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첨부] 연구인력 현장지원 기업신청 공고문.hwp

닫기

ETRI 연구인력 현장지원 기업신청 공고

ETRI에서는 창조경제를 견인할 ICT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ETRI가 보유한 연구인력을 공급하여 기업 보유기술의 사업화와 조기 제품/서비스화에 기여하고자연구인력 현장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ETRI 정규직을 현장지원 전담인력으로 선정하여 기업현장을 지원 중에 있사오니, 아래 기술분야 전문인력을 원하시는 중소.중견기업에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5년 7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1. 사업목적

ETRI 고급 연구인력의 기업현장 파견을 통한 ICT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 해소 및 제품/서비스화 조기 달성

2. 지원기술분야 : 보유 연구인력 3명

연구인력 구분

지원가능 기술

지원기간

비고

전자(통신)

통신인터넷기술(단말 및 시스템)

기술개발, 기술자문/지도, R&D기획, 사업컨설팅

12개월 이내

무선통신

방송통신미디어기술(디지털 방송/통신 단말)

기술개발, 기술자문/지도

12개월 이내

컴퓨터

융합기술(우편/물류 시스템)

기술자문/지도, R&D기획, 사업컨설팅

12개월 이내

* 상세 내용은 <별첨 2> 보유 연구인력의 세부 지원가능 기술참조.

보다 자세한 기술분야 파악을 희망하는 경우 해당 연구인력과 면담 연결

3. 신청자격

중소중견기업 기업 (제한사항 없음)

4. 기업부담금

기업지원 연구인력에 대한 기업지원인센티브로 지급할 기업부담금(지원기간 동안의 지원 연구인력 인건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부담

5. 진행절차

공고

기업신청 접수

신청서 검토 및 현장 방문조사

지원협약

체결

현장파견

* 전체 소요기간은 신청일로부터 약 30일정도 소요

** 신청 순서에 따라 신청서 검토 및 현장 방문조사, 연구인력-기업 매칭을 추진하며 매칭(지원기업 확정) 시 공고 종료

6. 신청요령

신청방법 : <별첨 1> 양식다운받아 이메일 신청

연구인력 난에 연구인력 ㉮, ㉯, ㉰ 중 택일 명시

접수 및 문의처 : ETRI 사업화본부 (R&D사업화센터 R&D사업화팀)

김 인 수 [(T.042-860-5343), ]

박 소 라 [(T.042-860-5879), ]

인터넷 참조 : ETRI 홈페이지 ()

공고기간 : 게시일(2015.7.23.)로부터 기업 매칭 시까지 공고하되 최소 1주일 이상 공고

<별첨 1>

연구인력 현장지원 신청서 (기업)

접수번호

ETRI 작성

기 업 명

대표자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설립 연월일

업종

홈페이지

본 사 주 소

( - )

주 생산품

사업화

애로해소 요청내용

기업의 당면한 기술사업화 애로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

요청 분야

(복수응답가능)

기술개발 기술자문/지도

R&D 기획 사업컨설팅

기타 (내용: )

요청기술부문

(복수응답가능)

융합기술 부품소재 방송통신미디어

통신인터넷 소프트웨어 콘텐츠

기술분류 ( 코드: ) 별지 지원가능 기술분류표에 의한 분류코드 기재

연구인력 세부활용내용 (연구인력 수행업무)

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 해소를 위해 연구인력을 활용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

신청

인력

구분

인원

지원신청 기간 (1개월 이상 12개월 이내)

연구인력

~택일 명시*

20 년 월 ~ 20 년 월 ( 개월)

소속

작성하지 않음

직급

작성하지 않음

성명

작성하지 않음

* <별첨 2>의 보유 연구인력 ㉮, ㉯, ㉰ 참조

근무

조건

근무지 주소

근무시간

평 일

복리후생

시간외수당 통근버스 중식제공 교통비 기타( )

토요일

정주여건

예)기숙사 등

휴 일

일요일 공휴일 매주 토요일 격주 토요일 기타( )

담당자

성명

직위

전화

핸드폰

이메일

상기 내용은 틀림이 없음을 확인하며, 현장지원 인력파견을 신청합니다.

