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 견인 핵심기술 대공개_250526_F.hwp

닫기

Embargo

-

배포일자 : 2025.05.29.(목)

배포번호 : 2025-43호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소장

조일연(042-860-4969)

E-mail : iycho@etri.re.kr

대외협력본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선임행정원

김민규(042-860-0681)

E-mail : kakapow@etri.re.kr

행정원

이서진(042-860-0635)

E-mail : seojin@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5매, 사진자료 9매, 영상자료 9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Conference 2025 개최>

ETRI,대한민국 디지털 미래견인 핵심기술 대공개

-5일, 코엑스서 기술세션·성과전시·투자포럼 통해 미래기술 선봬

- AI로봇, AI컴퓨팅·양자, 초연결 6G 등 핵심기술 30개 전시

-ETRI의 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비전과 성과 대국민 공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최고의 연구진들이 대한민국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 핵심기술과 연구성과, 그리고 미래를 바꿀 기술을 국민에게 공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오는 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ETRI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ETRI의 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ETRI의 주요 연구성과와 미래 연구개발 방향을 국민과 공유하고, 산···관 고객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자리로 꾸며진다.

특히 이번 행사는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차세대 AI 지상과 하늘이 어우러진 초연결 6G통신 초실감 공간현실 기술 AI·양자가 만들어가는 미래 컴퓨팅 디지털 융합을 통한 미래산업사회 국가전략프로젝트 발굴 및 투자타당성 검토 지역 미래 신산업 성장견인 등 7개 분야의 기술세션과 함께, 30개의 핵심기술 전시회 및 혁신투자포럼으로 구성된다. 기술세션은 행사 당일 오후부터 코엑스 2층 203호와 3층 오디토리움에서 동시 개최되는 병행 세션 구조로 진행된다.

행사의 시작은 ETRI 방승찬 원장의 발표로 이뤄진다. 방 원장은 ETRI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연구원의 역할과 책임, 연구성과, 미래 R&D방향을 발표한다. 특히 방 원장은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소개하며 실시간 원격 게임 및 원격 협업 메타버스 공연 시각장애인 안내견 로봇 에디(EDDI) 등 시연을 통해 ETRI의 최첨단 기술을 소개한다.

기술세션과 함께 진행되는 기술전시회에서는 2층에 마련된 전시부스를 통해 ETRI의 대표 기술 30개를 만날 수 있다.

주요 기술로는 국내최초 자체개발 가속기 탑재 HPC 클러스터 시스템 멀티모달 교감형 인공지능 로봇 MIV 표준 기반 실가상 융합 입체공간 송수신 및 재현 기술 비침습/무채혈 웨어러블 연속 혈당 측정 기술 미래 에어모빌리티 플랫폼(AdAM-P) 기술 ▲6G 초성능/초정밀 통신기반 라이브 원격협업 메타버스 공연 등을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가 ETRI 연구성과에 대해 관련 연구진의 전문적인 설명을 듣고 직접 소통할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 최초의 기술사업화 전문 투자회사인 에트리홀딩스(주)와 삼성증권이 공동 주관하는 혁신투자포럼도 2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포럼ETRI홀딩스가 출자한 유망 기술사업화 기업을 대상으로 후속 투자유치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투자설명회(IR)이다. 이번 혁신투자포럼에는 성장기업 6개사와 혁신기업 6개사 총 12개사가 참가할 예정이다.

연구원은 특히 미래 R&D 방향에서 기술의 3대 트렌드와 2대 이슈를 5대 변화동인으로 하여 향후 연구개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내놓을 예정이다.

ETRI는 미래 R&D 전략으로 삼는 AICT+ADX는 향후 디지털과 인공지능ICT 산업과 타 산업에 미칠 영향력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ICTAI는 더욱 더 강조될 것이고 디지털 전환(DX)과 인공지능 전환(AX)으로 크게 바뀔 것이라는 내용이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연구원의 핵심기술과 연구 성과를 국민과 고객에게 공개하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려 기회를 마련했다. 기술혁신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의 디지털 미래를 선도하는 ETRI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ETRI의 연구성과와 미래 기술에 관심 있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하거나 현장에서 등록하고 입장할 수 있다.

