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시티버스’ 국제표준으로 디지털 도시 표준화 선도_F.hwp

닫기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2025.10.14.(화)

배포번호 : 2025-72호

ICT전략연구소

표준연구본부장

이승윤(042-860-5508)

E-mail : syl@etri.re.kr

표준연구본부

융합표준연구실장

이준섭(042-860-3859)

E-mail : juns@etri.re.kr

융합표준연구실

선임연구원

선경재(042-860-5749)

E-mail : kjsun@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선임행정원

김민규(042-860-0681)

E-mail : kakapow@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2매, 사진자료 6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시티버스 국제표준으로 디지털 도시 표준화 선도

- 현실-가상 융합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한 국제표준 기반 마련

- 국제표준 최종 승인 1건·사전 승인 7건·신규 과제 승인 2건 달성

국내 연구진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와 스마트시티 분야 국제표준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열린 ITU-T SG20 회의에서 티버스(citiverse)분야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해 다수의 성과를 거두며, 대한민국의 디지털 도시 표준화 리더십을 더욱 강화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지난달 15일부터 25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SG(스터디그룹) 20 총회에서 메타버스-디지털 트윈 연동 관련 3건의 권고안을 비롯해 AIoT 및 스마트시티 분야의 권고안을 포함, 총 7건의 권고안을 사전 승인받았다.

ITU-T SG20은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시티 응용 및 서비스에 대한 국제표준을 총괄하는 연구반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형준 책임연구원이 2022년부터 국제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지난 1월 회의에서 사전 승인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요구사항(Y.4236) 권고안이 최종 승인되어 대한민국 주도로 스마트시티 관련 국제표준이 제정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시티버스에서 AI를 활용한 상호운용성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신규 권고안(Y.citiverse-ai-reqts)이 제안·승인되었다.

아울러, 디지털 신원 지갑 상호운용성(Y.diwi-reqts)과 자율이동체 식별체계(Y.Sup-DRI-id) 신규 권고안 제안도 함께 승인됐다. 이들 신규 권고안은 도시 서비스 간 연계, 인증 절차의 단일화, 자율이동체 식별체계 구축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미래 도시 서비스 구현을 위한 국제표준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연동 요구사항(Y.dtmv-reqts), 참조구조(Y.dtmv-ref), 인터페이스(Y.dtmv-if) 권고안은 ITU-T와 국제표준화 분야에서 최초로 제정되는 메타버스 관련 권고안이다. 이 권고안들은 현실과 가상 세계 간 연동을 위한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이를 통해 향후 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한 국제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성과는 ITU-T에서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을 동시에 다룬 최초의 국제표준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앞으로 각국의 스마트시티 구축 과정에서 현실-가상 융합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한민국이 제안한 표준이 글로벌 디지털 도시 정책과 기술개발의 기준점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융합 프레임워크 권고안도 성과를 거두었다. 해당 권고안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데이터 등 핵심 ICT 기술과 사물인터넷을 융합하기 위한 구조를 정의해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ITU-T SG20 국제 의장이자 한국대표단 수석대표를 맡은 ETRI 김형준 박사는 시티버스를 비롯한 현실-가상 연동 기술은 미래 도시 생태계의 핵심으로, 이번 성과는 대한민국이 디지털 도시 기술 표준화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윤 ETRI 표준연구본부장도 AI와 메타버스 등 신기술 분야의 표준화 주도는 국내 기업 및 기관들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데 매우 유리한 고지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에도 국제표준화를 통해 국가 디지털 전략 기술의 주도권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사업의 일환으로, ETRI 표준연구본부와 Citiverse 표준전문연구실과제를 통해 도출되었다.

