정받아
LG에 인수되어 중견기업
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내용이다. 실리콘웍스의 주력사업은 디스플레이 드라
이버(
DDI)이지만, 설계 기술력을 인정받은 만큼, 이러한 업체에 ETRI의 상용화
현장연구를 통해 기술지원을 하는 것 자체로 뿌듯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며,
업무 수행 중에도 지속적인 열의를 갖게 해준 것 같다.
체험수기
05
[ 대전에 위치한 실리콘웍스 본사 전경 ]
ㅡ
44
45
ㅡ
B
LD
C
모
터
용
모
터
구
동
회
로
기
술
현
장
지
원
실리콘웍스는
2010년 및 2011년에 4개의 모터를 하나의 IC로 구동할 수 있는 제
품을 개발하는 것을 토대로
BLDC 모터 제어기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였다. 그 이
후에도 모터 드라이버에 대한 신사업을 찾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BLDC 모터의
새로운 제어방식인 홀 센서리스 구동에도 관심을 가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고,
ETRI를 통해서 한걸음 나가가 기술력을 높이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상용화현장연구는
ETRI에서 보유하고 있는 BLDC 모터구동회로의 설계 및
주요 알고리즘에 대한 기술을 지원하는 것으로써, 실리콘웍스에서 보유하고 있는
모터구동 기술과 접목하여, 저소음으로 홀센서가 없이 모터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
한 기술지원이 가장 주요한 목표였다. 총
4명이 약 2달간에 걸쳐 업체를 방문하여
모터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지원을 완료하였다.
기존의 실리콘웍스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술에
ETRI에서 개발한 SMO 기반의 홀
센서리스 알고리즘을 반영하기 위해서, 기존의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세분화 하고
ETRI의 기술과 비교하는 절차를 거친 후, 상호간의 협의를 통해 실리콘웍스의 모
터제어기 구조와 알고리즘의 일부를 변경함으로써,
ETRI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이
성공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콘웍스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일
[
LG그룹의 실리콘웍스 인수관련 전자신문 내용 ]
부 중요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으나, 성공적인 기술지원을 위한 많
은 논의와 상호 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원만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생
각한다.
산업체에서 보는 시각과 연구소에서 보는 시각이 많이 다름을 느꼈다. 연구소에서
는 기술의 개발에 있어서 기존 기술과의 차별성과 성능의 향상 및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개발하는 반면에, 산업체에서는 차별성이나 성능의 향상보다는 제품화
하였을 때 단가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와 리콜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ETRI 기술의 참신함이나 혁신성 보다는 재활
용성, 설계기간 단축 및 신뢰성에 기술 지원의 초점이 맞춰져 신뢰도가 높다고 평
가받는 기술 위주로 기술 지원이 이루어졌고, 일부 검증이 더 필요한 기술은 추가
적인 평가가 필요하거나, 심지어 기존의 기술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
다. 거듭된 제작에도 불량률이 낮은 방식의 제품일수록 우수한 제품이라는 시각이
필요한 것이다.
실리콘웍스에 머무는 동안 대부분의 주요하게 개발된 홀센서리스 알고리즘, 속도
추정 및 제어, 스타트업 등, 모터제어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였고, 산업체 현
장에 직접 투입되어 서로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기술을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시간
이 된 것 같다. 이 기술이 높은 신뢰성을 인정받아 다양하고 많은 모터 기반의 제품
에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ㅡ
46
47
ㅡ
B
LD
C
모
터
용
모
터
구
동
회
로
기
술
현
장
지
원
SW·콘텐츠연구소 지식이러닝연구실(실장 지형근)은 3D 학습 콘텐츠를 현실 장면에 증강시키고 가상
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학습 시스템 및 환경에
강인현 고성능 증강현실 인식기에 대한 현장지원을 통해 국립중앙과학관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 사업
지원을 통하여 서비스 현장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기술의 품질 향상에 기여 하였고, 상용화 제품 개발 기간
단축과 개발 비용을 절감하였다.
증강현실 기반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2. 1 ~ 2014. 4. 30
2014. 5. 1 ~ 2014. 7. 31
2014. 8. 13 ~ 2014. 11. 13
●
지원규모 :
32 M/M
●
지원자명 : 조현우 연구원, 이수웅 선연, 윤진영 연구원, 이영운 연구원,
강석빈 연구원, 지형근 책연
지원 내용
●
국립중앙과학관의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 사업 지원
● 기존의 수평바닥형태의 비마커 이미지를 수직벽면형태의 비마커 이미지도 저작도구
에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
● 비마커 이미지의 크기에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크기의 비마커 이미지도 인식이
가능한 저작도구 지원
● 비마커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정해진 직사각형의 틀을 벗어나 자유 곡선으로
이루어진 테두리를 가진 비마커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
ㅡ
48
49
ㅡ
증
강
현
실
기
반
흥
미
체
험
형
스
마
트
전
시
앱
개
발
기
술
현
장
지
원
현장에서 꽃 피운
에트리 기술
● 비마커 이미지가 되기 위한 복잡도가 있는 이미지가 아닌 단순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생김새가 유사한 공룡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 학습방법과 인식을 지원
● 입체 조형물은 지원을 하지 않지만 조형물을 대체하여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
디어 제공
지원 성과
●
국립중앙과학관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 사업 지원을 통하여
서비스 현장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기술의 품질 향상에 기여 하였고, 상용화
제품 개발 기간 단축과 개발 비용 절감
[ ㈜엘컴텍의
DMB 구동 모습과 몽골과의 유료사업화 협약식 ]
상용화 현장지원 평가 항목
개발 기간 단축
고용 절감
개발 비용 절감
예상 매출액
평가 결과
1년
5명
1억원
16.2억원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SW콘텐츠연구소 차세대콘텐츠연구본부 영상콘텐츠연구부 지식이러닝연구실
지형근 책연
이전 기술명
●
증강현실 기반 실감형 학습 시스템
이전 기술 내용
●
3D 학습 콘텐츠를 현실 장면에 증강시키고 가상 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학습 시스템
●
환경에 강인현 고성능 증강현실 인식기 제공
● 다양한 환경변화 [조명/가려짐/떨림]에 강인한 마커/마커리스 인식 기술
●
500개 이상의 마커, 200개 이상의 마커리스 인식 지원
●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도구 보유
●
GUI 기반의 3D 콘텐츠 이동/배치/수정 지원
● 간단한 스크립트 언어를 통한 다양한 인터랙션 저작 지원
●
멀티 플랫폼 지원
● 단일 콘텐츠로 멀티 플랫폼 구동 지원 [
PC/Android/iOS]
[ 적응적 미디어 비트율 제어 기술
in IPTV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
ㅡ
50
51
ㅡ
증
강
현
실
기
반
흥
미
체
험
형
스
마
트
전
시
앱
개
발
기
술
현
장
지
원
[ 적응적 미디어 비트율 제어 기술
in IPTV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
회사 소개
2000년 설립된 (주)케이쓰리아이는 다양한 신기술(RFID, 모바일RFID, USN,
모바일 기술 등)의 복합체인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
ETRI 등으로부터 관련기술을 이전 받는 등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정보화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모바일
증강현실 서비스시스템(모바일플랫폼, 다중객체 트래킹, 렌더링 기술, 제스처
인식기반 인터랙션 기술, 모바일 콘텐츠 관리 기술, 모바일
App용 비디오 아바타
서비스 에이전트 기술 등을 포함)의 개발을 위해
ETRI와 독일, 스페인, 포르투갈
등의 우수기업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중앙과학관 증강현실을
통한 공룡생태환경체험관
운영하다.
“
2015년 1월부터 국립중앙과학관에서에서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으로 공룡의 3D
콘텐츠를 증강시키는 서비스 실시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은 기존에 과학관이나 전시관과 다르게 관람객의 실감
있는 체험을 통한 과학놀이터를 조성하였다.
국립중앙과학관에서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 상설전시관에서 모형을 설치하여
공룡의 생태환경을 재현하고 관람객에게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텍스트, 이미지, 동
영상을 증강현실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여 재미와 함께 공룡 개체 별 학습이 가능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향상시켰다.
국립중앙과학관의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에서 쓰인 핵심기술인 실감형 증강현
실 시스템은
2010년부터 다년간 연구개발 노하우로 축적된 기술로 2013년 11월에
IT 전문기업인 (주)케이쓰리아이에 기술이전 되었다. SI, SM, IT비즈니스 컨설팅,
솔루션 및 하드웨어 유통, 정보서비스 제공 등
IT 서비스 전반적인 영역에서 핵심
역량과 경험을 갖춘 (주)케이쓰리아이는 국립중앙과학관 전시 사업에 계약을 체결
하였고
ETRI 지식이러닝연구실은 해당 국립중앙과학관 전시 사업의 기술지원과
서비스 자문을 맡게 되었다.
하지만 국립중앙과학관의 요구사항은 당초 예상했던 수준보다 까다로웠는데, 기존
의 실감형 증강현실 시스템은
PC와 웹캠을 사용하여 실내 환경에서 인쇄된 책자를
인식하지만 국립중앙과학관은 야외에서 실제 공룡과 비슷한 모양의 간판을 설치하
고 모바일기기를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시나리오였다.
체험수기
06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케이쓰리아이 (대표 이재영)
●
회사 주소 :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480 엑스포과학공원
벤처종합영상관
3층
●
주요 사업 : 증강현실, 얼굴추적식별, 시스템통합(
SI)
ㅡ
52
53
ㅡ
증
강
현
실
기
반
흥
미
체
험
형
스
마
트
전
시
앱
개
발
기
술
현
장
지
원
당시 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던 모바일 버전의 실감형 증강현실 시스템은 연구개
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고 시범용 프로토타입 형태로 개발되어 현장에서
적용 했을 때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다. 실제 현장 테스트
를 진행하였을 때 예상보다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PC에서는 인식이 잘되던
이미지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전혀 동작을 하지 않거나, 모바일 기기의 성능 제약으
로 인하여 동작 속도가 느리고 메모리가 부족한 점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한두 가
지가 아니었다. 개발기간이 길지 않아서 과학관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기술적인 제
약들을 극복해나가야만 했다. 시간에 쫓기는 과정에서 공동연구기관인 카이스트와
함께 밤을 지새우며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문제점을 하나씩 해결해 나갔다.
상용화 현장지원에 있어서 기술적인 문제들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국립중앙과학
관의 신규 콘텐츠 개발 사업은 케이쓰리아이가 주도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었는데, 여기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과학관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요구사항
을 케이쓰리아이가 담당하여 해결하다보니 기술적인 요소에 대해서 대처가 힘들었
다. 이 과정에서 과학관-케이쓰리아이-
ETRI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
루어지지 않아서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무리한 기술적 요구사항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런 소통의 문제에서 발생하는 불만은 기술개발의 어려움보다 더 큰 부담
으로 다가왔다. 사업 초기에 발생한 소통의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 직접 과학관을
찾아가서 담당자들과 함께 기술 현장 시연을 하는 등 의사소통에 두 배의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조금 늦긴 했지만 이런 소통의 문제를 해결해나가지 않았다
면 상용화 현장연구는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현재 케이쓰리아이의 국립중앙과학관 흥미체험형 스마트 전시 앱 개발 사업은 최
종 테스트를 마치고 서비스를 눈앞에 두고 있다. 기나긴 상용화 현장지원의 과정에
서 많은 어려움과 고비가 있었지만 그 노력들이 지금은 하나씩 성과가 되어 돌아오
고 있다. 케이쓰리아이는 국립중앙과학관의 또 다른 사업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추
가 기술이전을 눈앞에 두고 있다.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국립중앙과학관에
ETRI
기술이 소개 되면 실감형 증강현실 시스템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고 더 나아가 다양한 곳에서 상용화를 원하는 업체가 생겨날 것이다.
[ 국립중앙과학과 실외 상성전시관 공룡 체험 콘텐츠 ]
ㅡ
54
55
ㅡ
증
강
현
실
기
반
흥
미
체
험
형
스
마
트
전
시
앱
개
발
기
술
현
장
지
원
SW·콘텐츠연구소 음성처리연구실(실장 박전규)은 국내 콜센터 녹취 솔루션 시장에 있어서 외국 기업과의
경쟁력 제고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의 채산성 강화 및 매출 증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음성인식 엔진의
음향/언어모델을 최적화하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로 인해 ㈜보이스웨어가 녹취음성인식분야 세계 최고기업인
미국
Verint사의 BMT를 수행하여 사업을 수주하였고, KB카드 및 KT의 콜센터 녹취음성인식 시스템을 지원하여
15억~20억 매출을 창출하였다.