한편, ETRI는 연구진이 직접 제작한 6G 백서인 ‘6G 인사이트 비전과 기이란 책도 이날 처음 전시 행사장에서 공개한다. 책의 내용에는 6G 주파수, 주요 기술, 연구개발 로드맵 등이 기술되어 있다. 관련 자료는 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ETRI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그간의 연구성과와 우리의 미래를 바꿀 혁신 기술들을 선보이고, 산···관 협력 체계를 강화해 디지털 혁신으로 행복한 내일을 만드는 기술선구자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1

ETRI 컨퍼런스 2025 행사 개요

참고2

ETRI 컨퍼런스 2025 프로그램(기술세션)(1)

참고3

ETRI 컨퍼런스 2025 프로그램(기술세션)(2)

참고4

ETRI 컨퍼런스 2025 전시기술 안내

참고5

전시기술 세부자료

인공지능컴퓨팅

국내최초 자체개발 가속기 탑재 HPC 클러스터 시스템

기술개요

국내 최초 8 TFLOPS 과학계산용(FP64) 부동소수점연산 가속기(K-AB21)

K-AB21 탑재가 가능한 고성능 ARM CPU 기반 계산노드

기술특징

4천여 개의 병렬 부동소수점 연산기 통합 국내 개발 최대 규모의 초병렬 프로세서, 산업계 표준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OpenCL)지원, DDR5, PCIe GEN5 등의 초고속 인터페이스 지원 국내 최초 ARM CPU, 슈퍼컴용 가속기 통합형 고성능 컴퓨팅 서버

응용 및 활용분야

고성능 컴퓨팅 서버 및 슈퍼컴퓨터 시스템 개발 및 구축, 클라우드/데이터센터 구축

담당자 정보

담당자: 안신영(슈퍼컴퓨팅시스템연구실, syahn@etri.re.kr, 1256), 부담당자: 여준기(초거대AI반도체연구실, cglyuh@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고성능 양자컴퓨팅 에뮬레이션 시스템

기술개요

고전 컴퓨터를 이용한 상태 벡터 기반의 세계 최고 수준 양자컴퓨팅 에뮬레이터

양자 회로 최적화 및 실행 가속 기술을 통한 고성능 시뮬레이션 처리 제공

기술특징

양자 중첩도 기반 축소 및 완전 상태 벡터 실행 엔진을 동적으로 운용, 경량 메모리 관리와 고속 연산 기술을 적용한 축소 상태 벡터 엔진으로 단일 노드당 최대 128큐비트 양자컴퓨팅 에뮬레이션 지원. 양자 회로 및 엔진 수준 최적화 전략 채택, 논리 큐비트 합성··추적 기반 전산모사 최적화, 상용 양자컴퓨팅 플랫폼과의 백엔드 연동 기능 제공

응용 및 활용분야

양자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체험 플랫폼, 신규 알고리즘 정상 동작 검증을 위한 개발 플랫폼, 다양한 응용 실행을 지원하는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QCaaS) 제공. 생화학, 보안, QML, 금융 등 조합 최적화 분야, 정수론·소수 분포 기반 주기성 탐색, 물류·로보틱스·공장 자동화 등 최적 경로 탐색 분야에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차규일(초성능컴퓨팅연구본부, gicha@etri.re.kr, 1259), 부담당자: 진기성(초성능컴퓨팅연구본부, ksjin@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초경량 온센서 AI 추론 처리 SW 기술

기술개요

초소형 저전력 센서기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내부 AI 모델 실행 기술

온센서 비전 및 소리 분류 AI 모델을 1MB SRAM/0.5Sec처리속도 이내 추론

기술특징

센서기기 MCU 내부에서 AI 기반 센서 데이터 분석 지원, 클라우드나 서버 연결없이 센서기기의 초저사양 HW 자원으로 AI 연산 처리, HW 호환성 높은 MCU 제조사별 저수준 AI API들에 대한 매핑 공통 API 제공

응용 및 활용분야

산업 자동화: 산업 장비 예측 유지보수, 로봇 제어 등에서 센서 정보 분석

헬스케어: 저사양 웨어러블 헬스 기기 등에서 개인 생체 정보 분석

소비자 가전: 스마트 홈 가전 및 디바이스 등에서 AI 사용자 경험 향상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정시(온디바이스시스템SW연구실, sikim00@etri.re.kr, 1539), 부담당자: 홍승태(온디바이스시스템SW연구실, sthong@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양자안전성 분석 기반 양자내성암호 초경량 구현기술

기술개요

양자컴퓨터의 위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양자보안강도 분석 기술

경량기기/초경량 기기 탑재용 양자내성암호 내재화 기술

기술특징

대칭키·공개키 암호와 양자내성암호 주요 연산을 양자회로로 구현하고, 양자컴퓨팅 시뮬레이터 기반 동작 검증 및 자원량 측정을 통해 보안강도 비교·분석하는 시스템. 드론·스마트미터 등 경량 디바이스용 고속 양자내성암호 구현과 IC칩 기반 초경량 디바이스에 내재화된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서비스 제공

응용 및 활용분야

대학 및 연구기관 대상으로 양자컴퓨터 암호 위헙에 대한 양자 자원량을 측정하여 암호 알고리즘의 보안강도를 높이는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 산업계 대상으로 경량기기(드론, CCTC) 및 초경량기기(IC 카드, eSIM/USIM)PQC 암호 적용하여 범국가 양자내성암호 전환 활성화 기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이유석(암호공학연구실, slee75@etri.re.kr, 6475), 부담당자: 김태성(암호공학연구실, taesung@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양자암호통신 초소형 부품 및 네트워크 기술