2015 년 월 일

기업명:

대표이사:

(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귀하

제출 증빙서류(기업현장 방문 시 제출): 사업자등록증, 국세청이 발급한 최근 3년간 표준재무제표증명원,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선택사항]

<별첨 2>

보유 연구인력의 세부 지원가능 기술

연구인력

직급

책임급

전공

전자(통신)

연구경력

30년 이상

전전자교환기, 이동통신시스템 개발

전파/신호처리 및 스마트 안테나 기술 개발

초고성능, 대용량, 고효율 무선전송기술 개발

지원가능 기간

12개월 이내

지원가능 분야

기술개발, 기술자문/지도, R&D 기획, 사업컨설팅, 서비스 개발 등

지원가능 기술

통신인터넷

PHY 기술(고속 전송 및 품질 확보)

스마트 안테나 기술

시스템 설계 및 평가

표준화 및 융합기술

비고

- 현장지원 실적(기술개발):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인력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및 인력 관리 전담업무 (‘14.7~’15.6)

연구인력

직급

책임급

전공

무선통신

연구경력

10년 이상

터널형 T-DMB 재난방송 기술 개발

디지털 라디오 비교 실험 방송

T-DMB 전송 고도화 기술 개발 등

지원가능 기간

12개월 이내, 출장지원 가능

지원가능 분야

기술개발, 기술자문/지도

지원가능 기술

방송통신미디어(디지털 방송/통신 단말)

방송/통신시스템 모뎀 신호처리 기술

초고속 모뎀 물리계층 알고리즘 설계 및 시뮬레이션 기술

사용가능 언어: C, MatLab

비고

연구인력

직급

책임급

전공

컴퓨터

연구경력

20년 이상

우편물류시스템 기술 개발

우편물류 RFID 기술 개발

Collaborative Logistics Workflow 기술 개발 등

지원가능 기간

12개월 이내, 출장지원 가능

지원가능 분야

기술자문/지도, R&D기획, 사업컨설팅

지원가능 기술

융합기술(우편 및 물류 시스템)

우편/물류 정보기술

우편/물류 자동화기술

우편/물류 비즈니스 및 서비스 모델

비고

[별지]

지원가능 기술 분류표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부품소재 (P)

광응용기기 (1)

광계측ㆍ 제어기기(1)

광계측ㆍ제어기기

P110

광부품(2)

초광대역 광전송용 광증폭기 핵심소재 및 소자모듈 기술(1)

ADM광 회선 분배기광 패킷 라우터 등의 광 네트워크 노드용 광신호처리소자 및 모듈 기술(Tunable LD, 고속 광스위치 등)(2)

광 가입자용 저가격 광통신 소자 및 모듈 기술(3)

P121

P122

P123

중전기기 (2)

전력용 재료 (1)

전력용 재료

P210

개폐기류(2)

개폐기류

P220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3)

Si 소자(1)

반도체소자(1)

집적회로설계기술(2)

반도체 공정 소자(3)

센서·액추에이터소자(4)

바이오미소전자시스템소자(5)

표시미소전자시스템소자, 기초공정기술(6)

P311~6

P321~6

P331~6

P341~6

화합물 소자 (2)

MEMS 소자(3)

Sensor용 소자 (4)

SoC(5)

SoC

P350

디스플레이 (4)

FED(1)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 기술 : 대면적 전계 에미터 분야 기술, 진공 패키징 분야 기술, 저전압 형광체 재료분야 기술 등(1)

P411

OLED(2)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기술 : 유기발광 재료분야 기술, Active-Matrix OLED 패널분야 기술, 구동회로가 일체화된 system-on-display(SOD) 분야 기술 등(1)