ㅡ
56
57
ㅡ
콜
센
터
서
비
스
를
위
한
한
국
어
음
성
인
식
기
술
현
장
지
원
콜센터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 음성인식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2. 7 ~ 2014. 12. 31
●
지원규모 :
0.85 M/M
●
지원자명 : 강병옥 선연, 박전규 책연, 송화전 선연, 강점자 책기,
전형배 선연, 김현우 선연, 정호영 책연, 정의석 선연(총
8명)
지원 내용
●
콜센터 녹취데이터 샘플을 이용한 음성인식 엔진의 음향/언어모델 최적화 및
성능 극대화
●
음성인식 최적화 도구 구축/제공, 최적화
know how 전수
●
기술이전에 따른 온-오프라인 교육,
OJT(On-the-JOb-Training) 형식의 기술이전
교육,
BMT 사이트 파견형 상용화 현장지원 수행
●
콜센터의 보안 특성상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점을 고려한 콜센터
현장 파견 및 밀착형 지원
현장에서 꽃 피운
에트리 기술
●
Redmine이라는 이슈관리 tool을 이용한 체계적인 지원프로세스 운영 및
실시간 대응
지원 성과
●
KB카드 및 KT 등 두 대표적인 기업의 콜센터 녹취인식시스템 발주 사업에
참여하여 국내의 콜센터 분야에서 이미 활발히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해외
업체인
Verint사와 수개월간의 BMT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업 수주
● 사업 수주의 핵심 경쟁력인 음성인식 기술의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15억~
20억원의 매출 창출 효과를 거둠
● 음성인식 성능 향상 측면에서 음향/언어모델을 최적화 후 음성인식감소율
27%를
달성함에 따라 수주에 결정적인 기여
●
지원기간 동안 다양한 기술지원 및 인력훈련을 통해 현재는 보이스웨어에서
독자적인
BMT 참여가 가능한 수준
[ 콜센터 서비스를 위한 음성인식 개념도 ]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SW콘텐츠연구소 자동통역인공지능연구센터 음성처리연구실 박전규 실장
이전 기술명
●
IVR 서비스를 위한 연속어 음성인식 기술(평가용 음성인식 엔진)
●
콜센터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 음성인식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콜센터의 상담원과 고객과의 통화 녹취 데이터를 자동으로 음성인식 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대화체 음성을 그 대상으로 하는 인식 기술
●
콜센터 녹취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녹취록으로 자동 변환한 후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식정보를 추정하는
SA(Speech Analytics)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기술로서, 세부 응용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상담원 대응의 타당성 여부 판단
● 고객 불만 사항 및 이슈 조기탐지
● 상담원의 표준스크립트 준수 여부 판단
● 계약 주요사항에 대한 고객동의 여부 판단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보이스웨어 (대표 이종석)
●
회사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154, 9층
(성수동
2가 예림출판문화센터 빌딩)
●
주요 사업 : 음성인식, 음성합성 기술 응용 솔루션 개발
ㅡ
58
59
ㅡ
콜
센
터
서
비
스
를
위
한
한
국
어
음
성
인
식
기
술
현
장
지
원
- 상품주문, 상담
- 금융상품 조회
- 전화번호 검색
- 고객 불만 및 문의
-
etc.
인터넷 또는
전화망
자연어 음성
빅데이터
자연어 대화체 음성 인식 기술
고 객
녹취장비
CRM 시스템
음성인식/분석 서버
상담원
비정형
자연어
인식기술
핵심어
검출기술
ㅡ
60
61
ㅡ
콜
센
터
서
비
스
를
위
한
한
국
어
음
성
인
식
기
술
현
장
지
원
[ (주)보이스웨어 음성기술 솔루션 ((주)보이스웨어 홈페이지) ]
회사 소개
(주)보이스웨어는 음성인식, 음성합성, 영어교육 등 음성언어 솔루션 전문기업
으로서 동 분야 국내 매출
1등 기업이며, 해외지사를 통해 미국, 일본 등으로
솔루션을 수출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단계에 있다.
특히 국내 다수 증권사의 증권정보 조회시스템, 은행/보험 등 금융권의 텔레
뱅킹시스템에 음성인식, 음성합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콜센터 녹취음성인식 분야를 위해
ETRI의
음성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KB카드 및 KT 등 국내 대표기업의 콜센터 녹취인식
시스템 발주 사업에 참여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한바 있다.
콜센터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
음성인식 기술 상용화 지원
“
음성인식 기술은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어하거나 필요한 정보 서
비스를 얻기 위해 인간이 가진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도구인 음성언어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통칭한다. 이러한 음성인식 기술 활용의 궁극적인
모습은
SF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처럼 로봇에게 자연스럽게 말을 걸어 명령
을 수행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형태일 것이다.
이러한 영화 속 로봇 캐릭터의 대표적인 예로
1977년에 최초 개봉한 스터워즈 시
리즈의 ‘
R2-D2’나 ‘C-3PO’ 와 최근 2014년에 개봉한 인터스텔라에 등장하는 로
봇인 ‘
TARS’ 가 있다. 시간적으로 약 40년의 간격이 있는 두 영화에서 등장하는
로봇은 사람의 음성을 알아듣고 필요한 정보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점에서 기능
적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각은 많은 차이가 있다. 즉,
1970년대에는 이러한 로봇이 현실이 아닌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말 그
대로 꿈의 기술이었다면 현재는 그 형태가 로봇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뀌었을 뿐 현
실 생활에서도 일부 구현되어 일반인들도 사용하고 있고, 학계/산업계의 음성인식
분야 연구실에서 그 성능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현실의 기술이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학계, 산업계, 연구소에서 음성인식 분야를 연구하는 많은 기관들이
있고, 서로 기술을 교류하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그 중
ETRI와 ㈜보이스웨어
는 현재까지 가장 꾸준히 음성인식 분야의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연구소와 업계를
대표하는 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ETRI는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음성인식 원천 기
술 연구와 함께 수백만 행선지를 인식하는 음성인식 네비게이션, 차량용 음성제어
AVN(Audio, Video, and Navigation)을 시작으로 모바일 음성검색, 자동통역(지
체험수기
07
음성합성 솔루션
음성인식 기술
음성인식 영어학습
데이터를 말로 읽어주는 솔루션으로
임의의 문장을 입력받아 사람의 목소리에
가깝게 읽어주는 기술
기계가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명령을
수행하게 하는 음성인식 솔루션으로
자동화를 실현하는 최첨단 기술
사용자의 영어 발성을 원어민 음성과
자동 비교평가하여 결과를 알려주는
영어 말하기 학습/평가 프로그램
ㅡ
62
63
ㅡ
콜
센
터
서
비
스
를
위
한
한
국
어
음
성
인
식
기
술
현
장
지
원
니톡), 영어교육(지니튜터) 등 한 발 앞선 음성인식 기술의 상용화를 이끌어 왔다.
㈜보이스웨어는 우리나라에
IT 벤쳐 붐이 일던 1999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국내
업계를 대표하는 음성인식, 음성합성 등의 음성기술 및 응용 기술 전문 기업으로
국내 뿐 아니라 일본, 미국시장까지 진출하여 다국적 음성기술 업체와 경쟁을 하고
있다.
콜센터 영역은 음성인식 연구 및 상용화 사례에 있어서 오래전부터 역사를 함께하
고 있는 분야이다. 미국 통신회사
AT&T 벨연구소가 1990년대에 전화번호 안내서
비스에 적용한 것이 본격적인 음성인식 기술 상용화의 시작이라고 기록되어 진다.
국내에서도 증권사의 증권정보 조회시스템, 은행/보험 등 금융권의 텔레뱅킹시스
템 등에 적용되어 스마트폰 음성검색 이전에는 일반인들이 음성인식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었던 분야라고 볼 수 있다.
음성기술의 발전에 따라 콜센터 영역에서의 음성인식 서비스도 진화를 해왔다.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고립단어 발성부터 서비
스 메뉴선택 및 고객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콜센터 영역 음성인식의 초기 형태라
면, 이후 “이번 달 결재대금 알려줘” 와 같은 자연스런 사용자 발성에서 키워드를
인식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최근에는 빅 데이터 기술과 결합하여 대용량의 녹취 음성데이터로부터 텍스트 정
보를 추출하는
STT(Speech to Text) 기술을 기반으로, 상담원 대응의 타당성 여부
판단, 고객 불만 사항 및 이슈 탐지, 상담원의 표준 스크립트 준수 여부 판단, 계약
주요사항에 대한 고객동의 여부 판단 등 콜센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
는 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보이스
웨어도
2012년부터 ETRI와 협력하면서 관련 기술을 축적해 왔다.
이러한 콜센터 녹취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음성인식은 일반적인 음성인식 서비스에
비해 해결하기 쉽지 않은 몇 가지 제약사항이 있다. 첫째로, 음성인식 대상이 되는
콜센터 녹취 음성은 일상에서 사용되는 자연어 음성이다. 즉, 고립어 음성 및 음성
인식 서비스를 염두하고 정제된 형태로 발성된 낭독체 음성이 아닌 상담원과 고객
간의 대화 음성이 주를 이룬다. 실제로 녹취된 음성 샘플 들어보면, 사람이 들어도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경우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일반적인 음성인
식 서비스 사용자에 비해 콜센터 고객의 경우 화자 구성이 다양하다. 아직까지 음
성인식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요 연령대는
IT 기술에 친숙한 젊은 연령층의 비중이
높은 반면, 콜센터 녹취 음성에 나타나는 고객 음성은 젊은 층부터 노년층까지 다
양하다. 특히 보험 영역 콜센터의 경우 홈쇼핑 등에서 보험 판매의 주요 고객인 노
년층의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음성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 등의 보안 이슈로 인해
음성데이터의 접근에 제약이 많다.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인
식 대상이 되는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훈련을 하거나 튜닝을 해야 하
는데 데이터 접근에 대한 공간적/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성능 개선에 한계가 있다.
㈜보이스웨어에 콜센터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기술을 기술이전 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성능개선을 병행하였다. 우선 자연어 음성을 대상으로 한 음
성인식 오류분석을 통해 오류 패턴을 파악하고, 간투사 등 음성인식 성능저하의 요
인이 되는 패턴을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연어 음성
DB를 반영하여
기존의 콜센터 음향환경에 최적화한 음향모델을 훈련하여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떨
어지는 고객 음성의 인식 성능을 향상하였다. 앞서 기술한대로, 콜센터 음성인식
의 경우 개인 정보 유출 문제로 인해 음성인식에 사용되는 음향/언어 모델 및 음성
전처리 튜닝을 위해 필요한 음성데이터를 콜센터 보안 영역 외부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한된 컴퓨팅 환경과 소량의 콜센터 녹
취 음성/텍스트 데이터를 가지고도 음향/언어 모델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도구를 개
발했고, 이를 활용하여 음성인식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기술이전과 병행
하여 ㈜보이스웨어 연구원들이 직접 콜센터 상용화 현장에서 음성인식 개발환경을
적용하고 서비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세 차례의 오
프라인 기술이전 교육을 수행하고,
BMT를 수행하는 콜센터 현장에 직접 파견되
어 현장지원을 하거나 전화 및 이메일을 이용한 수시 원격지원을 하였다.
콜센터 음성인식 영역에서
STT를 적용한 녹취음성 분석 시장은 이미 국내의 대규
융합기술연구소 스마트포스트연구팀(팀장 김주완)은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및 제어기술” 현장지원을
통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의 우편물 접수 및 배달기를 이용하여 통상 및 소포우편물의
접수 및 수령을 할 수 있는 제어기술을 완성했다. 이를 통해 ㈜헤드로 하여금 국내 최초 무인우체국 사업을
수주토록 하였고, 향후
5년간 200대(예상 매출액 72~180억 원) 정도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 콜센터에 녹취 장비와 관련 솔루션을 납품해 왔던
Verint라는 미국업체가 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었다. 국내 대표적인 콜센터 보유 기업인
KB카드
와
KT 콜센터 녹취인식 시스템 발주를 위한 BMT 사업에 참여하여 Verint 등 국
내외 업체와 경쟁하였고, 앞선
ETRI 음성인식엔진의 성능 및 기술이전 참여 연구
원의 지원과 ㈜보이스웨어 연구원의 헌신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두 업체 모두 최종
적으로 사업을 수주할 수 있었다.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및
제어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2. 5 ~ 2014. 11. 12
●
지원규모 :
4.8 M/M
●
지원자명 : 나동길 선연, 박문성 책기, 박진형 선연, 정찬호 선연
지원 내용
●
이전 기술의 무인우체국 구축사업 적용을 위한 성능 안정화 및 애로기술 지원
●
사업수주 평가를 위한 상용화 수준의 기술완성도 확보 및 운영 중 요구기능
개발 지원
●
발주자(우정사업본부) 및 이용 고객의 요구 기능 개발 지원
●
현장 시험운영(김포, 하남) 지원 및 오류 검증, 기능 개선
●
기술이전 담당자 및 무인우체국 운영관리자 교육(
5건)
●
무인우체국 개국행사 시연 지원(
2014년 5월)
ㅡ
64
65
ㅡ
무
인
우
편
접
수
배
달
통
합
기
운
영
및
제
어
기
술
현
장
지
원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융합기술연구소 우정물류기술연구부 스마트포스트연구팀 나동길 선연
이전 기술명
●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및 제어기술
이전 기술 내용
●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우체국의 핵심 구성 장비인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의 운영 및 제어 관련 기술임
●
우편고객은 우체국 근무시간 외에도 통합기를 통해 안내자 없이 우편물을
접수하거나 수령할 수 있는 장비로,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음
● 소포우편물 (
5호 상자 크기 이내) 접수 기능
●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가로, 세로, 높이) 자동 측정 기능
● 우편물 요금 산정 기능
지원 성과
●
국내 최초로 구축된 무인우체국(발주처, 우정사업본부) 사업 공동 수주 쾌거
달성
●
무인우체국 아리랑
TV 홍보 및 개국소식 조선비즈 등 언론사 보도
●
시스템 장애 발생률 감소(안정화 기간 중 월
8.5회 => 지원 종료 후 월 1회)
●
우편서비스 이용자 대상 이용편의 설문 만족도 향상(
76% => 92%)
●
우편용 통합기 운영제어 기술에 대한 서비스 운영 수준의 산업경쟁력 확보
●
향후
5년간 매출액 50억 원 이상 달성 예상
● 우정사업본부는 향후
5년간 200대 규모의 통합기 도입 예정(시장규모 180억)
● 최초의 사업수주 및 운영기술 습득을 강점으로 시장점유율
60% 예측 시, 향후 5년간
누적 매출
108억 예상(보수적 전망(시장점유율 40%) 기준 72억 예상)
ㅡ
66
67
ㅡ
무
인
우
편
접
수
배
달
통
합
기
운
영
및
제
어
기
술
현
장
지
원
● 접수/수취 택배의 보관 기능
● 우편물의 배달 및 수취 알림 기능(
SMS)
●
H/W제작사에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표준제어 기능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헤드 (대표 이재용)
●
회사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
18길 31(성수동2가 273-10)
풍림테크원
2층
●
공장 주소 : 경남 양산시 덕계동
234
●
주요 사업 : 무인택배 시스템 제조, 운영 및 유지보수
[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시스템 ]
[ (주)헤드 무인택배 시스템 설치 사례 ((주)헤드 홈페이지) ]
회사 소개
지난
2000년 설립된 ㈜헤드는 우리나라 무인택배 시스템 산업의 선두주자로,
“무인택배시스템
LOCK(樂)”을 개발하여 전국의 아파트나 지하철역 등 공공
장소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가 발주한 무인우체국 구축사업에 관련
제품을 납품하여 경기도 김포시 및 하남시에 우리나라 최초의 무인우체국을
성공적으로 탄생시켰고,
ETRI의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이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무인택배시장을 선점해 나아가고 있다.