기술개요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양자암호통신에서 저가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CFP2 모듈 크기(4.15 x 1.24 x 10.75 cm3)의 양자키분배 송신부 및 수신부 광집적화 모듈 기술

기술특징

송신부: 광원칩, 광지연간섭계칩, 가변광감쇄기칩, 광위상변조기칩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광집적화된 모듈

수신부: 광위상변조기칩, 광지연간섭계칩, 단일광자검출기가 하이브리드 형태로 광집적화된 모듈

최초 양자암호통신용 양자키분배 저가형 및 소형 광집적화 모듈

응용 및 활용분야

국방, 공공망, 금융망 등에서 도청 불가능한 양자암호통신 통신망에서 양자통신 기술 응용

양자통신 및 광통신 융합 분야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윤천주(양자기술연구본부, cjyoun@etri.re.kr, 6297) , 부담당자: 임경천(양자통신연구실, lim.kc@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프로그래머블 실리콘 포토닉스 양자프로세싱칩

기술개요

빛(광자)을 정보 저장 및 전달 매개체로 사용하는 양자정보처리 기술

광학 부품들을 소규모 칩 내부에 집적하여, 확장성이 높고, 안정적으로 동작 가능

양자컴퓨팅을 비롯하여, 양자통신 및 양자 센싱 등에 활용 가능

기술특징

프로그래머블 광집적회로 기반 양자컴퓨팅 기술, (세계 최고) 4-큐비트 고 신뢰도 양자얽힘상태 생성, (세계 최초) 6-큐비트 양자얽힘상태 생성

응용 및 활용분야

NISQ 알고리즘 (VQE, QAOA 등), 양자시뮬레이션 및 양자머신러닝 구현 플랫폼

광기반 범용 양자컴퓨팅 구현을 위한 핵심자원 생성 플랫폼

담당자 정보

담당자: 이종무 (양자컴퓨팅연구실, jongmool@etri.re.kr, 1618) 부담당자: 황용수 (양자컴퓨팅연구실, yhwang@etri.re.kr)

인공지능컴퓨팅

양자정보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양자얽힘 분배 및 원격전송 핵심기술

기술개요

양자정보 기술이 제공하는 일대일 양자정보 분배 특성을 확장하여, 양자인터넷 네트워크 구현에 필수적인 여러 노드 간의 정보 분배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및 시스템 응용 성과

기술특징

통신망의 원격 노드 간에 비고전적 양자얽힘 상태의 양자정보 분배 가능, 양자적 측정과 신호처리를 통해 임의 양자신호의 복제본 원격 생성 및 전송 가능, 양자얽힘 정보 분배와 양자 원격전송에 필요한 핵심 소자와 시스템 기술 확보

응용 및 활용분야

여러 노드 간의 양자정보 전송 및 교환을 위한 양자인터넷 통신망 실현

양자컴퓨터 간 양자정보 전송·교환을 통한 양자컴퓨팅 클러스터/클라우드 구현

양자센서 시스템의 양자적 연결을 통한 글로벌 양자센서 네트워크 구현

담당자 정보

담당자: 주정진(양자센서연구실, jjju@etri.re.kr, 5186) 부담당자: 박지호(양자센서연구실, jiho5329@etri.re.kr)

인공지능창의

멀티모달 교감형 인공지능 로봇

기술개요

로봇이 말할 때 동반되는 제스처 자동 생성 기술

로봇이 사람의 자연어 명령을 듣고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

기술특징

다량의 사람 제스처 데이터에서 학습된 행동 생성 AI 모델. 학습 기반 모션 생성과 모션 라이브러리를 결합하여 자연스럽고 의미 있는 제스처 발현, 사람 모방학습으로 작업 수행 능력 학습. 양팔을 이용해 사람과 유사한 작업 수행 가능

응용 및 활용분야

사람과 대화하는 접객, 반려 로봇 등의 서비스 로봇

복잡하고 자주 변하는 환경(예. 가정 환경, 사무실 환경)에서 일하는 작업 로봇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재홍(소셜로보틱스연구실, jhkim504@etri.re.kr, 1783) 부담당자: 윤영우(소셜로보틱스연구실, youngwoo@etri.re.kr)

인공지능창의

가이드 독 : 시각장애인 길 안내 로봇 이동지능 기술

기술개요

시각장애인과 동행하며 안전하게 안내하는 4족 보행 로봇 기반 이동지능 기술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공지능 기술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기 위해 필요한 로봇 이동 핵심기술

기술특징

주변 환경 정보를 3차원적으로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현재 상황을 설명, 사람과 유사한 방식으로 길 안내, 로봇과 사람이 접촉한 상태에서 3차원 장애물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동행, 로봇과 사람이 접촉한 상태에서 다양한 환경에서 보행 제어