P421

E-Paper(3)

E-Paper

P430

□ 3D(4)

□ 3D

P440

정보통신 모듈 및 부품 (5)

이동통신 모듈 및 부품(1)

이동통신 모듈 및 부품

P510

위성ㆍ방송 모듈 및 부품 (2)

위성ㆍ방송 모듈 및 부품

P520

멀티미디어 모듈 및 부품 (3)

멀티미디어 모듈 및 부품

P530

안테나 모듈 및 부품(4)

안테나 모듈 및 부품

P540

신재생

에너지(6)

태양광(1)

태양광

P610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통신인터넷 (T)

이동통신 (1)

이동통신 서비스(1)

MobilityQoS Security 해결기술(1)

T111

이동통신 시스템(2)

PHY 기술(고속 전송 및 품질 확보)(1)

다중 안테나AMCMUDcoding 기술(2)

무선 MAC 기술 및 IP 기술(3)

T121

T122

T123

광대역 통합망(2)

서비스 및 제어 (1)

소프트스위치기술, 패킷음성서비스, 데이터·서비스제공기술, 유무선통합서비스, 통신망설계·운영기술, 통신망서비스관리기술, 통신프로토콜기술(1)

QoS Security 분야 기술(2)

T211

T212

전달망(2)

회선교환기술, 패킷교환기술, 교환기술, 광교환기술, 라우팅기술, 광전송기술(1)

DWDM, 40Gbps OTDM, WDM over IP, Optical Fiber amplifier 등 네트워크 관련 기술(2)

무선 통합 네트워크 기술, 유무선 인터넷 통합 멀티서비스 기술, 개방형 네트워크 기술(3)

T221

T222

T223

가입자망(3)

ATM-PONE-PONWR-PON 등 차세대 가입자 망을 위한 기술(1)

T231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융합기술 (I)

RFID/ USN(1)

RFID기술(1)

RFID기술

I110

USN기술(2)

USN기술

I120

모바일-RFID(3)

모바일-RFID

I130

활용서비스 플랫폼 및 응용SW(4)

활용서비스 플랫폼 및 응용SW

I140

RFID/USN 서비스(5)

RFID/USN 서비스

I150

ITS/ 텔레매틱스 (2)

ITS 응용 서비스(1)

지능형교통시스템기술(1)

교통안전기술, 재난·재해 대비 교통운영·관리기술(2)

물류시스템 정보·자동화기술(3)

I211

I212

I213

텔레매틱스 응용서비스(2)

센서네트워크, 전자식별시스템, 텔레매트릭스

I221

바이오공정 /기기(3)

바이오전자/ 정보(1)

바이오전자/정보

I310

전력IT(4)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1)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

I410

전력 유비쿼터스 기술(2)

전력 유비쿼터스 기술

I420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소프트웨어 (S)

홈네트워크 (1)

유ㆍ무선 홈네트워킹 기술 (1)

유ㆍ무선 홈네트워킹 기술

S110

지능형 정보가전(2)

지능형 정보가전

S120

홈네트워크 응용 및 서비스 기술(3)

홈네트워크 응용 및 서비스 기술

S130

홈네트워크 정보보호(4)

홈네트워크 정보보호

S140

u-컴퓨팅 (2)

u-컴퓨팅 플랫폼 및 응용기술(1)

그린 컴퓨팅 플랫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대규모 데이터 처리

웨어러블 네트워크

휴먼.컴퓨터 인터랙션

개인화 서비스

퍼스널 컴퓨팅 플랫폼

S210

S211

S212

S213

S214

S215

S216

S217

서버기술(2)

분산 시스템 자원 관리

시스템 자원 가상화 기술

S220

u-컴퓨팅 기기 및 주변기기 (3)

U-컴퓨팅 기기 및 주변기기

S230

소프트웨어 (3)

임베디드 SW (1)

임베디드 SW

S310

SW솔루션(2)