ㅡ
68
69
ㅡ
무
인
우
편
접
수
배
달
통
합
기
운
영
및
제
어
기
술
현
장
지
원
우리나라 무인우체국 탄생의
역사적인 현장에 서다.
“
2014년 5월 30일 김포 학운산업단지 내의 김포 이젠 무인우체국에서의 개국식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무인우체국의 서막이 열렸다.
무인우체국은 창구직원이 근무하는 일반 우체국과 달리 고객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직접 우편물을 접수하고 찾을 수 있는 첨단의
ICT 기술이 적용된 무인우체국
이다. 우정사업본부는 무인우체국을 비즈니스빌딩, 지하철역 등 일반인이 많이 오
가는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우체국 근무시간은 물론, 근무시간 전과 후에도 운영함
으로써, 우편고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우편창구의 무인화를 통해 경영 효율화
를 추구해왔다.
무인우체국의 주요 구성장비 중 하나인 무인우편접수배달 통합기는
2013년 1년간
의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되어
2013년 12월 무인 배달함 제조기업인 ㈜헤드에 기술
이전 되었다.
아파트 등의 무인 배달함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유하고 있던 기술이전기업은 연구
개발 과정에서 인연을 맺게 되어, 우정사업본부가 추진하는 우편서비스 무인화에
기반한 무인우체국 사업에 비즈니스적인 가능성을 발견하고, 신사업분야에 참여하
게 되었다. 무인 배달함 분야의 사업을 꾸준히 영위해 온 기술이전 기업의
HW제조
분야와
ETRI가 보유한 운영 및 제어 SW기술의 결합을 통한 우편분야 신규제품의
사업화라는 시대정신에 부합한
R&D 사업은 그렇게 첫걸음을 내딛었다.
하지만,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개발
R&D정책에 부합하는 연구개발과제는 화려
체험수기
08
해보이며 성공에 근접해 보이는 사업적 미사여구 뒤에 현장중심의 연구개발이라는
냉혹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었다. 출연처인 우정사업본부의 긴박한 사업추진에 따
라 서비스 제품의 설계부터 개발까지
1년이라는 짧은 시간이 주어져, 숨 가쁘게 달
려온 연구개발의 결과물은 개발완료의 이정표를 채 지나기도 전에 상용화 연구를
위해 다시 목표를 설정하고 나아가야만 했다.
상용화 연구의 첫 단계는 연구개발단계에서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고객 요구사항
을 우편프로세스에 맞추어 설계하고 적용하는 일이었다. 짧은 연구개발 기간으로
시작품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던 연구결과물에 정책입안부처인 우정사업본부
와, 사업발주자인 우정사업정보센터, 서비스 이용자인 일반고객의 요구를 반영하
고, 다양한 이용 환경을 고려한 예외사항들을 반영해야만 했다.
정책협의는 서울 우정사업본부에서, 우편시스템과의 연계 개발 협의는 전남 나주
의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HW와 연계한 상용품 개발은 이전기업이 위치한 경남
양산에서, 전국의 끝단을 삼각으로 이어나가는 기나긴 여정은 상용화 과정에서 맞
닥뜨린 고난 중의 하나였다. 상용화 연구과정 중 직면한 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개
국예정일을 한 달 조금 넘게 남겨놓은
3월 즈음 발생했다. ETRI 및 제조사의 개발
환경에서 문제없이 수행되던 기능이 무인우체국 구축 현장 시험과정에서 올바르게
[ 무인우체국 개국식 장면 <조선비즈.
2014. 05. 30> ]
ㅡ
70
71
ㅡ
무
인
우
편
접
수
배
달
통
합
기
운
영
및
제
어
기
술
현
장
지
원
동작하지 않는 것이었다. 장비 설치환경이 기능에 영향을 주는 예상치 못한 문제로
파악되어
HW의 보완 개선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었으나 보완개발 후 테스트 및
적용까지 주어진 시간이 부족했다. 기능 개선 없이는 오류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
고, 고객의 민원이 예상되는 상황이라 고민은 계속되는데 해결책은 떠오르지 않는
즈음, 개국 연기라는 희소식이 전해져 왔다.
2014년을 기억하게 하는 사건인 세월
호 사건으로 인하여
4월 말로 예정된 무인우체국 개국이 1개월 연기되었다는 소식
이었다. 돌이켜보면, 국가적으로 슬픈 사건이었지만 본 상용화연구에 있어서는 하
나의 돌파구가 되었던 사건이다.
2014년 5월 30일 무인우체국 개국과 개국행사에서의 성공적인 시연으로 상용화
연구는 그 막을 내리는 듯 했으나, 현실은 새로운
2막의 시작이었다. 서비스 개시
와 함께 기술개발의 현장에는 새로운 요구사항을 가진 많은 고객과 수많은 테스트
를 피해 숨어 있는 오류들과 만나야 했다.
23:30분까지의 서비스 운영시간을 피해
기능 개선 및 적용은 야간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안의 긴급성에 따라 휴일에도
개선작업은 계속되어야만 했다.
때론 그 끝이 보이지 않을 것 같은 상용기술 개발 및 개선은 서비스 개시를 한 달
쯤 지나고 나서 안정화에 접어 들 수 있었다. 오류발생 빈도는 눈에 띄게 줄었고,
개선 작업 중 만나게 되는 이용고객의 시선들도 따뜻해졌다.
연구실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자들 또한 그 나름의 매력에 빠져있겠지만,
현장의 끝없는 요구와 개선의 한가운데에 있는 상용화 연구의 매력은 연구팀의 노
력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는 것, 끊임없이 개선된 결과를 통해 조금씩 고객의 마음
을 움직이는 마치 자식과 같은 살아 움직이는 듯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덧붙여 개발팀의 소중한 노력이 우리나라 무인우체국 탄생 및 그 확산에 밑거름이
되고 있다는 자긍심이 이른 아침과 늦은 밤, 그리고 공휴일까지 상용화 현장인 김
포와 하남을 오르내리며 끝없는 개선을 통한 성과물의 완성을 이루게 하였다.
통신인터넷연구소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실장 이범철)은 분산 클라우드 통합 관리 기술 현장지원을 통해
이전 기술 적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설계, 시스템 통합 환경 구축 및 통합 시험을 통한 안정화 및 기능 보완,
사업수주를 위한
BMT 준비 및 요구기능 개발 지원, 사업화를 위한 홍보 및 전시회 준비 참여 등을 지원하여
㈜아이엔소프트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관리 플랫폼 사업화 및
SKT BMT 업체로 선정되었고, 미래부
ICT기술사업화기반 구축사업에 선정(6.97억원) 되었으며, 향후 3년내 23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아직 기술개발의 막은 내려지지 않은 채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15년 상반기에 무인우체국 확대구축 사업이 추진 중이며, 하반기에도 사업이 예
정되어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는 사업의 확산이라는 열매를 하나 둘 맺고 있다. 우
수한 기술을 만들어 갈수록 그 열매 또한 견실하리라고 믿는다. 또한 사업이 확산
될수록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상용화 현장연구는 도돌이표처럼
계속될 것이다. 다시 험난한 현장연구에 빠져드는 시간이 다가오겠지만 그 시간들
을 헤쳐 나올 즈음엔 성과와 기술, 참여한 개발팀 모든 것이 한 단계 더 발전해 있
을 것을 기대해본다.
[ 하남 아이데코 무인우체국(좌) / 장비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보내는 장면(우) ]
분산 클라우드 관리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9. 1 ~ 2014. 12. 8
●
지원규모 :
4.2 M/M
●
지원자명 : 윤승현 책연, 김병식 책연, 박종근 선연
지원 내용
●
이전 기술 적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설계 및 애로기술 지원
●
시스템 통합 환경 구축 및 통합 시험을 통한 안정화 및 기능 보완 지원
●
사업수주를 위한
BMT 준비 및 요구기능 개발 지원
●
사업화를 위한 홍보 및 마케팅 지원 : 전시회 준비 및 공동 참여 등
●
품질 고도화를 위한 시험 절차서 작성 및 시험 검증 지원
지원 성과
●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의 경쟁력을 글로벌 기업 수준으로 고도화하여 국내
유일하게
NFV Orchestrator SKT BMT 대상 기업으로 선정 (2014.12.) :
ㅡ
72
73
ㅡ
분
산
클
라
우
드
관
리
기
술
현
장
지
원
글로벌 기업
Ericsson, Cisco, Nokia를 제치고 선정됨
●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한 미래부의
ICT 기술사업화 기반 구축 사업 수주
(
2014.10.)로 (주)아이엔소프트의 클라우드/NFV 플랫폼 시장 경쟁력 고도화
●
분산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Cloud OS인 Cloud Mesh, NFV 기능을 제공하는
Cloud Mesh for NFV 제품 개발
●
ETSI에서 추진하는 NFV PoC 선정
●
CES 2015 전시회에 출품하여 글로벌 마케팅 추진
●
전자신문
2014 인기상품 브랜드 우수 기사 보도
●
3년 누적 국내 예상매출액 230억 원 이상, 국외 예상 매출액 27백만 달러 예상
● 상기 매출액 및 점유율은 본 상용화 현장지원의 도움을 받아 (주)아이엔소프트가
수주한(
2014.10.) 미래부 ICT 기술사업화 기반 구축 사업인 ‘분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 사업계획서의 ‘사업화 목표’에서 인용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통신인터넷연구소 스마트네트워크연구부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윤승현 책연
이전 기술명
●
분산 클라우드 통합 관리 기술
ㅡ
74
75
ㅡ
분
산
클
라
우
드
관
리
기
술
현
장
지
원
이전 기술 내용
●
소규모 클라우드 센터(
Micro DC)가 네트워크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
●
분산 클라우드는 스마트 네트워킹 핵심 기술의 요소 기술 중 하나로서, 네트
워크-컴퓨터-스토리지-미디어 처리 자원이 통합된
Micro DC를 구성하고
이를 지역적으로 분산 배치하고 통합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가상의 서비스 인프라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산 클라우드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설치된 분산 클라우드 즉, 다중
Micro DC를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인프라를
동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아이엔소프트 (대표 황광익)
●
회사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2동 504
(문래동
3가, 에이스하이테크시티)
●
주요 사업 :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 구축,
플랫폼 구축
[ 분산 클라우드 관리 개념도 ]
회사 소개
지난
2002년 설립된 (주)아이엔소프트는 우리나라 통신망 관리 및 모니터링
솔루션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국내 통신사에 다수의 솔루션 제품을 공급
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독자적인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
Cloud Mesh)을 2011년
출시하고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솔루션을
2012년 출시(Data Mesh)함으로써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4년에는 ETRI의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분산 클라우드 및
NFV 분야의 기술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
Cloud Mesh (Cloud OS) 솔루션 ]
ㅡ
76
77
ㅡ
분
산
클
라
우
드
관
리
기
술
현
장
지
원
새로운 시장 및 신개념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네트워크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쳐
서 네트워크를 고려한 분산 클라우드 또는 네트워크 기능을 클라우드 자원을 이용
하여 제공하는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술 및 시장이 태동하고
있다.