응용 및 활용분야

시각장애인 안내견 대체, 노약자 등 교통 약자의 이동 보조, 도어 투 도어 배송, 특정 지역 순찰 및 감시, 탑승형 4족 로봇을 활용한 이동 혹은 엔터테인먼트

담당자 정보

담당자: 서범수(AI로봇연구본부 필드로보틱스연구실, bsseo@etri.re.kr, 6242)

부담당자: 박승환(AI로봇연구본부 필드로보틱스연구실, sinkyv@etri.re.kr)

인공지능창의

Seamless, Adaptive, Commonsense 자율주행 기술

기술개요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끊김없이(Seamless), 적응(Adaptive) 가능하고, 상식적(Commonsense) 대응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규칙을 넘어 학습으로, 예측불가능하고, 변화무쌍한 주행환경을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자율주행 AI 기술

기술특징

악천후, 비정형 도로, 공사 구간 등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자율주행 범위를 확장하는 인공지능 기술. 인지저해요소 제거 및 다중센서 융합 기반 강인 인지, 규칙기반이 아닌 학습 기반 판단, 멀티모달 LLM 기반 주행상황 인지 및 고수준 주행명령 생성, Modular E2E 자율주행 기술 적용

응용 및 활용분야

대중교통 연계지 주요 지역 순환이동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특수목적(노면청소, 순찰, 폐기물 수거, 도로상황점검 등)의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담당자 정보

담당자: 민경욱 (자율주행지능연구실, kwmin92@etri.re.kr, 1708) 부담당자: 안경환 (자율주행지능연구실, mobileguru@etri.re.kr)

인공지능창의

예지형 보행자 안전 기술

기술개요

도로영역 자동분석 기반 보행자 위험 상황 분석 기술

보행자 미래 경로 예측 기반 위험 예측 기술

기술특징

도로영역을 자동 분석하여, CCTV 영상별 관심영역 수동 설정이 필요없음.

보행자 주변 시각정보와 도로영역 정보를 함께 활용, 정확한 위험 상황 식별

미래 경로 예측 기반 위험도 예측을 통해 사전 위험 알림 서비스 가능

응용 및 활용분야

도로영역 자동분석 기능을 이용한 교통안전 CCTV 설치 및 관리 효율화

보행자 위험 상황 분석 통계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정책 수립

보행자 위험 예측 결과를 활용한 횡단보도에 진입할 보행자에 대한 사전 알림

담당자 정보

담당자: 문진영(시각지능연구실, jymoon@etri.re.kr, 6712)

부담당자: 김대회(시각지능연구실, dhkim19@etri.re.kr)

인공지능창의

자율성장형 수면상담 AI 에이전트

기술개요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지식을 축적하고 진화하는 맞춤형 상담

스스로 일상에서 수면 부족을 인식하고, 대처 행동을 권유하며, 선호도로 맞춤형 지식을 성장

기술특징

이중 사고 기반 모델 간 자율적 협업을 통해 지식을 축적하고 성능을 향상

기존 지식의 재학습 없이 맞춤형 수면 지식을 통합하여 RAG 기반 지식 그래프를 지속적으로 성장

응용 및 활용분야

비대면 수면 상담 및 관리를 지원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대처 행동을 안내하는 지능형 홈 서비스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현우(복합지능연구실, kimhw@etri.re.kr, 6143)

부담당자: 정의석(복합지능연구실, eschung@etri.re.kr)

인공지능창의

전방위 촉각 감지 로봇 손 기술

기술개요

▪ 360도 전방위 촉각 감지가 가능한 고내구성·고분해능 촉각센서 기술

압력 변화에 따라 직관적인 LED 피드백이 제공되는 로봇 손가락 기술

물체 강성을 인지하여 실시간 힘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 손 기술

기술특징

▪ 360도 전방위 압력감지가 가능하여 물체를 잡는 방향과 무관하게 물체의 강성 정보를 정밀하게 인지

에어챔버 구조를 기반으로 외부 접촉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현저히 개선

유연하고 다양한 형태의 제작이 용이하여, 로봇 손뿐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홈 기기 등 다양한 활용 가능

응용 및 활용분야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손 모델에 응용

웨어러블 기기 및 스마트 홈 기기 분야 촉각센서로 활용

외골격형 전자의수 및 손 감각/재활 운동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혜진 (지능형부품센서연구실, nolawara@etri.re.kr, 6152)

부담당자: 최중락 (지능형부품센서연구실, cjr1992@etri.re.kr)

초실감메타버스

XR 환경 원격 실재감(Telepresence) 증강 기술

기술개요

가상 공간에서 원격지 사용자 실재감(시선맞춤)을 지원하는 원격 교감 상호작용 기술

멀티모달 햅틱 렌더링을 제공하는 경량 엑소스켈레톤 기반 Active타입 햅틱 글러브 기술

기술특징

양안 입체 영상 기반 전신 원격 교감 상호작용 기술을 통해 시선·신체 정보 기반 아바타 시선 표현 정확도 80% 구현, 전신·손동작·시선·표정 실시간 재현

