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ETRI, R&D 품질관리 우수성 입증_150716.hwp
Embargo |
없음 |
|
||||
배포일자 : 2015.7.16.(목) |
배포번호 : 2015-59호 |
|||||
문의 |
전략기획본부 |
성과경영부 |
박창식(042-860-0770) |
E-mail : cspark@etri.re.kr |
||
성과경영부 |
품질혁신팀장 |
정효택(042-860-0790) |
E-mail : htjung@etri.re.kr |
|||
성과경영부 |
품질혁신팀 |
함영환(042-860-5432) |
E-mail : yhham@etri.re.kr |
|||
홍보부 |
홍보팀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부 |
홍보팀 |
정병인(042-860-6634) |
E-mail : byeng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2매(사진 3매, 참고자료 3매) |
배포처 : ETRI 홍보팀 |
ETRI, R&D 품질관리 우수성 입증
- 출연연 최초, SW자산뱅크 R&D과제 품질관리 면제 승인
- 연구원 Q-mark 제도, 품질관리 수행능력 대외적 인정
품질경영을 13년간 꾸준히 연구개발에 적용해온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정부수행과제에 대한 품질관리를 최초로 면제받게 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지난 1일,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로부터 소프트웨어 자산뱅크 등록대상 R&D과제에 대한 품질관리 면제를 승인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ETRI는 지난해 소프트웨어자산뱅크 과제 품질관리 면제제도가 생긴 이래 49개 국내기관 중 최초로 면제 승인을 받았다.
이는 ETRI의 R&D과제 품질관리 수행능력이 대외적으로도 널리 인정받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자산뱅크 과제 품질관리란 ICT R&D 과제 중 소프트웨어자산뱅크 등록대상 사업을 지정, 품질관리계획 수립, 이행 점검, 연구 결과정보 등록 및 관리 등의 SW품질 제고를 위한 활동을 말한다.
이번 소프트웨어 자산뱅크 품질관리 면제는 ETRI 자체 품질관리제도인 큐마크(Q-mark)가『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면제 심의기준인 타당성, 충분성, 독립성 항목에 모두 합격하면서 이루어졌다.
큐마크 제도는 ETRI가 지난 2008년부터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연구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품질 보증제도이다. 국제적인 품질표준을 적용, 연구개발 전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사업관리가 가능했었다.
이로써 ETRI는 NIPA의 소프트웨어자산뱅크 R&D과제 품질관리 심사를 연구원 자체 큐마크 제도로 대신하게 됨에 따라, 중복 품질관리 절차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연구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TRI 박창식 성과경영부장은 "이번 품질관리 면제 승인을 계기로 SW과제 뿐 아니라 전체 R&D 사업의 품질관리 활동을 시스템화하여 연구결과물의 품질향상을 계속 이루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ETRI는 큐마크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연구결과물의 품질향상은 물론 기술이전 등 대내외 고객에 대한 만족도도 시행초기 대비 15%이상 크게 향상되었다고 설명했다.
ETRI 김흥남 원장은 “품질경영을 도입한 이래로 ISO 9001 인증, 스파이스(SPICE) 레벨3 획득, 2백여명에 달하는 품질심사원 양성으로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1>
※소프트웨어 자산뱅크 과제 품질관리?
- 현재 NIPA에서 ICT R&D 과제 중에서 소프트웨어자산뱅크 등록대상 사업(과제)을 지정하고 품질관리계획 수립, 이행 점검, 연구 결과정보 등록 및 관리 등의 SW품질 제고를 위한 활동을 의미하며,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에 관련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이 규정에는 "전담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SW품질관리제도를 이행하고 있는 기관에 대해서는 이를 면제할 수 있다"라는 규정이 있다.
※소프트웨어자산뱅크 품질관리 면제
- 이에, ETRI는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Q-mark 제도가 이에 합당한지에 대해서 타당성, 충분성, 독립성 항목으로 심의를 받아 모든 항목에 합격했다.
※소프트웨어자산뱅크 URL :
<참고자료2>
Q-mark 소개
1. 제도이력 |
Q-mark는 연구결과물의 품질완성도 및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인증기준을 통과한 사업 및 기술의 품질을 보증하는 제도로서, 기본계획은 2007년도 12월 27일에 수립되었고 2008년에 Q-mark 제도를 최초로 시행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ETRI Q-mark 제도 기본계획 수립 [9132-2007-0038, ‘07.12.27.] Q-mark 매뉴얼 v1.0 2008.5.2. 최초 작성 Q-mark 매뉴얼 v2.0 2009.3.20. 기술이전절차 개선, 핵심 프로세스 세부 실행지침 개선 Q-mark 매뉴얼 v3.0 2010.4.21. 사업/기술 Q-mark 검증보고서 양식 보완 Q-mark 매뉴얼 v4.0 2012.3.12 검증 및 인증절차 수정, 5대 프로세스 내용 수정 보완 Q-mark 매뉴얼 v5.0 2013.7.15 매뉴얼 내용 단순화, 프로세스 체크리스트 및 양식보완 Q-mark 매뉴얼 v6.0 2015.현재 매뉴얼 보완 중 |
2. 지원내용 |
Q-mark는 고객만족을 위한 연구결과물의 품질완성도 제고와 연구과제 수행 및 관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적용대상은 연구원에서 수행하는 모든 연구 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기술이전을 하고자 하는 사업의 경우에는 결과물의 품질완성도 점검을 위한 인증기준 통과를 의무화 하고 있다.
![]() 그림 1. Q-mark 프로세스의 특징 |
Q-mark는 연구결과물의 품질완성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요구사항개발과 시험검증을 통하여 고객요구사항을 충실하게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R&D 프로젝트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의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하여 구조설계, 상세설계, 구현, 단위시험, 시스템통합 프로세스에 대해서 사업특성에 따른 방법론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각 단계의 주요산출물에 대하여 정의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동료검토(Inspection&Peer Review)를 시행한다. 동료검토를 마친 주요 산출물은 형상관리를 통하여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게 된다. 과제실행관리에서는 품질, 기간, 예산의 관점에서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관리 및 모니터링 한다. Q-mark 인증기준은 크게 2가지의 검증을 기반으로 한다. 첫 번째는 연구결과물 검증으로 시스템요구사항 대비 연구결과물의 완성도를 평가하여 요구사항 충족률 90%이상을 통과기준으로 한다. 검증대상은 연구결과물 및 시험결과서이며 검증방법은 검토, 분석, 데모, 시험 및 기타방법 등으로 한다. 두 번째는 프로세스 평가로서 사업프로세스와 위에서 설명한 Q-mark 5개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며 모든 프로세스가 S,A,B 등급 중 A등급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통과기준으로 한다. |
3. 세부성과 |
Q-mark 시행초기에는 시행목적과 지속성에 대한 의문, 시행과정에서의 연구 산출물 검증 및 프로세스 평가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연구원들의 저항이 있었다. 하지만 몇 년간의 시행착오와 프로세스 개선을 통하여 요구사항 정의의 중요성, 동료검토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프로세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의 연구원들이 그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제도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아래의 그림은 Q-mark 시행 초와 최근의 내 외부 고객의 만족도 변화를 보여준다.
![]() 그림2. Q-mark관련 고객만족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