분산 클라우드는 네트워크에 소규모 클라우드 센터를 분산 배치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 인프라를 즉시 생성하여 통합된 자원을 서비스 사업자에게 손쉽게
임대함으로써 통신 사업자가 다양한 수익을 창출하고 서비스 사업자는 손쉽게 고
품질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보하며, 서비스 사용자는 고품질의 서비
스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NFV는 네트워크 기능 또는 네트워크 서
비스를 클라우드 자원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분산 클라우드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분산 클라우드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분산 클라우드에 대한
통합관리 기술이 필요하며, 핵심적인 모듈과 기술이 개발되어
2014년 ㈜아이엔소
프트에 기술이전 되고 사업화 추진을 기대하였다. 분산 클라우드 통합 관리기술은
다양한 기술이 통합되고 연계되어야 완성되는 것으로서
ETRI에서 개발한 기술뿐
만 아니라 기업이 기존에 보유한 다양한 기술, 제품, 경험이 통합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이엔소프트는 통신망 관리와 클라우드 기술 분야에 독자적인 솔루션을 상용화
하고 이 제품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개념이 만들어진지 불과
2년 밖에 안 되는 분산 클라우드 및 NFV
분야에 대한 솔루션 및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ETRI에서 개발된 요소 기술과
체험수기
09
기본 개념의 이해만으로 기술들을 통합하여 솔루션 및 제품을 설계하고 완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실제로 수 개월간 통합 세미나 및 설계지원 회의를 수
차례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나 신속한 개발이 진행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
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전된 기술을 업체가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그릇, 즉, 솔루션
에 대한 설계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고 새로운 기술과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끌어올
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들이 상용화 현장지원을 해야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실제 파견 현장에서 초기에 겪었던 어려웠던 점은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차이였
다. 업체에서는 현장(통신망 사업자)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
는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와 큰 차이를 보여서 처음 얼마간은 그 의미를 명확히 서
로 알아듣지 못하는 일까지 있었다. 또한 설계와 개발 작업에서 결과물의 수준, 개
발 기간에 대한 각자 경험과 달성방법에 대한 생각 차이는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ETRI 연구원은 좀 더 상세하고 정교한 설계를 시간을 들여 완성하고 시스템 구현
에 착수하는 반면, 기업 개발진들은 우선 가설계를 통하여 일단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수시로 미진한 부분을 추가 설계하여 보완하는 방식으
로 작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또한 일부 파트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반대로 나타나
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서로 일을 추진하는 방법과 시간 배분, 목표 수준의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초기에 그 격차를 줄여야 했으며, 생각을 일치시키고 적응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향후 기술이 상용화되어 현장에 적용되는 경우에 기업 개발
진들이 실제 대응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가능한 업체의 개발방식을
존중하고 따르고자 하는 자세로 임하여 그 격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상용화 현장연구를 통해 기업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개념과 기술을 이해시켰으며,
반대로
ETRI 연구원들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 및 솔루션을 상세히 파악해 나가면
서 용어 및 생각의 차이를 해소하였으며, 설계 및 기술개발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
었다.
ㅡ
78
79
ㅡ
분
산
클
라
우
드
관
리
기
술
현
장
지
원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나노융합센서연구실(실장 이성규)은 저전력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 이전을
통해 모바일용 압전 스피커 기술 교육 및 시제품 개발에 따른 제작 평가, 디스플레이용 고출력 압전 스피커
개발 및 성능 검토, 압전 스피커 품질 개선 및 신뢰성 확보 등 양산성 검토 등의 지원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
㈜블루콤은 세계 최고 수준의
1kHz 이하 저음 재생 가능한 모바일용 0.4t 초박형 압전 스피커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13.2억 원의 매출을 실현하였다.
분산 클라우드 및
NFV 시장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통신사업자
BMT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다행히 앞서 노력으로 BMT를 받을 수 있
는 수준의 시제품이 빠르게 완성되어 이에 대한 참여가 가능했으나 짧은 준비기간
으로 인해 안정화 및 추가 기능 개발이 불충분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되지 못한 아쉬
움이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 및 개념이 포함된 새로운 시장에 여러 글로벌 벤더
를 제쳤으며, 국내업체로서는 유일하게 동일 수준에서
BMT까지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었다.
상용화 현장지원을 수행하면서 또 한 가지 체험한 것은 국내
IT 중소기업과 컴퓨
팅 관련 생태계의 열악한 환경이다.
BMT를 받기 위해서는 수억대의 장비가 기본
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구매해서 보유할 여력이 없었으
며, 임대한 서버들은 사양이 낮아서 실제 시험에서 성능이나 용량에서 불리한 시험
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특히, 매우 아쉬웠던 것은 컨소시엄을 구
성하여 같이 납품을 할 만한 하드웨어 업체가 국내에 별로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
밴더들은 서버나 스위치와 같은 하드웨어까지 라인업을 갖추거나 아니면 협력사와
같이
BMT를 준비하는 상황에 비교하여 국내업체는 간신히 임대한 장비로 시험환
경을 구축해야 하는 처량한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이 경험을 통하여 기술뿐만 아
니라 통합 및 안정화 작업을 할 수 있는 통합 시험환경과 기본적인 자원을 지원하
는 것이 중요함을 실제로 경험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생태계가 어느 정도 구축된 분야에서 연구개발과 요소기술에 대
한 기술이전으로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생태계가 미약하거나 창조적으로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하는 분야의 기술개발은 특정 핵심기술만 개발하는
것으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업체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솔루션 전
체에 대한 설계, 개발 및 지원 환경 등을 한꺼번에 고려하고 고민해야 할 것이다.
첫 번째
BMT에서는 선정되지 못하였으나 올해 예상되는 여러 기업의 BMT에 대
응할 준비가 충실히 진행되고 있다. 올해는 이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 기업과
ETRI
가 승부를 걸어야 하는 한해가 될 것 같다.
ㅡ
80
81
ㅡ
저
전
력
초
박
형
압
전
세
라
믹
스
피
커
기
술
현
장
지
원
저전력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2. 3. 9 ~ 2014. 11. 28
●
지원규모 :
10.1 M/M
●
지원자명 : 김혜진 책연, 양우석 책연
지원 내용
●
모바일용 압전 스피커 기술 교육 및 시제품 개발에 따른 제작 평가 지원
●
디스플레이용 고출력 압전 스피커 개발 및 성능 검토 지원
●
압전 소자 부품 국내 이원화 개발 추진에 따른 성능 검토 및 평가 지원
●
압전 스피커 수요층 확보 및 기술 프로모션을 위한 제작 및 평가 지원
●
압전 스피커 품질 개선 및 신뢰성 확보 등 양산성 검토 지원
●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 대응을 위한 원내 평가 장비 활용 시제품 평가 분석 지원
(
2013. 7. 11 ~ 2014. 5. 6 26건)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나노융합소자연구부 나노융합센서연구실
김혜진 책연
이전 기술명
●
저전력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압전 세라믹 스피커 저음 특성 개선을 위한 음향 진동판 구조 최적화 설계 기술
●
압전 세라믹 스피커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 설계 및 제작 기술
●
본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의 주요 특징
● 기존의
VCM 스피커 대비 초박형(두께 1mm 이하) 구현 가능
● 기존의 상용 압전 스피커 앰프를 사용할 수 있는 저전압 구동 가능(최대전압:
5Vrms)
● 기존의 상용 압전 스피커 대비 출력 음압 특성 우수 (>
87dB@10cm)
● 기존의 상용 압전 스피커 대비 저음 성능 우수 (<
1kHz)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블루콤(대표 김종규)
●
회사 주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벤처로
116
●
공장 주소 : 중국 천진시 무청 경제 기술개발특구 천흥로
5호
지원 성과
●
1kHz 이하 저음 재생 가능한 모바일용 0.4t 초박형 압전 스피커 제품 개발
(세계 최고 수준 저음 특성 확보 및 초박형 유닛 개발)
●
모바일용 압전 스피커 시제품 내구성 및 환경시험에 대한 신뢰성 확보
(낙하, 연속부하, 저온, 고온, 열 충격 시험 모두
PASS)
●
0.2kHz 이하 sub-woofer range 재생 가능한 TV용 2t 초슬림형 압전
스피커 제품 개발 및 고객 프로모션 (세계 최고 수준 저음 특성 확보)
●
TV 및 홈시어터 등 적용 가능한 Hi-Fi급 압전 스피커 시제품 개발 및 연속
부하 신뢰성 확보
●
제품 개발을 위한 초기 설계 및 특성 분석 지원으로, 기업의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 확보 및 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품질
20% 향상)
●
해당 기술의 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약
8개월의 제품 개발기간 단축 및 0.25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 달성
●
본 기술 제품 양산 대응을 위한 총
2명의 신규 인력 충원, 일자리 창출에 기여
●
매출액
60억 원 이상 달성 예상
●
S사 메디칼사업부 의료기기용 압전 세라믹 스피커 파일롯 검증 진행 중이며, 2015년
양산 예정으로 연
3,000~5,000개 생산 약 연 20억 원의 매출 예상
● 모바일 및
TV용 압전 스피커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 중이며, 양산 적용 검토 후
2016년 생산으로 약 연 40억 원 매출 예상
[ 모바일용 초박형 압전 스피커 유닛 시제품 ]
[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의 응용 분야 ]
ㅡ
82
83
ㅡ
저
전
력
초
박
형
압
전
세
라
믹
스
피
커
기
술
현
장
지
원
●
주요 사업 : 스피커, 리니어 모터, 블루투스,
GPS 등 음향 및 무선통신 부품
회사 소개
지난
1990년 설립된 ㈜블루콤은, 법인설립 4년만인 1994년 500만 불 수출 탑을
수상하고,
2010년에는 5,000만 불 수출 탑을 수상하는 등 휴대폰 음향 부품 및
무선통신 분야의 국내 생산을 선도하는 최고 기업으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마이크로스피커 및 리니어 모터 등의 휴대폰용 음향 부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휴대폰용
블루투스 모노헤드셋을 자체 개발하여
2014년 현재 블루투스 스테레오헤드셋,
와이파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모듈, 초박형 블루투스 모노헤드셋 등 무선통신
부품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개발, 양산을 진행하고 있다.
㈜블루콤은
2014년 1,200억 매출을 달성하는 등 휴대폰 음향 부품 및 무선통신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으로 국내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및
생산설비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미래 차세대 부품에 대한 선행 개발을 꾸준히
추진 중이다.
기업 밀착형 현장연구지원,
초박형 압전 스피커 상용화
눈앞으로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요구되는 IT 전자부품의 경박단소
화가 급속히 요구됨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가
청음으로 변화하는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핵심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
다. 개발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는 두께
1mm 이내로 구현이 가능하여, 기존
3mm 두께의 보이스코일 모터(VCM) 스피커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스피커로
서 주목을 받았다.
㈜블루콤은 마이크로스피커 생산 국내
2위 기업으로서 2014년 1,200억 매출을 달
성하는 등 휴대폰용 음향 부품 산업에서 국내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차세대 음
향 부품에 대한 선행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지속적인 개발 및 성장
을 준비하는 기업이다. ㈜블루콤은 기존의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해
ETRI에서 보유하고 있는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을 2010년 및
2012년 2차례에 걸쳐 이전받았고, 이전 기술의 획기적인 박형, 저전력 소모 등의
많은 장점을 부각하여 모바일 시장에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압전 세라믹 스피커는 초박형, 초경량, 저전력 소모 등 많은 장점에
도 불구하고 구동전압이 수십 볼트에 이르는 등 별도의 구동앰프 개발을 필요로 했
고 출력음압 및 저음특성 등 성능적인 면에서도 기존의
VCM 스피커의 수준을 따
라가지 못했다.
2013년 초, ㈜블루콤에서는 ETRI와의 압전 세라믹 스피커 추가 기
술 개발을 위해 상용화 현장연구지원을 요청하였고,
ETRI에서는 개발된 기술에 대
한 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조속한 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수행하였다.
체험수기
10
[ 모바일용 초박형 압전 스피커 유닛 시제품 ]
[ 모바일용 초박형 압전 스피커 유닛 시제품 ]
ㅡ
84
85
ㅡ
저
전
력
초
박
형
압
전
세
라
믹
스
피
커
기
술
현
장
지
원
ETRI에서는 기업 맞춤형 기술 지원을 위한 전담 인력을 구성하고 2013년 3월부
터
2014년 11월까지 1실 1기업지원 및 상용화 현장연구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지
속적인 기술 교육 및 평가 분석을 지원하였으며,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 대응을 위
한 원내 평가 장비를 활용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시제품 평가 분석 및 신뢰
성 확보를 위한 제품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모바일 기기,
TV, 태블릿,
의료기기 등 다양한 압전 세라믹 스피커 제품 라인 구성을 위한 시제품별 핵심 기
술 개발 밀착 지원을 통해, 압전 세라믹 스피커 사업화를 위한 양산성 검증 등에 참
여 지원하였다.
이러한 기업 밀착형 상용화현장연구지원을 통해 개발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
커는,
5V 이하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1kHz 이하의 저음 재생이 가능하며 0.4mm
두께로 구현 가능하도록 개선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저음 성능 및 초슬림형을 만족
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낙하, 연속부하, 저온, 고온, 열 충격 시험 등의 환
경시험에서 모든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개선되어 조속한 사업화 및 제품화가 가능
하게 되었다. ㈜블루콤에서는 현재 의료기기용 압전 세라믹 스피커 양산을 위한 파
일롯 검증을 진행 중이며,
2015년 약 20억 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모바일 및
TV용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시제품도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 중이며, 2016
년 양산을 목표로 시제품 적용 검토를 진행 중이다. 분명히, 초기
ETRI에서 개발
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는 기업 밀착형 상용화 현장연구지원을 통해 많은 발
전을 하였음에 틀림없다.
ETRI에서 개발된 압전 세라믹 스피커의 장단점을 정확히
분석하고, 기술 사업화를 위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요구스펙을 반영할 수 있었기에
현재의 성능 향상도 가능했을 것이다. 초기 개발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
은 핵심설계기술에 관련한 연구개발로서 뼈대를 만드는 작업이었다면, 상용화 현장
연구지원을 통한 기술 개발은 사업화를 위해 기업이 원하는 살을 붙이고 옷을 입히
는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빛나는 보석도 원석에 정을 대고 다듬어져야 그 가치를 여
실히 보여주듯이,
ETRI에서 개발된 많은 기술도 기업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냉철한
분석과 추가적인 상용화 기술 개발의 과정이 있다면 그 기대효과는 상상 이상일 것
이다.