성인 악수 악력 70% 수준 역감 제공 엑소 스켈레톤 기반 XR 햅틱 글러브 적용, 손자세 추적·손가락 반발력·다지점 촉감 구현

응용 및 활용분야

▪ (원격 실감 상호작용 서비스) 원격지간 실사 수준의 배경 환경을 공유하며 실재감 제공이 가능한 텔레컨퍼런스, 원격교육, 가상협업과 같은 비대면 서비스

▪ (원격 실감 교육) 다양한 가상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상 체육, 역할극, 역사 교육 등의 모둠 교육

▪ (가상 공연/전시) 고품질 가상 배경/캐릭터를 공유하며 가상 임의 시점 뷰 및 이벤트 동기화를 통한 가상 공연 및 전시에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성욱(콘텐츠융합연구실, brcastle@etri.re.kr, 3849)

초실감메타버스

무안경 다시점 디스플레이 기반 입체공간 재현 기술

기술개요

멀티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실사 라이트필드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무안경 3D 단말에서 재현하는 기술

기술특징

멀티카메라 기반 동기화된 21시점 다시점 영상 촬영으로 약 53도 범위 입체영상 획득 및 3차원 복원, 프레임별 공간 데이터 추출(예: 3DGS, NeRF), 무안경 3D 단말용 라이트필드 영상 생성 및 재현. 서버 측 시점 다중화 기반 8K@30fps 라이트필드 영상 2D 비디오 코덱 압축 전송, 51시점 기반 약 53도 주 시역 구성

응용 및 활용분야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 기반 입체영상 획득 및 3차원 복원

무안경 3D 단말 특성을 반영한 실사 라이트필드 영상 생성 및 재현 서비스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준수(실감미디어연구실, joonsookim@etri.re.kr, 5778)

초실감메타버스

MIV 표준 기반 셋탑형 입체공간 재현 기술

기술개요

MPEG MIV 국제표준 기반으로 제작된 입체공간 콘텐츠를 일반 가정용 TV에서 셋탑박스를 통해 시청 가능한 입체공간 재현 기술

기술특징

TV 시청 환경에서 운동시차 제공이 가능한 6DoF 지원 몰입형 입체영상 스트리밍, 이머시브 비디오 국제 표준인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 기반 몰입형 비디오 실시간 복호화 및 재현, TV 시청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청자 시선 위치 실시간 추적 기술 연동

응용 및 활용분야

사용자의 6 자유도 움직임 지원 실시간 가상 시점 재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완전입체 3D 재현 스트리밍 서비스

담당자 정보

담당자: 신홍창(실감미디어연구실, hcshin@etri.re.kr, 1725) , 부담당자: 이광순(실감미디어연구실, gslee@etri.re.kr)

초실감메타버스

MIV 표준 기반 실가상 융합 입체공간 송수신 및 재현 기술

기술개요

MPEG MIV 국제표준을 적용해 실제 환경과 가상 공간을 융합하여 HMD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체공간을 재현하는 기술

기술특징

실사 입체영상에 대한 MIV 데이터 실시간 송수신 및 재현

- V3C 파일로 구성된 MIV 데이터의 실시간 DASH 스트리밍 및 수신

- CUDA 기반 MIV 디코딩 모듈 고속화 및 OpenGL 기반 가상시점 고속 합성

언리얼기반 가상공간 내 MIV 데이터 재현을 위한 MIV Plugin

- Dual GPU기반 MIV-Unreal 통합 수신 플랫폼 설계

- SMA(Streaming based MIV Asset), FMA(File based MIV Asset) Plugin

응용 및 활용분야

OTT 기반 MIV 스트리밍 서비스, 메타버스 서비스(MIV 스트리밍)

담당자 정보

담당자: 이봉호(실감미디어연구실, bhlee@etri.re.kr, 1030), 담당자: 곽상운(실감미디어연구실, s.kwak@etri.re.kr)

초실감메타버스

2D 호환 초고화질 양안식 3D 기술

기술개요

기존의 2D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며, 초고화질의 양안식 3D 콘텐츠 제공 기술

기술특징

기존의 2D 서비스를 위한 영상을 AI 기반 입체미디어 콘텐츠 변환기법을 도입하여 제작 , 계층적비디오 부호화 기법(ATSC3.0 A/341 Annex C)을 사용하여 기존의 2D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 지상파 UHD OTT 입체서비스에 모두 적용가능한 새로운 비디오 부호화 방식 적용, 클라우드 기반 OTT 서비스 환경에서의 2D/3D 호환형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응용 및 활용분야

세계 최초로 성과확산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OTT 기반 2D/3D 호환형 입체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실증

