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대한민국 ICT 역사의 장, ETRI 역사관 개관_240422_F.hwp
닫기
Embargo |
없음 |
|
||||
배포일자 : 2024.4.23.(화) |
배포번호 : 2024-26호 |
|||||
문의 |
대외협력부 |
부장 |
김재호(042-860-3891) |
E-mail : next@etri.re.kr |
||
대외협력부 |
홍보실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실 |
행정원 |
이서진(042-860-0635) |
E-mail : seoj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6매, 사진자료 15매, 영상자료 3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대한민국 ICT 산실, ETRI 역사관 개관
- 본관동 성과전시...ETRI 역사가 대한민국 ICT의 역사
- TDX·DRAM·CDMA·WiBro 등 주요성과 68점 전시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을 건설한 연구진들의 피땀이 배어있는 연구성과물이 드디어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3일, 연구원 본관동 2층에 연구진이 지난 48년간 이룬 세계 최고의 연구성과물 68점을 전시, 일반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이 공개한 주요 성과물은 ▲반도체 ▲통신 ▲방송미디어 ▲컴퓨터 ▲ICT융합 등 5대 연구부문의 연구성과물로 시대순으로 구분해 전시했다. 세계최고, 세계최초의 ICT 역사를 쓴 연구진의 도전정신과 불굴의 의지가 담겨 있다.
ETRI는 지난 1976년 척박한 토양에서 통신과 전자의 씨앗을 뿌렸다. 수많은 시련과 역경 속에서도 연구진은 정보통신 핵심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대한민국 ICT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연구진이 일군 기술료 누적금액은 1조 1,674억 원이다.
특히, 이날 공개한 전시물 중 전전자교환기(TDX), 반도체(DRAM), 디지털이동통신시스템(CDMA), 휴대인터넷(WiBro) 기술은 정부가 지난 2015년, 광복 70주년을 맞아 선정한 70대 대표성과에 이름을 올린 대한민국의 국보급 기술이다.
먼저, 반도체 부문은 디스플레이 기술개발과 더불어 대한민국 ‘산업의 쌀’로 불리며 기술강국 신화를 창조한 분야다. 소재/부품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최고의 주력 수출품으로 부상해 국가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연구진은 1989년 4M DRAM 개발을 비롯, 세계 최초로 64M DRAM을 개발해 우리나라를 세계 1위 반도체 수출강국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아울러 2009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명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패널도 세계최초로 개발해 우리나라를 디스플레이 최강국으로 견인했다. 현재는 차세대 마이크로 LED디스플레이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을 통해 반도체 초강국의 격차를 벌이며 노력중이다.
통신 부문은 명실상부 세계 최강이다. 1986년 “1가구 1전화 시대를 연 전전자교환기(TDX)”개발을 시작으로 1995년 “이동통신 선진국으로 발판을 마련한 CDMA기술”을 개발해 우리나라를 이동통신강국으로 만들었다. 이후 최초의 휴대인터넷 기술인 와이브로(WiBro)를 2004년 개발해 이동통신강국의 위치를 단단하게 다졌다. 이후 LTE기술을 통해 3G, 4G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에 성공했고 5G까지 이어지는 성공신화를 써 내려갔다. 연구진은 이제 새로운 도전으로 6G 이동통신개발에도 핵심으로 참여, 이동통신 최강국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있다.
방송미디어 부문에서 연구진은 세계 최고수준의 방송미디어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외 표준화를 견인해 왔다. 1998년 지상파 디지털TV 개발을 시작으로 “내 손 안의 TV시대를 열게 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2006년 세계최초로 개발해 이동중에도 TV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6년 초고화질(UHD) TV의 핵심기술인 전송기술과 압축기술을 개발해 국제표준화(ATSC)로 만들어 세계인이 함께보는 UHDTV 시대를 활짝 열어가고 있다.