상용화 현장연구지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ETRI와 기업 간의 신뢰일 것이
다. 아무리 실력이 좋은 파트너도 서로 신뢰하지 못한다면 발전을 공유하지 못하기
에 결국 큰 성과를 얻지 못한다. 상용화 현장연구를 통한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
커 추가 기술 개발 및 평가 분석 지원 과정에서, ㈜블루콤은 고객사에 공격적인 마
[ 기업 밀착형 기술 지원을 위한 (주)블루콤 연구현장 방문(
2013. 6. 5) ]
ㅡ
86
87
ㅡ
저
전
력
초
박
형
압
전
세
라
믹
스
피
커
기
술
현
장
지
원
[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 기술 사업화 전략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전파신호분석연구실(실장 최용석)은 준고정 전파측정 시스템 기술에 대한 현장지원을 통해,
이전 기술의 전파관리 사각지대 구축사업 적용을 위한 성능 안정화 및 애로기술, 사업수주 평가를 위한 상용화
수준의 기술완성도 확보 및 운영 중 요구기능 개발, 현장 시험운영(부산) 및
2014 ITU 전권회의 전시회 참가를
통한 해외수출 지원 등을 실시하여, 미래부, 국토부, 국방부 등에 전파감시시스템을 납품하여 운영 중에 있고,
전파감시시스템 해외수출
6백만 불 달성 및 국내 전파감시 시스템 매출(200억 원 예상)을 달성하였다.
ㅡ
88
89
ㅡ
준
고
정
형
전
파
측
정
시
스
템
상
용
화
및
운
용
기
술
현
장
지
원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 상용화 및
운용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2. 5 ~ 2014. 11. 12
●
지원규모 :
3.96 M/M
●
지원자명 : 박광문 책연, 김상태 책연, 김창섭 책연, 태기철 선연,
김강희 선연, 최용석 책연
지원 내용
●
이전 기술의 전파관리 사각지대 구축사업 적용을 위한 성능 안정화 및 애로
기술 지원
●
사업수주 평가를 위한 상용화 수준의 기술완성도 확보 및 운영 중 요구기능
개발 지원
●
현장 시험운영(부산) 지원 및 오류 검증, 기능 수정
●
2014 ITU 전권회의 전시회 참가를 통한 해외수출 지원
●
2014 미래부 성과확산 대전 기술 전시 및 홍보
●
2014년 핵안보정상회의장 주변 전파환경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 지원
케팅을 추진하며 고객의 니즈를 에트리에 전달하였고,
ETRI는 요구스펙을 반영하
여 시제품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을 ㈜블루콤과 공동 수행하였
다. 시장의 흐름과 기술의 현주소를 공유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기업 밀착형 상용
화 현장연구를 지원하였기에 초박형 압전 세라믹 스피커의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향후 압전 세라믹 스피커의 사업화를 통한 기업의 매출 증대 및 기술 경쟁력
향상을 위해
ETRI에서는 다양한 제품 라인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 지원을 해
나갈 예정이다.
지원 성과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국제협력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필리핀 전파사용
촉진을 위한 ‘한국형 전파 모니터링 시스템 개도국 무상 보급 사업
(총
400백만 불)’에 기술이전 업체 수주 및 2015년 구축 예정
●
전국적으로 전파음영 지역에 단계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파관리 사각지대
해소
●
조선일보, 전자신문, 매일경제 등 주요 일간지 포함
24건 이상 언론사 홍보
(
11. 25)
●
지원기업 관련기술 예상매출액
150억 원 이상 달성 예상
●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중앙전파관리소 향후
5년간 40대 도입 예정(시장규모 80억)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해양수산부 산하 해상교통관제센터 등의 정부 및
민간 기관과 국방기관의 기존 수요가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
●
10년 이상 전파 모니터링 사업 수주, 운영 및 유지보수 관련 노하우 습득을 강점으로
시장점유율
50% 예측 시, 향후 5년간 누적 매출 200억 예상(보수적 전망 (시장
점유율
40%) 기준 160억 예상)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전파기술연구부 전파신호분석연구실
최용석 실장/책연
이전 기술명
●
준고정 전파측정 시스템 기술
이전 기술명
●
기존의 전파관리 사각지대에 설치된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의 핵심 구성
장비인 광대역 안테나 및 전파측정 분석시스템의 상용화 및 운영 관련 기술
ㅡ
90
91
ㅡ
준
고
정
형
전
파
측
정
시
스
템
상
용
화
및
운
용
기
술
현
장
지
원
●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중앙전파관리소에서는 전국
88개소의 전파측정
사이트에서 불법전파 탐사 및 위해 전파원 해소에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소출력 무선기기의 이용 증가에 따른 전파관리 사각지대가 증대함에 따라
전파이용 불편 민원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 이에 전파관리 사각지대에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ETRI가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고 중소기업에 기술이전 하였으며 주요 규격은
다음과 같음.
● 주파수범위
:
20~6,000 MHz (최대 IF 대역폭: 25 MHz)
● 입력 포트 수 :
2개
● 스캔 속도
: ≳
8GHz/sec(@10kHz RBW)
● 잡음지수
: ≲
12 dB typ.
● 음성 복조
:
AM, FM, USB, LSB, CW
● 크기/무게
:
300x360x200mm / 9.9kg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에이앤디(대표 이원락)
●
회사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8길 31(성수동2가 273-10)
●
주요 사업 : 전파 관리 시스템 제조, 운영 및 유지보수
[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 ]
ㅡ
92
93
ㅡ
준
고
정
형
전
파
측
정
시
스
템
상
용
화
및
운
용
기
술
현
장
지
원
회사 소개
A&D는 전파 관리 분야와 종합 재난 예·경보 솔루션에서 선도 기업이다. 1984년
창립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전파감시 고도화 사업에 참여해 지능형 전파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신기를 비롯해 차량형 및 휴대형 시스템 등 관련 장비의
국산화를 실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자전 무기 국산화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A&D는 전파 관리 및 재난 예·경보 분야의 해외시장 진출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스리랑카 몽골 인도네시아 등에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또 라오스, 몽골,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등에서 전파 관리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 ]
청정 전파환경을 지키는
준고정형 전파측정 시스템으로
전파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다
“
1888년 독일의 헤르츠가 전파를 발견하고, 1899년 이탈리아의 마르코니가 영국과
프랑스를 연결하는 무선통신 실험을 성공했다. 이후
110여 년 동안 전파기술은 통
신, 방송, 휴대전화,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파이용은 지난
1910년 인천 월미도에 등대 무선국과 ‘광제호’ 선박
이동국 간의 무선전신이 최초다. 그 후
1932년 경성 무선전신국에서 무선전보 업
무를 시작했고,
1927년 경성방송국에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1961년에는 서울중앙방송국에서 TV방송을 시작했고, 1984년 제 1세대 차량전화
개시 등 국내 방송ㆍ통신ㆍ항법 등 관련 전파자원을 이용하는 무선국 수가 기하급
수적으로 증가했다.
이제는 전 국민이 한 개 이상의 무선기기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최근 주파수 경매
및 밀양 송전탑 뉴스를 보면 이제는 전 국민이 전자파 환경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1961년 전파관리법(현재는 전파법)을 제정해 허가 및 이용절차를
규정하고, 편리한 이용을 위해
1947년부터 체신부 전무국 광장분실을 설치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중앙전파관리소 및
12개 지방전파관리소에서는 전파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불법전파 탐사 및 전파혼신 해소를 위해
CS기동반 운영도 하고 있다.
과거의 전파관리(방향탐지 및 전파측정) 장비는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 독점적
으로 생산하는 기기를 고가에 구입해 사용하였으나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였다.
체험수기
11
ㅡ
94
95
ㅡ
준
고
정
형
전
파
측
정
시
스
템
상
용
화
및
운
용
기
술
현
장
지
원
개발 초기 전파 모니터링 장비를 외산 장비에 의존하였던 중앙전파관리소 운용요
원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끈임없이 운용자 교육을 통해 국산 장비의 성능 및
기능의 우수성을 소개하였다. 특히 고가의 외산 장비 대비 합리적인 가격과 새로운
무선 서비스와 시스템 오류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장점으로 점차적인 국산 장비의
신뢰가 쌓여 지난
10년 동안 우수한 성능의 국내 전파관리시스템을 전국 곳곳에 설
치ㆍ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개발도상국의 전문가들이 우리의 전파관리
시스템을 찾고, 운영기술을 전수 받기위해 해마다 많은 이들이 관련 시설을 방문하
거나 교육에 참가하고 있다. 선진국 장비와 동등한 성능에 가격 경쟁력이 높은 국
내 전파관리시스템을 이들 국가에 수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수입대체 효과에
의한 외화절감은 물론 시설의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절감은 계속 될 것
이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에게 기술이전을 추진함으로써 매출 향상과 새로운 일자
리 창출, 정부에서 추진하는 창조경제를 앞장서 견인하고 있다.
국내 전파관리 시스템은 국가의 전파관리뿐만 아니라 공항의 안전한 무선통신 관
리와 해양 분야 선박무선 위치 탐지, 국방 분야에까지 그 시장을 점점 넓혀가고 있
다. 향후 글로벌 시장은 한정적인 국내시장과 달리 새로운 일자리를 창조하는데 크
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정부의 창조경제는 새로운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으로 경쟁력 있는 우수한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ETRI는 이미 TDX 전전자교환기 개발, CDMA 상용화, DMB 개발, WiBro 개
발 등 수많은 우수기술을 개발해 기술이전 및 상용화를 추진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백ㆍ만ㆍ조’ 계획을 선포했다.
2017년까지 100개의 벤처기업을 창업해 1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총 매
출
1조원을 달성하기 위한 ‘백ㆍ만ㆍ조’ 프로젝트를 위해 모든 연구원들이 노력하
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1연구실마다 1개 이상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1
실
1사 지원제도’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전파관리시스템도 여기에 동참해 이제는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다.
[ 한국-크로아티아 장관급 전파관리
MOU 체결 장면 ]
<연합뉴스,
2014.10.23>
[ 대한민국
R&D 연구성과 전시(좌) 및 ITU-전권회의 전시 장면(우) ]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RF융합부품연구실(실장 임종원)은 S-band GaN 소자공정 교육, 소자 구조 및 Layout
교육, 전력소자 측정 및 평가 교육 실습, 화합물반도체 기반 공정 교육 및 공정 장비별 공정
recipe 및 최적화 조건
교육 지원을 실시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고출력
GaN전력소자 생산기술을 확보, 국내 화합물반도체 산업 활성화 및
관련 시스템 산업 선도,
GaN 전력소자 사업화를 위한 요소기술을 확보하였다.
S-band 50W GaN 전력소자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7. 7 ~ 2014. 10. 2
●
지원규모 :
4.45 M/M
●
지원자명 : 김해천 책연, 안호균 선연, 이종민 책연
지원 내용
●
ETRI 화합물실험실에서 S-band GaN 소자공정 교육 및 실습 지원 2회
●
S-band GaN 소자 구조 및 Layout 교육 지원
●
공정 완료된
S-badn GaN 전력소자 측정 및 평가 교육 및 실습 지원 2회
●
화합물반도체 기반 공정 교육 지원
●
문헌 조사를 통한
GaN 기술동향 교육 지원
●
공정 장비별 공정
recipe 및 최적화 조건 교육 지원
ㅡ
96
97
ㅡ
S
-b
an
d
50
W
G
aN
전
력
소
자
기
술
현
장
지
원
현장에서 꽃 피운
에트리 기술
ㅡ
98
99
ㅡ
S
-b
an
d
50
W
G
aN
전
력
소
자
기
술
현
장
지
원
지원 성과
●
ETRI의 GaN 전력소자 특성은 세계 선진사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으로 기술
이전 및 상용화 지원을 통해 (주)기가레인이 시장경쟁력 있는
GaN 생산기술
확보
●
ETRI 기술 습득을 통한 GaN 전력소자 사업화 기간 단축
●
국내 화합물반도체 산업 활성화 및 관련 시스템 산업 선도
●
GaN 전력소자 사업화를 위한 요소기술 확보
●
GaN 전력소자 생산을 위한 S-밴드 공정기술 확보
●
GaN 전력소자 평가를 위한 RF 측정기술 확보
●
GaN 전력소자 layout 기술 확보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광무선융합부품연구부
RF융합부품연구실
김해천 책연
이전 기술명
●
S-band 50W GaN 전력소자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민/군수용 레이더에 사용하는
S-band GaN 고출력 전력증폭기는 선진국
으로부터 기술 도입이 어려워 국내 기술 확보가 필수적인 분야
●
(주)기가레인은 국내에서
GaN 전자소자를 양산하기 위한 화합물반도체
생산시설을 구비하고
ETRI로 부터 S-band 50W GaN 전력소자 기술을 이전
받았으며 주요 기술이전 내용
●
S-band GaN 전력소자 Layout
●
S-band GaN 전력소자 Runsheet
●
S-band GaN 전력소자 공정 실습 및 교육
●
S-band GaN 전력소자 시험절차서
●
S-band GaN 전력소자 시험결과서
●
S-band GaN 전력소자 공정 완료된 웨이퍼 2장
● 관련 기술문서 및 지적재산(
TM/TDP, 특허)
[
GaN 전력소자 응용 분야 ]
[
GaN 전력소자 응용 분야 ]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기가레인(대표 구황섭)
●
회사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삼성
1로5길 46
●
주요 사업 : 반도체 공정장비,
RF부품 등
회사 소개
(주)기가레인은
2001년 당시 국내에서는 미개척 분야인 고주파기술을 기반으로
창립하여 현재
LED 식각장비 등 반도체 공정장비와 RF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특히 스마트폰과 기지국 및 항공기에 들어가는
RF케이블 조립체를
국내 유일하게 생산 공급하는 전문회사로 향후 화합물반도체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고출력
GaN 전력소자 및 MMIC 생산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이다.