▪ 2D/3D 콘텐츠 호환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사, OTT, 영화·영상 미디어 기관 등의 주요 수요처에서 활용 가능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성훈(부산공동연구실, steve-kim@etri.re.kr, 5444) , 부담당자: 송복득(부산공동연구실, bdsong@etri.re.kr)

초실감메타버스

AI 기반 인터랙티브 입체공간 재현 기술

기술개요

AI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입체공간 콘텐츠를 자유롭게 회전, 확대, 축소하며 조작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입체공간 재현 기술

기술특징

▪ 4DGS기반 동적공간 라디언스 필드 학습, 접근법은 기준 3DGS 모델과 시간에 따른 변형 정보가 담긴 신경망의 조합으로 표현 및 현재 프레임 3DGS 모델 훈련 시 이전 프레임 3DGS 모델의 초기값을 통한 증강학습

Unreal기반 시청자 시점 이동 및 인터랙션에 따른 실시간 다중 가상시점 합성 및 3D 공간 재현

응용 및 활용분야

다중 시점 기반 동영상 공간 3차원 복원 시청자 시점 이동에 따른 3D 영상 실시간 합성 및 재현 서비스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준영(실감미디어연구실, jyj0120@etri.re.kr)

초실감메타버스

다초점 공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기술

기술개요

가상공간에서 양안 시차 및 초점면 분리를 활용하여 수렴-초점 불일치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다초점 입체영상 디바이스 기술

기술특징

세계 최초 MIV 표준 기반 착용형 입체영상 VR 디바이스 구현, 입체영상과 가변 초점 렌즈 간 IIS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반 구동 타이밍 동기 안정화 적용, 플리커 제거를 위한 180Hz 이상 고속 구동 제어 회로 제작, 양안 시차 및 초점면 분리를 통한 수렴초점 불일치 해소로 어지러움 저감

응용 및 활용분야

AR/VR 헤드셋, 스마트 글라스, 고성능 헬멧 등 다양한 착용형 디바이스에 응용 가능, 소비자 가전 및 산업용 기기 등 다양한 시장으로 확장. 콘텐츠 제작, 디스플레이 부품, 이미지 처리, 서비스 인프라 등 전반에 기술적 요구와 혁신 촉진, 소재부터 최종 서비스까지 연계된 생태계 형성 및 관련 산업 동반 성장 유도

담당자 정보

담당자: 피재은(실감디스플레이연구실, jepi@etri.re.kr, 1715) 부담당자:변춘원(실감디스플레이연구실, cwbyun@etri.re.kr)

디지털융합

비침습/무채혈 웨어러블 연속 혈당 측정 기술

기술개요

피를 뽑거나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비침습/무채혈 방식의 혈당 측정 기술

귓불에 센서를 착용하여 연속적으로 혈당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

기술특징

웨어러블 방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고통없이 손쉽게 혈당을 측정하는 기술

빛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켜 혈당을 모니터링하는 기술로 정확도 개선

잡음 제거 신호처리 기술 및 기계학습 기술을 통한 측정 정확도 개선

응용 및 활용분야

당뇨병을 진단하는 병원/가정용 의료기기

당뇨 상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헬스케어용 당뇨 모니터링 기기

당뇨, 건강, 식생활을 관리하는 웰니스 프로그램

담당자 정보

담당자: 김봉규 (진단치료기연구실, , 1344)

부담당자: 김종덕 (진단치료기연구실, jd03@etri.re.kr)

디지털융합

피부로 배우는 음악,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악 교육 솔루션 기술

기술개요

청각장애인의 음악 접근성 개선을 위해 시/촉각을 활용하여 음악의 리듬, 멜로디, 음색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인지하고 실감할 수 있는 기술 및 교육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 교육 솔루션

기술특징

음정/화음/음색 특징 기반 실시간 시/촉각 변환 기술

사용자의 시스템 설계 및 개발 개입을 위한 쉽고 개방적인 개발 플랫폼 개발

교육 환경에서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응용 및 활용분야

청각장애인 음악 교육과 재활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교구 및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주도적 문화예술 콘텐츠 생성 장려를 위한 보조기기

문화예술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로 활용하여 포용적 문화예술 제공

담당자 정보

담당자: 신승용 (감각확장연구실, seneru@etri.re.kr, 6414)

부담당자: 이현범 (감각확장연구실, hyeonbeom@etri.re.kr)

디지털융합

미래 에어모빌리티 플랫폼(AdAM-P) 기술

기술개요

돌발 장애물 탐지 및 회피를 위한 AAM 비협력 객체 탐지/추적 기술

AAM 제어·임무용 다중링크 통신과 5G NR-DC 기반 원격 서라운드뷰 영상관제

도심 운항환경을 위한 복합 정밀측위 및 비전 AI 기반 정밀착륙 기술

기술특징

AAM 탑재 카메라 기반 원거리 비협력 객체 탐지·추적을 통한 충돌 방지, 300~600m 고도에서 안정적 제어·임무 수행을 위한 4G/5G·C대역 다중링크 통신 및 5G NR-DC 기반 원격 서라운드뷰 영상관제, GPS 음영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 안정적 항법 제공을 위한 복합 정밀측위, 버티포트 마크 인식 및 좁은 공간 자동 착륙을 위한 비전 AI 기반 정밀착륙 기술 적용