ETRI는 앞으로도 메타버스, AIoT,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 분야에서 국제표준화를 선도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디지털 기술 국제표준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기여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용어설명

1)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 : UN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으로, 전 세계 ICT 분야 국제표준을 개발·제정하는 역할을 수행

2) 시티버스(Citiverse) :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동해 도시 통합 서비스를 구현하는 개념으로,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AI 등을 융합해 스마트시티 기능을 확장한 미래형 디지털 도시 생태계를 의미

3) 권고안(Recommendation) : ITU-T에서 제정하는 공식 국제표준 문서로, ICT 기술·서비스·운용에 관한 국제적 합의 내용을 담는다. 권고안이 채택되면 사실상 해당 기술의 글로벌 표준으로 활용

4) 사전승인(Consent) : ITU-T에서 권고안을 최종 승인하기 전에, 회원국 간 합의 절차를 거쳐 표준 제정이 가능하다고 인정하는 단계. 사실상 표준 채택을 위한 마지막 심의 전 단계

5) 최종 승인(Approval) : 사전 승인을 받은 권고안이 최종 심의를 거쳐 공식 국제표준으로 확정되는 절차. 이 단계부터는 해당 권고안이 국제표준으로 전 세계에 적용

6) 신규 권고안 승인(New Work Item Approval) : 새로운 기술·서비스 분야에서 국제표준 제정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신규 표준화 과제로 채택되는 절차. 제안이 승인되면 해당 권고안 개발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

참고1

ITU-T SG20 국제회의 주요성과

최종 승인된 표준 현황(총 3건)

표준 제목

주요 내용

에디터(소속)

1

스마트시티 플랫폼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요구사항

ㅇ 스마트시티 플랫폼에서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을 통해 통합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요구사항 정의

이미경 (스마트도시협회)

허원 (스마트도시협회)

이현정 (스마트도시협회)

2

지능형 사물인터넷 융합 개요

IoT와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 등 핵심 ICT 간의 융합 기술에 대한 개요 기술

최영환(ETRI)

3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 시·커뮤니티 표준 로드맵

WTSA-24에서 개정된 결의 98에 따라 변경된 JCA IoT, digital twin and SSC&CToR에 맞춰 Y.Suppl.58 개정

이준섭(ETRI)

사전 채택된 표준 현황(총 7건)

표준 제목

주요 내용

에디터(소속)

1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을 통한 가상 및 물리 세계 통합을 위한 요구사항

ㅇ 가상 세계와 물리 세계의 상호연동을 위한 요구사항을 정의

이창규(ETRI)

2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을 통한 가상 및 물리 세계 통합을 위한 참조구조

ㅇ 가상 세계와 물리 세계의 상호연동을 위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참조모델을 정의

김학서(ETRI)

3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을 통한 가상 및 물리 세계 통합을 위한 상호운용성

ㅇ 가상 세계와 물리 세계의 상호연동을 위한 참조모델의 기능간의 인터페이스를 정

김용운(ETRI)

4

자율형 사물인터넷 탐색 프레임워크

ㅇ 이종 IoT 환경에서 다양한 제조사·프로토·플랫폼을 사용하는 장치들의 탐색 및 관리 절차와 방법론을 기술

최영환(ETRI)

5

지능형 사물인터넷 융합 프레임워크

IoT와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 등 핵심 ICT 간의 융합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 프레임워크 구조 및 절차를 규

최영환(ETRI)

6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자율 구성 네트워킹 프레임워크

ㅇ 자율형 사물인터넷 기반 서비스 지능화를 위한 자율 구성 네트워킹(SON) 요구사항 및 기능 구조를 정의

최문환(ETRI)

7

승강기를 위한 IoT 기반 모니터링 및 관리 프레임워크

승강기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조, 데이 모델 및 요구사항을 정의

최윤철(ETRI)

박정수(ETRI)

신규 표준화 과제 승인 현황(총 3건)

표준화 과제 제목

주요 내용

에디터(소속)

1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신원 지갑 상호운용성 요구사항

ㅇ 디지털 신원 지갑 시스템과 스마트시티 플랫폼과의 상호운용성을 통한 통합 인증 체계 요구사항 정의

김근영(ETRI)

이상우(ETRI)

2

Y.4607 부속서 - 자율이동로봇 서비스를 위한 식별체계

ㅇ 자율주행 로봇의 인프라, 사람 및 다른 로봇간의 통신을 위한 식별 체계 정의

심태형(ETRI)

3

시티버스의 AI 활용 상호운용성 요구사항

ㅇ 시티버스 구성 요소(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AI 기반 상호운용 유스케이스 및 요구사항 정의

김지은(KETI)

김철민(KETI)

김성윤(KETI)

정승명(KE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