컴퓨터 부문에서도 ETRI는 눈부신 역할로 세상을 바꿔가고 있다. ETRI는 1982년 세계에서 두 번째 인터넷 연결에 성공하고, 1983년 우리나라 최초의 8비트 교육용컴퓨터 개발을 시작으로 16비트, 32비트 유닉스 컴퓨터 개발을 해냈다. 1991년 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인 타이컴(TiCOM)개발을 통해 우리나라를 전자정부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후 컴퓨터, SW, 기술개발을 통해 기술독립과 산업발전에 힘써왔다. 최근에는 자동 통·번역 기술 등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를 깜짝 놀라게 만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ICT융합기술 분야에서 ETRI는 자동차, 조선, 국방, 에너지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 ICT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힘써 왔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지능로보틱스, 바이오/의료, 우정물류, 에너지·안전·국방 등 국가 아젠다 해결형 융합연구 등을 통해 학문 간 융합과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대표적인 기술로 2010년 선박네트워크(SAN) 기술과 무인식별(RFID), 지능형 로봇 기술, 2013년 무인 발렛주차 기술개발 등이 있다.
연구원은 역사관 중앙홀에 ETRI를 빛낸 주요 성과 연구자의 이름을 새겨 명패로 보존하고 후배 연구진의 귀감으로 삼고 있다. 과거 장거리자동전화(DDD)와 카드식 공중전화, 화상전화 등도 전시해 통신강국을 견인해 온 ETRI의 명성도 보여줬다.
아울러 대전시의 자랑인 타슈 자전거에도 연구진의 RFID기술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과금 기술, 초등생 영어교육의 ‘펭톡’, 영화 ‘명량’의 컴퓨터그래픽(CG)기술, 영상압축기술인 엠펙(MPEG)에도 연구진의 기술혼이 숨 쉬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故최순달 전 체신부장관과 TDX개발의 주역인 故안병성 박사가 과학기술유공자에 선정되었고, 故최순달 장관은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이번 조성한 연구원의 역사관은 단순히 그동안의 연구성과물을 모아놓은 곳이 아닌 우리나라의 ICT역사가 숨 쉬는 곳이다. 고객들에게 우리나라가 어떻게 ICT 최강국이 되었는지 보여주게 되어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ETRI는 정보통신전시관과 함께 역사관 관람을 일반인들에게 연계해 관람케 함으로써 ICT의 역사와 미래를 함께 보여준다는 취지다. 아울러 ETRI는 오는 2026년, 새롭게 건축되는 마중물플라자에 본 기술들을 함께 전시해 명실상부, 대한민국 ICT 전시관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1 |
ETRI 역사관 |
□ 소개
○ ETRI 역사관은 ETRI 주요 연구성과인 TDX, DRAM, CDMA, 주전산기, 스마트선박기술 등 연구시제품을 영구적으로 보전하고, 국가 ICT 발전 역사와 R&D의 중요성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짐
○ 2024년 4월 5일 연구원 1동 2층에 설치, 약 90평의 공간에 대한민국 ICT 발전에 기여한 연구성과 68점이 전시되어 있음
○ 1976년 ETRI가 개원한 이후 48년 동안 이룩한 선배 연구진의 업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과거・현재・미래를 연결하는 ICT 교훈의 공간 및 국민 교육의 산실로 거듭날 것임
□ 내부 평면도
참고2 |
ETRI 역사관 사진 |
|
|
|
|
|
|
참고3 |
역사관 주요기술 설명자료(1) |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다(TDX)
심각한 전화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시분할전자교환기(TDX)의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당시 기술로는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투자가 필요했다. '기기의 수입이냐? 자체적인 개발이냐?"를 두고 정부내에서도 첨예한 의견대립이 있었다. 마침내 ETRI 등 공동연구진은 5년 동안 약 240억 원을 투입해 자체 기술로 TDX 상용화에 성공했다. 연구개발에 투입된 연구진이 연간 1,300명에 달했다. 이로써 30년 넘게 지속된 전화 적체를 한 번에 풀 수 있었고 본격적인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게 되었다. ETRI가 개발한 TDX는 세계에서 열번째 전전자교환기가 되었다. ETRI의 TDX개발은 관련된 산업체의 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게 되었고 국내 통신장비산업의 도약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
반도체 강국의 신화를 창조하다(DRAM)