응용 및 활용분야

AAM 자율비행을 위한 ICT 기반 비상상황인지 안전항법시스템

도심 AAM 운항환경을 위한 복합 정밀측위 시스템

AAM을 위한 다중링크 통신 시스템과 원격 서라운드뷰 영상관제 시스템

담당자 정보

담당자: 임채덕(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 cdlim@etri.re.kr, 4899)

부담당자: 김가규(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 ggkim@etri.re.kr)

디지털융합

대규모 확장성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기술

기술개요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석, 예측 모델을 연결통합하여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표준모델 생성/등록/컴포지션 도구 및 엔진

MDT(Manufacturing Digital Twin) 모델 생성 도구, 다중 트윈 워크플로우 구성 도구 및 실행 엔진(MDT Workflow Tool & Engine)

기술특징

세계 최초 재사용성 및 확장성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표준 모델 개발, 실-가상 오차를 최소화 하는 고신뢰 디지털 트윈 기술,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석, 예측 모델의 연결·통합을 통한 생산 최적화 및 효율화 서비스 제공

응용 및 활용분야

공장의 생산 로스(Loss) 제로화를 위한 품질 예측 고장 예지 최적 운영 물류 가시화 적시 공급 서비스 등 다양한 제조 분야 타업종/산업 분야에 적용,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촉진하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게 하여 미래 신산업 시장 경쟁력 확보

담당자 정보

담당자: 손지연(지능·제조융합연구실, jyson@etri.re.kr, 5640)

부담당자: 강현철(지능·제조융합연구실, kauni@etri.re.kr)

디지털융합

5G기반 국방 모바일 네트워크 신뢰연동 기술

기술개요

현장 부대와 지휘 본부 간의 실시간 정보공유와 국방모바일(5G) 네트워크 기반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연동 기술 및 솔루션 개발

기술특징

부대 간 실시간 정보공유를 위한 경량 이동형 MEC 및 5G 미사용 지역 대응 무선 백홀 기술, 국방망 가입자 관리 및 유선망 수준 네트워크 분리 기술, 국방통신망과 상용망 연동 시 보안 수준을 만족하는 신뢰 연동 기술, 다단계·다구간 모니터링 기반 인공지능 망 상태 예측 최적화 기술 적용.

응용 및 활용분야

소규모 공공기관/사업체 등의 구축형 Private 5G network 솔루션 제공, 국방 자체 M-BcN망뿐만 아닐나 5G 상용 기지국을 통해서 모바일 체계단말의 군 네트워크 연결성 제공, 인공지능 기반 트래픽패턴을 예측하여, 군 도메인에 적합한 망 자원 운영

담당자 정보

담당자: 박혜숙(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 parkhs@etri.re.kr, 6707)

부담당자: 김기원(국방ICT융합연구실, kiwon@etri.re.kr)

입체통신

6G 초성능/초정밀 통신기반 라이브 원격 협업 메타버스 공연

기술개요

▪ 6G 대용량 무선전송 기술과 초저지연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 6G 테스트베드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원격의 공연자들이 마치 같은 공간에서 공연하는 것과 같은 가상 콘서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멀티포인트 오디오/비디오 송수신 및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기술특징

5G 대비 10배 이상 빠른 200Gbps급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6G 이동통신 기술, 간섭 트래픽 상황에서도 응용 서비스 요구에 맞춰 원격지 종단간 지연시간 정밀 제어. 부산·대전 공연자의 표정·동작·음성 정보를 실시간 획득·전송하여 서울 가상 콘서트장에서 실감 구현하는 실시간 HW/SW 처리 기술 및 가상공연 콘텐츠 제작, 원격지 초고화질 4K 영상을 비압축 상태로 초저지연 전송하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포함

응용 및 활용분야

200Gbps 무선전송 기술은 XR·디지털 트윈·통신·센싱 융합 등 6G 서비스 발굴 플랫폼으로 활용되며,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은 6G 시민감 버티컬 산업망을 위한 핵심기술로 스위치·라우터·PTN/POTN 등에 적용. K-콘텐츠 글로벌화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공연 플랫폼 구축, 실시간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고해상도 저지연 미디어 송수신 기술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희상 (이동통신연구본부, hschung@etri.re.kr)

부담당자: 김호건 (네트워크연구본부, steveho.kim@etri.re.kr)

부담당자: 유원영 (콘텐츠연구본부, zero2@etri.re.kr)

부담당자: 서재현 (미디어연구본부, jhseo@etri.re.kr)