우리나라 화합물반도체 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
처음 (주)기가레인에서 화합물반도체 산업에 투자하여
GaN 트랜지스터를 양산할
계획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반신반의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오랜 기
간 투자해 온 분야인데 국내 중소기업이 이들과 경쟁할 수 있을까?”, “아무리 화합
물반도체라고는 하지만 반도체 생산라인에 투자하는 예산이 만만치는 않을 텐데
정말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막상
ETRI를 통해서 기술이전을
하고 상용화 현장 지원을 위해서 기가레인으로부터
3명의 직원이 파견되어 왔을
때에는 “아, 정말 하는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국내 화합물반도체 생산업체 탄생이
현실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GaN 트랜지스터 기반 고출력 전력증폭기는 각종 레이더 및 통신 시스템의 핵심
단위 부품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 효율, 신뢰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
을 한다. 또한, 전체 기술 중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아 현재까지도 해외 선진 사들이
독점하고 있는 기술 분야이다.
GaN 트랜지스터는 2000년대 들어와 상용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새로운 반도체
로 그 우수성은
GaN 반도체의 물성에서 기인 한다. GaN은 높은 에너지 밴드 갭,
높은 내압/내열특성 및 큰 포화전자이동속도의 물성을 가지므로 출력이 매우 높고
고효율/저전력 소자 구현이 가능하여 최종 시스템의 소형/경량화에도 유리하다.
따라서
GaN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출력 전력증폭기에 대한 국내외 수요
업체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주요 기술 및 시장 분석 기관에서는 향후
2 3년
사이에 기존
TWTA와 GaAs, Si 기반의 기술을 전면적으로 대치할 것으로 예상하
고 있어
GaN 기반 반도체 고출력 증폭기 기술 개발은 국내 국방기술의 선진화와
체험수기
12
ㅡ
100
101
ㅡ
S
-b
an
d
50
W
G
aN
전
력
소
자
기
술
현
장
지
원
향후 민수분야의 급격한 시장 확대를 고려할 때 반드시 확보해야 되어야 될 미래
핵심기술이다.
국내
GaN 트랜지스터 연구는 ETRI를 비롯하여 서울대, 동국대, 포항공대, 전북
대 등에서 주로 소자 공정 및 에피층 성장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ETRI에서
는
100 watt 급 S-band GaN 고출력 트랜지스터 및 30 watt 급 X-band GaN 고
출력 트랜지스터를 개발하여 국내
RF 부품업체들에 기술이전하고 상용화를 추진
하고 있었으나, 국내에 양산하는 업체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주)기가레
인에서
GaN 트랜지스터 양산을 추진한다는 소식은 국내 GaN 트랜지스터 연구하
는 사람들에게는 더할 나위없는 기쁜 소식이었다.
상용화 현장지원은 아직 (주)기가레인에 시설이 구축되지 않아
ETRI 화합물반도체
실험실에서 진행되었다. 처음 (주)기가레인에서 파견 나온 사람들을 만났을 때 새로
운 분야의 사업을 시작하는 신념과 의지를 느끼면서 “국내 화합물반도체 산업이 이
들의 어깨에 달려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자 기대감과 함께 부담감이 느껴졌다.
사실 화합물반도체 공정은 실리콘반도체 공정에 비해서 안정되어 있지 않다. 특히
GaN 반도체의 경우 에피층에서 생성되는 여러 가지 결함과 채널 층이 표면 상태
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공정 수행이 정해진
recipe 대로 진행되지
않고 상황에 맞추어 변화해서 진행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한마디로 공정을 수행하
는 사람의 ‘감’이 매우 중요하며 이 ‘감’은 오랜 경험에서부터 나온다. 그래서 우리는
표준 공정을 기반으로 현장 실습을 진행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대화를
함으로써 우리가 느끼는 ‘감’을 최대한 전수하고자 하였다.
상용화 현장지원이 진행되는 동안 우리는 (주)기가레인 파견자들과 실험실, 측정
실, 또는 세미나실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많은 토론을 하였다. 현장 실습은
GaN
트랜지스터 일괄공정 및 측정으로
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첫 번째 공정은 ETRI
연구원이 진행하며 교육 위주로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공정은 실습 위주로 파견자
들이 직접 공정을 수행하며 진행하였다.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파견자들은 처음
에
ETRI 공정에 대한 신뢰가 많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아마도 화합물반도체 공정
이 안정되지 않고 실험실마다 다른데서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즉 화합물반도체
공정은 정해진 정답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이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여
러 상황에 대해 토의를 하면서
ETRI 연구원과 (주)기가레인 파견자들 사이에 서로
신뢰가 쌓이기 시작하였고
ETRI 공정을 기반으로 (주)기가레인이 고유의 GaN 공
정을 구축할 것으로 생각한다.
[
ETRI에서 개발한 S-band/X-band 고출력 트랜지스터 ]
[
ETRI에서 개발한 S-band/X-band 고출력 트랜지스터 ]
ㅡ
102
103
ㅡ
S
-b
an
d
50
W
G
aN
전
력
소
자
기
술
현
장
지
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항법연구실(실장 김재훈)은
GPS L1과 L2 신호대역 혼신원 검출 및 방향파악 기술
지원을 통해 제품 수주를 위한 제안서 작성 방법 및 시험 방법 기술지원, 현장설치 사이트 후보지 조사 지원,
상용화를 위한 단계별 시험 및 현장시험기술 지원을 실시하여
GPS 혼신원 감시시스템 상용화 성공으로 국토부,
공군에
11기를 납품하였다.
지금 (주)기가레인에서는 화합물반도체 시설 구축이 진행 중이며
2015년에는 완공
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면 국내
GaN 트랜지스터의 생산과 함께 그 동안 침체되어
있던 국내 화합물반도체가 활성화 될 날이 멀지 않다고 믿는다. 또한 사업이 확산되
어 국내의
GaN 고출력 트랜지스터가 세계 시장을 누비게 될 날을 기대해 본다.
GPS L1과 L2 신호대역 혼신원 검출 및
방향파악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3. 1. 10 ~ 2013. 12. 10
●
지원규모 :
3.5 M/M
●
지원자명 : 이점훈 책연, 정성균 선연, 주인원 책연
지원 내용
●
성능 및 가격 면에서 우수하다는 기술 홍보, 제품 수주를 위한 규격 작성 등
제안서 작성 방법 및 시험 방법 등 기술 지원
●
현장설치 사이트 후보지 (거진, 대성산 등) 조사 지원
●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단계별 시험 및 현장시험 기술지원
●
미래부(중앙전파관리소) 수주 성공 가능하도록 기술 세미나 개최
●
제안서 규격 작성 지원
지원 성과
●
제품을 수주하도록 지원하고, 제품이 성공하도록 현장 시험 절차서 작성 지원
ㅡ
104
105
ㅡ
G
PS
L1
과
L2
신
호
대
역
혼
신
원
검
출
및
방
향
파
악
기
술
현
장
지
원
등으로 사업화 성공
●
ICAO(국제 민간항공기구)회의 전시회 참여 및 인천공항 관계자에 관련자료
제공 홍보
●
베트남
ODA사업관련 홍보 및 Space Solution Conference(EU)
●
상용화된 본 제품을 미래부 중앙전파관리소가 현장에 설치 운용결과에
대해서 다른 기관(국토부, 공군)도 성능 및 가격 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인정하여 구매 설치 운용 중에 있으며(총
11기), 추가 수요 예정
●
GPS 혼신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막고 안정적인 시각 및 위치정보 제공
으로 국내 기간통신망 등 국가 인프라 운용에 불필요한 자원 낭비 예방 가능
●
위성항법 주파수 및 신호감시 인프라 장비로서 국가차원의 대응책 마련하기
위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
●
민간분야에서도 항법 신호 감시 및 대응 관련 기술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여 사업화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무선융합연구부 위성항법연구실
이점훈 책임연구원
이전 기술명
●
GPS L1과 L2 신호대역 혼신원 검출 및 방향파악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본 기술 구성은 위성항법주파수 혼신원 감시시스템은 혼신원 검출 서브
시스템, 혼신원 방향파악 서브시스템, 혼신원 위치파악 및 영향범위 파악 서브
시스템으로 분류
●
혼신원 검출 서비시스템은 혼신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발생된 혼신 신호의 수신세기 측정 기능, 발생된 혼신의 형태가 어떤
형태인지를 판단하는 혼신 형태 파악 기능, 혼신 발생 시 입력 샘플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는 기능 및 혼신정보를 통신망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능 수행
●
혼신원 방향파악 서브시스템은 혼신이 검출되었을 때 혼신의 방향을
파악방향파악기법은 방향성 안테나(
LP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세기와 두
개의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위상차 검출 방식의 두 가지 하이브리드
결합하는 방식 이용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넷커스터마이즈(대표 안명수)
●
회사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184번길 29
●
주요 사업 : 위성통신시스템, 혠 신호처리 및 방탐, 국방
M&S 솔루션
[
GPS 혼신원 감시시스템 ]
ㅡ
106
107
ㅡ
G
PS
L1
과
L2
신
호
대
역
혼
신
원
검
출
및
방
향
파
악
기
술
현
장
지
원
[ 위성통신시스템((주)넷커스터마이즈 홈페이지) ]
회사 소개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는
2000년 1월에 설립된 벤처기업으로 창업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건실한 중소기업입니다. 현재 넷커스터마이즈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 계층(하드웨어 로직 및
FPGA,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우수 개발자를 보유하고 있는 기술 집약형 벤처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GPS 교란 신호원을 찾아라
“
GPS 항법신호는 이동통신기지국(2세대/4세대), 군 미사일, 전력공급 시스템, 지상
파
DMB, 전력 공급,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금융 거래 등에서 시각동기용으로 사
용됨은 물론 차량 내비게이션 등에서 측위정보 제공에 기반기술로 군 및 민간분야
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 신호는 노이스 레벨보다 낮기 때문에
외부 전파교란 신호에 쉽게 수신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2011년 3월 북한과 인접한 경기 서북부의 GPS 전파교란으로 이통기지국이 주로
피해를 당했고, 항공기
106대에서 GPS 시스템의 전파장애가 발생하였으며 선박
10척(해군함정 3척 포함)에서도 GPS 수신 장애가 발생하였다. 특히 11년 3월의
발생된 혼신 세기는
2010년 8월에 발생된 전파교란시보다 피해규모가 7배 이상일
정도로 신호세기도 높고, 강원도 일부도 피해를 당했다. 북한과 접경한 모든 지역
이
GPS 공격 대상에 포함된 것이라고 알려졌다. 3차례의 GPS 전파교란이 발생된
주파수 대역은
GPS L1(1575.42 MHz) 대역은 물론 L2C(1227.60 MHz)에도 발
생되었다.
이에 따라
GPS 전파교란 발생시 GPS 전파교란에 대한 발생정보를 신속 및 정
확하게 검출하고 발생된 전파교란 세기로 인한 영향범위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
GPS L1과 L2 신호대역 혼신원 검출 및 방향파악 기술”이 약 1년 반 동안 개발되
어
2012년 ㈜넷커스터마이즈에 기술이전 되었다.
㈜넷커스터마이즈는 본 기술을 이용하여 정부 기관인 해수부에
4기, 미래부에 5기,
공군에
2기를 수주하여 납품하였다.
체험수기
13
ㅡ
108
109
ㅡ
G
PS
L1
과
L2
신
호
대
역
혼
신
원
검
출
및
방
향
파
악
기
술
현
장
지
원
이에 앞서 기술 개발 검토 분석이 약
6개월 소요되었고, 필요한 부품을 구매해 실
험실에 구현하였다. 실험은
ETRI 10동 옥상에 설치하고, 7동 옥상에서 실험 전파
(
GPS L1 + 10MHz)를 송신하였다. 사용 중인 주변의 GPS 신호 혼신을 주지 않
기 위해서
L1 신호보다 10 MHz 옵셋을 주었으나 신호가 강해서 주변 실험중인
[ 대성산
1500m 정상에 설치된 시스템 ]
[ 도별
3차원 영향분석 표시 ]
GPS 수신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후에는 근거리에서 신호를 약하게 송신하여 실험
하였다. 실험에 성공한 후 ㈜넷커스터마이즈에 기술이전 하였다. 기술이전 후 상용
화를 위해서 정부기관(미래부 중앙전파관리소, 공군, 해수 등) 관계자를 초청하여
시스템 시연 등을 통해 우수성을 홍보하였다. 설치 사이트 현장 답사를 통해서 적
절한 후보지를 선정해주고 주변 전파 환경 시험도 수행 및 설치/시험을 지원하여
업체와 최종 고객인 정부 관계에게 모두 만족시키면서 사업화에 성공했다.
ㅡ
110
111
ㅡ
G
PS
L1
과
L2
신
호
대
역
혼
신
원
검
출
및
방
향
파
악
기
술
현
장
지
원
융합기술연구소 지역산업
IT융합연구실(실장 정윤수)은 이전 기술의 알고리즘 추가 개발, 임베디드 기반
시제품 제작을 위한 기술 지원, 현장 시험운영(대구, 달성군) 지원을 통한 오류 검증 및 기능 개선, 해외 전시회
지원(베트남)을 실시하여 고속 자동차 번호판 검출기술 프로토 타입 제작 후 실제현장 시범설치, ‘
15년 하반기
예정 자동차 번호판 검출 시스템 상용화를 달성하였다.