DBXML 통합 정보기술(1)

웹 마이닝 및 정보 클러스터링 정보구조화 기술(2)

분산 검색기술, 텍스트 마이닝 기반 지능형 정보검색 기술, 통합정보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술(3)

사용자 프로파일링 및 맞춤정보 서비스 기술(4)

생체인식기술(5)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6)

언어 및 지식 처리기술, 다국어 자동 번역 기술, 언어 정보 인식 기술(7)

S321

S322

S323

S324

S325

S326

S327

영상정보 인식 기술, 내용 기반 영상정보 검색기술, 영상정보 서비스 응용기술(8)

바이오 정보 분석 기술바이오 신호전달망 상호작용 예측 기술, 바이오 정보검색 기술, 바이오 정보 통합관리 기술(9)

S328

S329

System Integration(3)

System Integration

S330

Internet SW (4)

B2CB2B 기술(1)

차세대 e-비즈니스인 u-비즈니스 기술(2)

글로벌 비즈니스 기술협업 기술(3)

모바일 비즈니스 기술(4)

디지털 비즈니스 기술(5)

지능형 비즈니스 기술(6)

S341

S342

S343

S344

S345

S346

정보보호 (4)

서비스 및 응용보안(1)

정보인증보안기술(1)

Secure Networking 인프라 및 서비스기술(2)

초고속 유무선통합 네트워크 보안기술(3)

IT-BT 응용 정보보호 서비스 기술(4)

S411~4

S421~4

S431~4

S441~4

네트워크 시스템 보안(2)

공통 보안기술 (3)

산업보안 및 융합보안(4)

지능로봇 기술(5)

인공지능지능로봇 기술(1)

가사, 생활지원, 여가지원 등을 위한 서비스 로봇 관련기술(1)

S511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콘텐츠(C)

디지털 콘텐츠(1)

컴퓨터그래픽 (1)

컴퓨터그래픽

C110

가상현실(2)

가상현실, 컴퓨터, 시뮬레이션, 3D, 입체영상, 데이터글로브, 모션캡쳐, 햅틱인터페이스(1)

실시간 지능형 행위 시뮬레이션/애니메이션 기술(2)

C121

C122

콘텐츠 창작 기획(3)

콘텐츠 창작 기획

C130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유통(4)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위한 모델 개발(1)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워터마킹 기술(2)

Rich Media 콘텐츠 식별체계 및 관리기술(3)

C141

C142

C143

게임 및 u-러닝(5)

무선인터넷 게임용 분산처리 엔진(1)

지능형 게임 캐릭터 엔진, 동작 애니메이션 처리 엔진, 실시간 렌더링 엔진(2)

C151

C152

기술분야

중분류

지원가능기술

세부지원가능기술

분류코드

비고

방송통신 미디어(B)

디지털 방송(1)

디지털 방송 서비스(1)

디지털 방송 서비스

B110

디지털 방송 매체(2)

디지털 방송 매체

B120

디지털 방송 콘텐츠(3)

디지털 방송 콘텐츠

B130

디지털 방송 이동방송(4)

디지털 방송 이동방송

B140

디지털 방송 통방융합(5)

디지털 방송 통방융합

B150

디지털 방송 실감방송(6)

디지털 방송 실감방송

B160

디지털 방송 단말(7)

디지털 방송 단말

B170

위성-전파 (2)

위성통신ㆍ 방송 전송(1)

위성통신ㆍ방송 전송

B210

위성통신ㆍ 방송 단말(2)

위성통신ㆍ방송 단말

B220

위성항법(3)

위성항법

B230

탑제체 및 관제(4)

인공위성수신·관제·원격탐사·추적·감시기술

B240

EMI/EMC(5)

안테나, 송수신모듈, 전파환경영향기술

B250

전자파기기(6)

전자파기기

B260

전자파 진단 및 방호(7)

전파측정·감시·방지기술, 전파자원개발기술

B270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