입체통신

지상/위성 통합 6G 초공간 통신 기술

기술개요

6G 시대 지상 이동통신과 공중 위성통신이 결합하여 고도 10km까지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지상/위성 통합 6G 네트워크 핵심기술

기술특징

지상과 위성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하늘·바다까지 연결되는 6G 초공간 통신의 핵심인프라로써, 자율 스마트 모빌리티 연결 등 공간의 한계 극복 가능

* 기존 이동통신 기술은 서비스 커버리지(고도 300m)에 한계가 있음

▪ 3GPP 표준기반 지상/위성 통합 통신 네트워크 구현으로 하나의 단말로 위성망/지상망 연속적인 사용 가능

응용 및 활용분야

도서·오지·극지 등 기존 지상망 미구축 지역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글로벌 광대역 통신서비스, UAM·드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실시간 통신과 재난 대응용 긴급 통신서비스 제공, 해상·항공 환경에서 선박 간 데이터 교환·기상 관측·항로 안전관리·기내 인터넷 서비스 지원, 자율주행차 통신 및 교통관리용 끊김없는 연결성 제공, 군 작전 중 실시간 정보교환·지휘통제·무인 드론 운용 등 군사활동을 위한 통신 연결성 지원

담당자 정보

담당자: 유준규(위성통신인프라연구실, jgryurt@etri.re.kr), 860-1650, 이준환(공간무선전송연구실, junhwanlee@etri.re.kr)

부담당자: 오성민(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smoh@etri.re.kr)

입체통신

저전력, 초고속 일체형 광원기술

기술개요

데이터센터 내부 네트워크 전송용 224Gbps 전계흡수변조형 광원 소자 기술

기존보다 변조대역폭과 데이터 처리용량이 2배 증가되면서도 저가의 광모듈 구현이 가능한 데이터센터 내부 전송용 초고속 광원 기술

기술특징

3dB 변조대역폭 80GHz(@70℃) 이상 semi-cooled 224Gbps 전계흡수변조 광원 소자 기술, 광모드 변환기 및 모니터링 광검출기 단일 집적, 변조대역폭·데이터 처리 용량 2배 향상 및 단일 집적화 기반 광모듈 저가화 실현. 파장당 224Gbps PAM4, 2km 광신호 전송 가능, 데이터센터 내부 네트워크에 적용

응용 및 활용분야

차세대 이더넷 광통신욘 800G/1.6Gbps용 광트랜시버, 5G/6G 백홀 및 프런트홀 광통신 네트워크용 광트랜시버, 1.6T/3.2Tbps CPO(Co-Packaged optics) 광학엔진(칩렛)

담당자 정보

담당자: 한원석(광통신부품연구실, wshan@etri.re.kr )

담당자: 한영탁(광통신부품연구실, frenclin@etri.re.kr)

입체통신

차세대 무선통신 및 레이다용 GaN 반도체 기술

기술개요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GaN 기반의 전자 소자 및 집적회로 일괄 공정 기술

RF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 사용되며 S-Ka 대역에서 동작하는 고출력·고효율 GaN 집적회로 기술

기술특징

4인치 웨이퍼 기반 0.15게이트 GaN 반도체 일괄 공정 적용, 마이크로파부터 밀리미터파 대역까지 소자·집적회로로 활용되어 RF 송수신 단 소형화 및 고효율화 실현. 고출력·고효율·고신뢰성 GaN 화합물 반도체 기술로 민수용 무선통신 및 군수용 레이더 핵심 부품으로 적용

응용 및 활용분야

▪ 5G/6G 무선통신 기지국용 전력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

군수/민수 레이다용 전력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

이동통신, 위성통신, 기상 레이다, AESA 레이다 등 다양한 분야 활용

담당자 정보

담당자: 강동민(RF/전력부품연구실, kdm1597@etri.re.kr

부담당자: 이종민(RF/전력부품연구실, leejongmin@etri.re.kr

입체통신

밀리미터파 대역의 이동통신 중계를 위한 투명필름 기술

기술개요

밀리미터파 대역 투과·광대역·광각 투명 RIS 기술

밀리미터파 대역 광빔폭 산란 RIS 기술

기술특징

▪ 80% 이상의 광투명도 및 80도 이상의 광각

일반유리 대비 4배 이상의 투과손실 개선

기존 투명필름 대비 10배 이상의 광대역

▪ 80도 이상의 산란 빔폭

응용 및 활용분야

빔 커버리지 및 통신 속도 개선에 의한 5G 상용망의 중계기 기술 대체

구축 비용 감소로 인한 이음 5G 활성화 기대

▪ 6G 이동통신 원천기술 개발로 인한 6G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

통신사업자 (SKT, KT, LGU), 건설, 자동차, 교통 기간 사업 및 군수 업체에 활용하여 통신환경 개선 및 전파 환경 극복과 에너지 저감에 기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이정남(전파환경감시연구실, jnlee77@etri.re.kr)

부담당자: 이선규(전파환경감시연구실, gyul0206@et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