자동차 번호판 고속 검출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10. 6 ~ 2014. 11. 30
●
지원규모 :
3.0 M/M
●
지원자명 : 강현우 선연, 임길택 책연, 한병길 선연, 이종택 연구원,
김병근 선연
지원 내용
●
이전 기술의 알고리즘 보완
●
임베디드 기반 시제품 제작을 위한 기술 지원
●
현장 시험운영(대구, 달성군) 지원 및 오류 검증, 기능 개선
●
해외 전시회 지원 (베트남)
지원 성과
●
임베디드 기반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시제품 제작 지원 및 테스트 베드
구축 지원
ㅡ
112
113
ㅡ
자
동
차
번
호
판
고
속
검
출
기
술
현
장
지
원
현장에서 꽃 피운
에트리 기술
●
컨퍼스트에서 보유 중인 다른 차량 번호판 인식 엔진 대비 가장 우수한 성능
(컨퍼스트 보유 데이터베이스 사용,
98% 이상의 인식률, 가장 빠른 인식 속도)
●
베트남 번호판 시범 적용 지원 및 전시회 지원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융합기술연구소 대경권연구센터 지역산업
IT융합연구실 임길택 책연
이전 기술명
●
자동차 번호판 고속 검출 기술
이전 기술 내용
●
기존의 자동차 번호판 검출 기술은
PC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이 되었으나,
본 기술은 임베디드 형태로 제품 개발이 가능한 기술이다.
●
2메가 픽셀의 영상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고속으로 검출하고, 번호판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로, 자세한 기술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소자동차 번호판 검출 기능
● 다수 개의 자동차 번호판 동시 검출 기능
● 번호판 인식 기능
● 임베디드화가 가능한 고속 검출 기술
[ 자동차 번호판 고속 인식 기술 ]
[ 자동차 번호판 고속 인식 기술 ]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주)컨퍼스트 (대표 안순현)
●
회사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테크노순환로
10길 12-112
●
주요 사업 : 차량번호판 판독 시스템, 방범 카메라 시스템 등
ㅡ
114
115
ㅡ
자
동
차
번
호
판
고
속
검
출
기
술
현
장
지
원
회사 소개
(주)컨퍼스트의 모기업인 렉스젠(주)는 무인교통단속시스템, 고해상도 방범
카메라 시스템, 차량 번호판 판독 시스템 등 영상 인식 기술과 관련된 산업의
선두 주자로, 무인교통단속시스템 분야에서 국내 점유율이
2위에 달하는
기업이다. 렉스젠은
ETRI의 자동차 번호판 고속 인식기술을 이전하여 자사의
기술력을 업그레이드하고 동시에 연구소 기업인 컨퍼스트를 설립하여 핵심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곳으로 발전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번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ETRI의 알고리즘에 대한 기술 이전과 임베디드 기반의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해외 시장(베트남)으로의 진출도 지원하였다.
작지만 강한 기업
“
자동차 번호판 인식 기술은 영상 인식 분야에서 연구가 많이 된 주제 중 하나이다.
이번에 상용화 현장지원 기업인 컨퍼스트의 모기업인 렉스젠(주)는 무인교통단속
시스템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회사로 자체 개발한 번호판 인식 엔진을 비롯하여 이
미 여러 개의 상용화 번호판 인식 엔진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안주하지 않고, 우리
ETRI와 함께 새로운 번호판 인식 엔진을 개발하고, 전문적
으로 이러한 인식 기술을 개발할 연구소 기업 설립까지 추진한 것이다. 기술력 확보
에 대한 업체의 열정을 알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 인식이라는 다소 고전적인 주제
를 새롭게 연구 개발하는 연구원 입장에서 약간의 부담감도 있었다. 적어도 기업이
보유한 다른 엔진들 보다는 성능이 우수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연구에 임했고, 결론적으로 제법 괜찮은 성능의 인식 엔진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
렇게 상용화 현장 연구가 시작되었다.
상용화를 한다는 것은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과는 다른 종류의 문제들이
많이 존재했다. 우리가 당연하듯 가져다 쓰는 테스트 영상 한 장조차도 실제 환경
에서는 카메라 하드웨어와의 통신 속도, 시스템의 이미지 처리 속도 등 신경 써야
할 일들이 있었고, 평소 윈도우 환경에서 쉽게 컴파일해서 사용하던 소스 코드들도
임베디드 환경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손 보아야할 부분들이 많이 있었다. 솔직히
우리가 기술 이전을 하고 기술 전수를 위해 시작한 상용화 현장 연구였지만, 실제
상용화를 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오히려 컨퍼스트에서 근무하시는 연구원 분들에
게 많이 배우기도 했다.
두 번에 걸친 상용화 현장 연구를 하며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베트남 번호판 인식
기의 데모 버전을 만들어 전시회에 참가한 일이다.
체험수기
14
ㅡ
116
117
ㅡ
자
동
차
번
호
판
고
속
검
출
기
술
현
장
지
원
SW콘텐츠연구소 스토리지시스템연구실(실장 김영균)은 U+Box 서비스의 기반 파일 시스템 확장 적용을 위한
기능 및 성능 안정화 지원, 이전 기술의 상용화 수준의 안정성을 배가하여 신뢰할 수 있는 품질 확보, 현장(상암
데이터 센터) 시험 및 고객의 요구 기능 개선, 디스크 다중 장애 복구 검증 등 시험 및 안정화 활동(
46건)을 통해
상용서비스 가능 수준의 스토리지 기능시험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2015년 1분기에 상용 서비스에 투입하여
5년간 45억 원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예정이다.
베트남 번호판은 번호판의 모양도 한국의 것과 다르고, 한글 대신 영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하루 이틀 만에 인식 엔진을 개발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그러나 컨
퍼스트는 베트남에서 있을 전시회에서 이왕이면 한국 번호판 보다 베트남 번호판
이 인식 되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했고, 앞으로 업체가 해외에서 성공한다면 그것
이 우리
ETRI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기에 도와주고 싶었다. 상용화 현장 연구에 나
선 우리 연구원들은 전시회 환경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과, 인식해야 될 베트남
번호판의 샘플이 몇 개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약간의 트릭을 섞어 베트남 번호
판 인식기의 데모 버전을 일주일 만에 만들어 냈다. 물론 이것은 극히 제한된 환경
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일종의 맛보기 버전이지만 베트남 현지에서 실시간으로
베트남 번호판이 인식되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는 것은 그 곳의 바이어들에게 좋
은 인상을 주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업체의 연구원들과도 더 돈
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개인적으로 컨퍼스트와 그 모기업인 렉스젠은 필자가
6년간 지역 센터에서 근무하
며 만나본 많은 업체들 중에서 기술 개발에 대한 열정이 가장 큰 기업인거 같다. 이
런 기업과 만나 같이 연구를 하고 상용화를 위해 노력했던 지난 상용화 현장연구
경험은 앞으로 연구원 생활을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 베트남 전시 참가 당시
ETRI 부스 ]
ㅡ
118
119
ㅡ
대
규
모
클
라
우
드
파
일
시
스
템
확
장
적
용
기
술
현
장
지
원
대규모 클라우드 파일 시스템
확장 적용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9. 25 ~ 2014. 11. 24
●
지원규모 :
4 M/M
●
지원자명 : 차명훈 책연, 이상민 선연
지원 내용
●
U+Box 서비스의 기반 파일 시스템을 확장 적용하기 위한 기능 및 성능
안정화 지원
●
이전 기술의 상용화 수준의 안정성을 배가하여 신뢰할 수 있는 품질 확보
●
현장(상암 데이터 센터) 시험 및 고객의 요구 기능 개선
●
디스크 다중 장애 복구 검증 등 시험 및 안정화 활동(
46건)
지원 성과
●
U+ Box 스토리지의 성능 및 확장 유연성 제고
●
SW 기반의 저가 스토리지 서버를 활용하여 외산 스토리지 SW 대체
●
지원 기업 관련 서비스의 원가 절감 (향후
5년간 45억 절감 예상)
● 연간
10PB씩 5년간 50PB 확장 예정
ㅡ
120
121
ㅡ
대
규
모
클
라
우
드
파
일
시
스
템
확
장
적
용
기
술
현
장
지
원
[
U+ Box 제공 서비스 ]
[ 안드로이드폰/아이폰에서
U+ Box 서비스 설치 및 적용 화면 사례 ]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SW콘텐츠연구소 SW기반기술연구본부 클라우드컴퓨팅연구부 스토리지
시스템연구실 김영균 책임연구원
이전 기술명
●
10,000 사용자 이상 동시 접속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용 파일 시스템 개발
이전 기술 내용
●
수천~수만 동시 사용자 규모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최적의
스토리지 시스템
SW 기술
●
대규모 스토리지에서 데이터 입출력 성능 한계와 고비용 스토리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확장성(사용자 및 스토리지 공간)과 고성능 데이터 입출력
지원
●
주요 응용 영역
● 대용량 스토리지 및 서비스용 저비용 스토리지
●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분석용 대규모 스토리지
● 유전체 분석/산업 설계 등 고성능 컴퓨팅용 고성능 스토리지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
LG유플러스
●
회사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827 ㈜LG유플러스
●
데이터센터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16 LG U+ 상암사옥
●
주요 사업 : 유무선 통신 서비스 및 관련 부가 사업
회사 소개
LG유플러스의 전신은 1996년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자로 선정된 LG
텔레콤이며,
2000년대에 LG데이콤, LG파워콤을 흡수 합병하였다. 이동 통신
서비스, 국제전화, 시외전화, 광케이블 통신, 기간통신사업자 대상 전용회선 임대,
IPTV 등 유무선 통신과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 Box는 온라인 저장 공간에 업로드한 파일을 스마트폰, 패드, PC, TV에서
바로 즐길 수 있는 서비스로서, 클라우드,
HDTV, Mnet, iMORY, SimFile
등 다양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ETRI의 상용화 지원을 통해 U+ Box
스토리지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1천만 명 가입자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ㅡ
122
123
ㅡ
대
규
모
클
라
우
드
파
일
시
스
템
확
장
적
용
기
술
현
장
지
원
[
U+ Box 서비스 홈페이지 ]
스토리지 기술의 진화
:천만 명 가입자 이후의 서비스를
지원하며
“
스마트폰 사용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회사에서는 기존에 제공하던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이외에 특화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고객들을 유지하고
신규 고객들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전화와 문자 수 발신 이외에 통신회
사를 특화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은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면서 더욱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인터넷 상으로 대용량 저장 공간을 제공하면서, 음악 파일 등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장소 불문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서비
스는 통신회사가 아니어도 대규모 고객을 가지고 있는 기업체에서는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가입자 수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는 상황에서는 특정 기업체에서 단독
으로 대용량의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이를 유지관리하기가 상당히 힘든 현실이다.
본 연구실에서는 리눅스 운영체제가 설치된 저비용의 컴퓨터들을 대규모 클러스터
로 묶어서 각 컴퓨터들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공간들을 논리적으로 통합하여 단일
저장 공간을 제공해 주는 다양한 스토리지 기술을 개발해 왔다. 본 연구실의 스토
리지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들은 단일 클러스터로 동작하며, 클러스터 내의
컴퓨터들 중에서 일부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안정적으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율적으로 장애 복구가 가능하여 관리자들의 개입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특징은
인터넷 환경에서 대량의 가입자를 유치한 기업체들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입자들
을 위한 대용량 저장 공간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본 기술은 다수 기업체들의 인터
넷 서비스에 이미 적용되고 있다.
체험수기
15
ㅡ
124
125
ㅡ
대
규
모
클
라
우
드
파
일
시
스
템
확
장
적
용
기
술
현
장
지
원
㈜
LG 유플러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U+Box 서비스는 가입자에게 무료 저장 공간
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Mnet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플랫폼
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외산 스토리지 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사
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저장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신규 스트리지를 증설해야
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일체화된 고가의 스토리지 장비를 구매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 이외에도 그 사용자들이 업로드하는 데이터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외산 스토리지 기반의 서비스는 기업체에게 막대
한 고비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기업체 입장에서는 검증된 외산 스토리지를 사용
하고자 하는 유혹을 떨치기 어려운 것 또한 현실이다.
U+Box 서비스의 초창기부터 본 연구실의 스토리지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가입자
가 천만 명을 넘어간 지금은 본 연구실의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를 더 높은 수준으로
진화시켜서 서비스 규모에 따른 막대한 유지비용을 기존 대비 더욱 절감시킬 필요
성이 대두되었다. 다년간의 연구개발 결과, 본 연구실의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는 새
로운 모습으로 진화되었고,
2014년 여름에 ㈜LG 유플러스에 한차례 더 기술 이전
이 되었다.
기업체에서는 제공 중인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검증된 기술만을
도입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가입자 수가 천만 명 수준의 서비스에서는 기반 소프
트웨어를 더 더욱 엄격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실에서 새롭게 출시한 스
토리지 소프트웨어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업체에서는 각종 시험 시나리오 통과 등
다양한 요구 사항을 전달해 왔다.