1982년, ETRI는 정부의 주관 아래 최초의 국산 반도체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외국산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국내 연구진의 노력으로 처음 32K ROM 개발에 성공했다. 1983년 연구진은 64K ROM 개발에 착수한 지 한 달 만에 개발해 냈다. 이로써 단기간에 세계 7위권의 반도체 생산 기술국으로 급부상했다. 이후 한국은 1988년 4M, 1991년 16M DRAM을 개발해 반도체 선진국에 진입하게 되었다. ETRI의 반도체 기술개발은 우리나라를 반도체의 불모지에서 단숨에 세계 1위의 반도체 수출국으로 만들어 주었다. 반도체 개발은 한국의 정보화를 촉진하여 국민의 생활방식과 유통구조 혁신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첫번째 웨이퍼를 만든 지 18년 만인 1992년, 한국은 세계 최초로 64M DRAM 개발에 성공하면서 DRAM 분야 최강자였던 일본을 추월했고, 1993년에는 세계 메모리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국가로 급부상하게 되었으며 1992년 이후 반도체는 한국의 수출품목 1위를 이어갔다. |
이동통신 선진국으로의 발판을 마련하다(CDMA)
디지털 이동통신이 도입될 당시에는 유럽의 표준방식(GSM)이 대세였다. 한국은 기술료 지불과 기술의 종속을 피하고자,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불안정했던 코드분할다중방식(CDMA)방식을 선택하는 모험을 강행했다. TDX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선발된 총 1,042명의 연구인력과 996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연구과제는 마침내 1996년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라는 결실을 보게 되었다. CDMA기술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도전한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연구진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단말기 상용화에 성공하여 세계가 인정하는 이동통신 최강국이 되었다. 1989년부터 8년간 약 996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되었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이후 10년간만 따져도 200조 원에 이른다. |
내 손안의 인터넷 세상을 열다(WiBro)
3세대 이동통신(3G)은 사진과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지만 속도가 느려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와이브로는 3G 대비, 5배의 속도를 지원하면서도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었다. ETRI와 국내 공동연구진은 2002년 와이브로 기술 공동개발에 성공하고 2006년 세계 최초로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 2011년 LTE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와이브로는 퇴조했지만, LTE의 탄생을 앞당긴 기반기술이 되었다. 2008년부터 5년간 기술과 장비 수출액이 31조 원에 이르고 생산유발효과 15조 원, 7만 5천여 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
참고4 |
역사관 주요기술 설명자료(2) |
전자정부의 기반을 만들다(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 TiCOM)
1991년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국내산 중형 컴퓨터인 주전산기(Ⅱ) 타이컴은 ETRI를 중심으로 국내 기업체들이 함께 참여한 공동개발로 이루어졌다. 이후 1994년 고속 중형 컴퓨터인 주전산기(Ⅲ)를 비롯해 1998년 타이컴(Ⅳ)인 고속 병렬 컴퓨터 시스템(SPAX)를 연속해 개발하였다. 국내 연구진의 독자적으로 개발된 기술로 한국의 전자정부 기틀을 마련했다. 국내 컴퓨터 시스템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외국산 컴퓨터의 기술 종속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또한 본 기술개발로 인해 한국의 컴퓨터 관련 전문인력을 다수 양성하여 국내 컴퓨터 산업의 고속성장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
한국 컴퓨터 산업을 견인하다(16비트 유닉스 컴퓨터)
ETRI는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 최초로 16비트 유닉스(UNIX) 컴퓨터를 개발해 국내 컴퓨터 기술의 초석을 만들었다. ETRI 연구진이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체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설계했고 컴퓨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국산화 해냈다. 본 기술은 훗날 최초의 국산 상용컴퓨터인 'SSM-16' 개발에 크게 공헌했다. ETRI는 중앙처리장치(CPU)의 핵심부품인 32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술개발을 해냈다.(1992) 본 기술은 당시 미국의 기술력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9년의 연구개발로 이뤄낸 결실이었다. 초당 명령어 처리속도는 4천만 회에 달했다. 국내 컴퓨터 기술개발에 혁신적인 역할를 수행했다. |
손안의 TV 시대를 열다(지상파DMB)