본 연구실에서는 현장 밀착된 기업체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U+ Box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2014년 9월에 상용화현장연구를
시작하였다. 주 파견지는 ㈜
LG 유플러스의 중앙 기술원이었고, 서울 상암동에 위
치한 데이터 센터에 시험 장비를 마련하여 상용화 적용 이전의 최종 안정화 시험
위주로
2달에 걸친 지원 활동을 진행하였다.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와 밀접히 결합된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서 개발된
결과물을 안정화 시키는데 응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상당한 긴 시간이 필요하다. 다
양한 기능 시험 시나리오를 통과시키는 것은 기본이며, 스토리지 위에서 동작할 다
수 응용을 신속하게 동작시키기 위하여 정해진 성능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
한, 한번 기동되면 중단되지 않고 몇 년간 문제없이 동작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
여 장시간의 롱런 시험을 수행해야 하며, 하드웨어 부품들의 상시적인 장애 발생을
고려한 장애 감내 시험 등 엄격한 기준에 근거한 끊임없는 시험 및 안정화 활동이
필수적이다.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것은 실험실 수준에서 소규모 시스템을 개발하고 과제 종료
와 동시에 활동을 끝내는 것과 매우 다르다. 상용화된 서비스는 생명체와 같아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새로운 요구 사항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하드웨어 환경이
변경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가입자의 행동 패턴도 최초 가정했던 것과는 큰 폭으로
변경되는 등 매우 다이내믹하다. 특히, 서비스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
에 개발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엄격한 직업의식을 가지고, 기업체에서 지속적인 요
구 사항에 대하여 다년간 성실하게 지원해야할 의무가 있다.
개발 기간 동안 연구실 자체적으로 수많은 시험과 안정화를 거쳤지만, 이번 기술
이전에 대해서 기업체에서는 또 다른 기준으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진단하려고 하
였다. 파견 기간 동안에는 기업체가 필요로 하는 안정성 및 성능 위주의 시험을 수
행하였고, 새로운 기준에 대한 문서 작성과 신규 스토리지 소프트웨어가 적용되어
야 하는 각종 상황에서의 절차 확립을 위한 노력이 반복되었다. 특히, 서비스 적용
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시험 장비를 다수 세트로 구분하여 기
능, 성능, 장애, 롱런 세트를 동시에 병행 진행하였고, 각 시험 과정 동안 파악한 문
제점을 신속하게 해결하여 패치 하는데 최대한의 노력이 경주되었다. 이와는 별개
로 기업체 담당자들이 제기하는 끊임없는 질의에 대한 응답과 교육 활동은 파견을
마친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실장 이현우)은 적응형
IPTV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술지원을
통해 엘컴텍
STB를 활용한 고성능 클라우드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 브라우저 가상화를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 용
가상화 서버/단말 기능 개발, 인터랙티브 게임 자판기 서비스를 통한 가상화 기반 사이니지 서비스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통합 등을 지원하여
ITU전권회의 시연 성공, 암웨이에 110만달러, 도쿄 전력에 25만 불 수출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 동안 노력의 결실이
2015년 상반기에 맺어질 전망이다. 파견 활동을 마치고 나
서,
U+ Box 서비스의 신규 증설 자원에 대해서 2014년 이전된 기술이 적용되기로
확정되었다. 새로운 상용 서비스를 반드시 성공시켜야 된다는 또 다른 형태의 부담
감과, 한편으로는 개발된 기술이 세상에 진출한다는 자랑스러운 성취감이 연구실
에 감돌고 있다.
금년 상반기에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기에는 상암 데이터 센터에 본 연구실 연
구원들이 또 다시 상주하여 서비스의 안정적인 진행을 협조할 예정이다. 금년 상반
기가 기업체 지원활동으로 정신없이 바쁘게 지나갈 것이지만, 연구실의 산출물이
산고의 고통을 넘어 새로운 생명으로 커가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색다른 경험
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기업체도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고,
본 연구실의 기술 수준도 한층 더 진화된 상생을 기대해 본다.
적응형
IPTV오버레이
멀티캐스트기술 현장지원
지원 현황
●
지원기간 :
2014. 2월, 8월 (2개월)
●
지원규모 :
2.0 M/M
●
지원자명 : 신일홍 선연
지원 내용
●
이전 기술의
T-DMB 적용을 위한 성능 안정화 및 애로기술 지원
●
사업개척을 위한 상용화 수준의 기술완성도 확보 및 운영 중 요구기능 개발
지원
●
엘컴텍
STB를 활용한 고성능 클라우드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
●
브라우저 가상화를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 가상화 서버/단말 기능 개발
●
인터랙티브 게임 자판기 서비스를 통한 가상화 기반 사이니지 서비스와 클라
우드 게임 서비스 통합
ㅡ
126
127
ㅡ
적
응
형
IP
TV
오
버
레
이
멀
티
캐
스
트
기
술
현
장
지
원
지원 성과
●
가상화 단말 개발과 성능 지표 측정을 통한 엘컴텍의 유관회사인
NEXEL AP
Chip의 Network 모듈의 성능개선을 이룸
●
디지털 사이니지용 가상화 단말 기능 개발과 지원으로 가상화 기반
인터랙티브 게임 자판기 서비스를 개발하고
ITU 전권회의에서 시연
●
브라우저 가상화 모듈 개발을 지원함으로서 엘컴텍 단말을 이용한 가상화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
ETRI와 공동기술 개발을 통한 다양한 기술 Tree를 상호 빠른 시간 내에 확보
함으로서 엘컴텍의 차기
STB 사업과 Smart Device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요소 기술 확보
●
2014년 몽골리아 T-DMB Tablet 10,000대 수출로 10억 수출 달성
●
2015년 해외(몽골,베트남,미얀마) T-DMB 동글 빔 네비 10,000대 이상 수출로 20억
수출 달성
● 엘컴텍과
ETRI 협력기업인 ㈜가온미디어에서 제조한 IP-STB 기반으로 가상화 클
라이언트 기술 개발에 적용하여 사업화에 기여
●
Amway에 1,100천달러 (‘14.08), Tokyo Electric Power에 250천 달러 (’14.11) 매출
달성 기여
[ 기술지원으로 적용된 ㈜엘컴텍 제품군 ]
기술이전 부서 및 이전 책임자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지능형융합연구부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신일홍 선연
이전 기술명
●
적응형
IPTV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술지원
이전 기술 내용
●
개방형
IPTV 및 스마트TV 서비스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 장비에 독립적인
오버레이 네트워크 방식으로 실시간 스트리밍을 단말 환경에 적합하게 제공
할 수 있는 적응형
IPTV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술
●
다양한 망 상황에서 미디어를 적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Framework로 주요
적용가능 영역
● 사내 방송, 개인 방송 및 교육 방송 서비스에 활용
● 특정 지역 및 위치에 대한 안내 또는 광고 방송 서비스에 활용
● 스마트
TV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실시간 스트리밍 전달에 활용
●
ISP 및 네트워크 장비로 인한 제약 없이 신규 서비스 제공 용이
●
T-DMB등 독립망에 미디어를 적응적으로 제공 가능
[ 적응적 미디어 비트율 제어 기술
in IPTV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
ㅡ
128
129
ㅡ
적
응
형
IP
TV
오
버
레
이
멀
티
캐
스
트
기
술
현
장
지
원
서버 모듈
Server Side
Terminal Side
Video
Packet
Video
Packet#1
Video
Packet#2
Video
Packet#N
Time Stemp
Insertion
Time Stemp
#
1
Bitrate Monitor
(
To Server)
Time Stemp
#
N
Server
Clock
Terminal
Clock
Concatenation
클라이언트 모듈
컨텐츠 입력 모듈
(
Web, Video 등)
비디오 인코더
비트율 제어 엔진
네트워크 대역 측정
IP 망
비디오 스트리밍
Windows / Linux / Android / iOS
비디오 수신 및 재생
서버 접속 모듈
세션 매니저
비디오 스트리머
비디오 캡쳐
[ ㈜엘컴텍
Android Media Middleware 시스템(㈜엘컴텍 홈페이지) ]
기술이전 업체 현황
●
회 사 명 : ㈜엘컴텍(대표 김종문)
●
회사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
1동 791번지 대업빌딩 401호
●
주요 사업 : 방송장비,
STB 박스, 미디어 S/W middleware
회사 소개
Elcomtech은 Interactive TV Solution과 Service를 토대로 지상파 전파를
이용, 실제 서비스 경험을 보유한 데이터방송 전문기업으로서 전자 통신
분야에서
10여 년 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IT 산업의 기술혁신과
선진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주요사업은 디지털 방송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이며, 우수한 인재를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해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언제나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제품들을
연구개발함으로써 혁신적이고 참신한 제품 보급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ETRI의
상용화 현장지원을 통해 미디어 분야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여 해외 미디어
시장 (베트남
DMB CAS, 몽골 T-DMB등)을 선점해 나아가고 있다.
2014년 11월, 지지부진하던 몽골 DMB 사업에서 낭보가 날아왔다. 드디어 몽골
DMB사업자인 UBDMB와 엘컴텍이 속한 컨소시엄은 드디어 상용화 본방송을
계약했다. 즉 실제
T-DMB서비스가 광활한 초원의 땅인 몽골에서 열리는 것이
다. ㈜엘컴텍은
CAS 장비를 납품하고, 단말을 제공하는 등의 많은 결실을 맺게 되
었다. 특히 엘컴텍의 협력업체인
NEXELL의 APU가 모든 단말에 탑재되게 되어,
순수 국내기술로 이루어진 기술편대를 이루어냈다. 그동안 엘컴텍이 미디어 기술
개발에 공을 들여오며 기술을 확보해 나가며 성과로 만들어내게 되었다. 이제 초
원의 말과 같이 힘차게 첫발을 띄었고 ㈜엘컴텍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자사의 기술
력과 새로운 비즈니스를 메고 몽골 기마 군단처럼 세계로 뻗어나가는 계기로 삼을
것이다.
2014년 초에는 엘컴텍의 요청으로 T-DMB단말에 들어갈 칩의 앱 포팅을 하였
다. 개발에 들어가고
2주 후 시연을 하고 성공을 확신하였는데, 약 20분후 단말기
가 리부팅이 되기 시작했다.
광활한 몽골 초원에
한국
DMB 전파를 날리다.
“
체험수기
16
[ ㈜엘컴텍의
DMB 구동 모습과 몽골과의 유료사업화 협약식 ]
ㅡ
130
131
ㅡ
적
응
형
IP
TV
오
버
레
이
멀
티
캐
스
트
기
술
현
장
지
원
개발과정에서는 알지 못한 문제였는데, 앱의 버그라고 확신하고 모든
S/W 코드에
검증 로그를 붙여서 계속 테스트를 실시하였지만 이상하게 일정시간이 지나면 계
속 리부팅 되는 현상이 계속 발생하였다. 그러나 며칠을 지새우며 실험과 검증을
해가도 실마리가 보이지 않았다. 겨우 알아낸 것은 어떤 특정한 시간에 비례하여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 정도였다.
결국 칩벤더사와 칩 디버깅을 해보기로 하였다. 대전과 서울에서 서로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칩의 상태를 체크하면서 추이를 지켜보며 다양한 가능성을 하나씩 제
거하면서 칩의 기능을 위주로 실험을 지속한 결과 드디어 실마리가 보였다.
특정 상황에서 칩의 기능이 죽어버리는 문제를 발견한 것이다. 결국 칩의 문제
로 밝혀졌고 해당 모듈을 다음 칩
Revision때 개선시켜서 생산하기로 합의를 보
게 되었다. 이 실험을 위해서 엘컴텍과 협력기업
ETRI 모두 2주간의 시간을 보
내며 원인을 찾기 위해서 끝까지 경주하였다. 결국 칩의 중대한 결함을 발견하
여 칩
Revision에 반영시켜 협력기업의 제품 완성도에 기여를 하게 되었고, 또한
T-DMB나 패드 등의 다양한 사업에 해당 칩을 사용하려는 엘컴텍의 제품 신뢰
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게 되었다.
이로서 일 단계를 마무리 지었다고 생각하였으나, 성능이 전체적으로 엘컴텍의 셋
탑박스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이틀 만에 문제의 원인을 알게 되어
문제를 해결하였다. 지난번 실험 및 검증과정에서 얻은 많은 지식과 경험을 기반
으로 다음 문제는 원인 분석부터 해결까지 일사천리로 진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장지원은 기업의 수요에 맞추어
ETRI에서 기술적 해결책이나 도움을 주는 과정
이다. 이번 현장 지원에서 느낀 기업과 연구소간의 간극은 상당히 큰 것으로 보인
다. 우선 기술의
Scope를 기업과 연구소가 달리 보는 것이 문제인 것 같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의 트렌드를 모두 따라가는 것은 힘들지만 현재 산업계에서 요구되
는 많은 부분은 대부분의 정보가 인터넷에 공유되는 특징이 있다.
S/W 산업만 보
더라도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은 오픈 소스를 주로 활용하여 개발시간 단축과 효율
성을 달성하고자 한다.
따라서
ETRI에서도 큰 트렌드로만 따라가려고 하지 말고 작은 부분도 더욱 집중
하여 세부적인 전문성을 높여가는 방향으로 기술 확보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
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연구소의 많은 자원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세계적인 네
임 밸류를 확보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고 국책과제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정부와
의 협조도 필수적으로 보인다.
현재 산업계와
ETRI의 가장 큰 간극인 오픈 소스에 대한 생각에서 이미 변화되고
앞으로도 더욱 커지게 될 오픈 소스에 대한 참여/활용을 더욱 독려하고 준비한다
면 산업계와의 더욱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게 될 것이다.
ㅡ
132
133
ㅡ
적
응
형
IP
TV
오
버
레
이
멀
티
캐
스
트
기
술
현
장
지
원
현장에서 꽃 피운
ETRI 기술
상용화 현장지원 성공사례집
발행일
2015년 4월 7일
발행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획 및 엮은이
ETRI 사업화본부
송재관, 박범수, 박종흥, 현창희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8
문의
042. 860. 6502 jgsong@etri.re.kr
편집 . 디자인
BOOWOON DESIGN 042. 255. 6225
본 책자는 “중소기업 동반성장 및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음.
305-70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8 사업화본부 기술사업화지원팀
TEL. 042-860-6502 FAX. 042-860-5458 www.et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