ETRI는 1993년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 개발을 시작해 디지털 방송미디어 기술개발에도 뛰어들었다. 2001년부터는 지상파 디지털방송 송수신 기술과 중계기술, 신호처리 기술 등을 빠르게 개발했다. 우리나라가 성공적으로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 ETRI는 2001년부터 DAB 송수신 기술을 축적하고 있어서 DMB 개발에도 속도를 낼 수 있었다. 2003년 10월에 세계 최초로 지상파 DMB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2005년 12월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DMB 방송이 시작되었다. 시속 150km 이상의 고속 주행 중에도 끊김이 없이 깨끗한 TV를 볼 수 있는 기술이다. 이로써 내 손안의 TV시대, 나만의 방송 시대를 활짝 열게 되었다. 2018년에는 ATSC 3.0 UHD 방송의 대표 서비스인 UHD 모바일 방송기술을 개발했다. |
인간과 로봇의 공존사회를 만들다(지능형 로봇)
ETRI는 2004년부터 정부의 IT839 정책의 일환으로 로봇에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로봇 연구에 힘써 왔다. 연구진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지능형로봇(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기술 개발을 시작으로 지능 로보틱스 연구개발을 돌입했다. 이후 2008년부터는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HRI) 기술, 로봇 자율주행 기술, 커넥티드 카 요소기술인 차량과 사물간 통신(V2X) 기술, 무인 발렛주차 기술, 그리고 자율주행 AI 기술에 이르기까지 국내 지능 로봇틱스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견인해 왔다. |
참고5 |
역사관 추가 설명자료(1) |
▪ [ETRI 역사관 구성 및 주요 전시품]
▫ 역사관은 크게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있음
▫ 시계방향으로 (반도체 – 통신 – 방송/미디어콘텐츠 - SW 컴퓨터 – ICT융합 – 로봇관)으로 구성됨
▫ 반도체관
▹연구 노트, 주요 보고서 및 기본 건설에 대한 설계들
▹4M~16M부터 최신 반도체 칩까지 개발했던 소자 및 부품들
▫ 통신관
▹TDX(Time Division Exchange, 시분할 방식 교환기)
▹CDMA(2세대,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IMT-2000(3세대,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WiBro(3세대, Wireless Broadband 무선 광대역, 고속 데이터 통신망)
▫ 방송・미디어관
▹지상파 DTV 변조기
▹DMB 휴대 단말기 및 모니터
▹UHD 모바일 방송 수신기
▫ 컴퓨터관
▹8bit 교육용 컴퓨터, 16Bit, 32Bit UNIX 컴퓨터
▫ ICT 융합관
▹SAN(Ship Area Network, 2010) : 국내 대표적인 ICT+조선 융합기술로 대양에 운항 중인 선박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
▹바이오셔츠(2006) : 웨어러블 측정 장비. 독거노인, 운동선수에게 적용하여 운동 시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장비로 활용
▹개별물품 단위 응용을 위한 차세대 RFID 기술개발 RFID 와인전자선반
▹스마트 에너지 감시 및 제어 시스템
▫ 로봇관
▹책 읽어주는 로봇(ETRO)(2003)
▹감성로봇 코비, 래비(2007)
▫ 중앙홀
▹옛날 공중전화기 DDD(Direct Distance Dialing, 1983): 시외전화가 가능했던 버튼식 자동 공중 전화기로 핵심기술을 ETRI가 개발
▹카드식 공중전화기 : 카드리더기를 ETRI가 개발
▹화상전화기 : 지금으로 치면 zoom 형태. ETRI의 창업기업이 만듦
▹미래창조과학부가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선정한 대한민국을 빛낸 70개의 기술 중 ETRI 기술 소개
▹지난 48년간 ETRI가 이룬 경제적 파급효과 소개
참고6 |
역사관 추가 설명자료(2) |
▪ [ETRI 연혁]
▫ 1976,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KERTI) 설립,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 설립,
KTRI(KIST 부설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발족
▫ 1981, KERTI-KTRI 통합, 한국전기통신연구소(KETRI) 출범
▫ 1985, KETRI-KIET 통합,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발족
▫ 1997,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으로 명칭 변경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976년 12월 30일 설립된 KIST 부설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와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KERTI)를 모태로 한다. 이들 두 연구소와 1977년 설립된 한국통신기술연구소(KTRI)를 통합하여 1985년 3월에 정보통신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KETRI)를 발족하였다. 연구원 영문약자인 ETRI 또는 에트리로 부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