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세계최초 200Gbps급 6G 무선시연 성공_FF.hwp

닫기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2025.01.23.(목)

배포번호 : 2025-09호

입체통신연구소

이동통신연구본부장

김일규(042-860-5490)

E-mail : igkim@etri.re.kr

이동통신연구본부

6G액세스시스템연구실장

정희상(042-860-6115)

E-mail : hschung@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선임행정원

김민규(042-860-0681)

E-mail : kakapow@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2매, 사진자료 10매(동영상 1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세계 최초 200Gbps급 6G 무선시연 성공

- 초고주파 광대역 활용 6G PoC 시스템개발 성공

- 6G 표준 선점을 위한 6G 핵심원천기술 다수 확보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200Gbps 무선링크 시연에 성공해 오는 2030년경 서비스가 시작될 6G 이동통신 시대를 성큼 앞당기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6G 이동통신 개념증명(PoC) 시스템을 개발, 지난해말 세계 최초로 200Gbps급 6G 무선링크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6G 이동통신 핵심 기술은 향후 이동통신 규격표준을 제정하는 국제표준화단체인 3GPP에서 6G 표준기술 반영을 통해 다양한 미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에 사용될 전망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6G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은 초고주파 (Sub THz) 대역에서 10GHz의 광대역폭을 활용해 전송하는 다중점 송·수신 무선전송기술이다.

4개의 기지국 무선유닛(RU)이 동일 주파수 대역으로 동시전송하고 단말은 빔형성 기술을 활용해 4개의 RU로부터 오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해 총 200 G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시연 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RU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송속도인 50Gbps 4개 무선을 묶어 최대 데이터 전송률(Peak Data Rate) 200Gbps가 되는 셈이다.

연구진은 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4개의 기지국에 동일 대역 주파수 신호를 쏜뒤 이를 동시에 받는 기술을 적용했다. 아울러 수신부에서는 고도의 빔포밍 기술이 적용되어 4개의 기지국에서 오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데 주력했다. 또한 속도가 높아지니 대용량 채널의 부호화·복호화에 필요한 기술까지 구현해 냈다. 이를 통해 데이터량을 4배 높일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서브 테라헤르츠(Sub THz)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 비해 주파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전파도달거리가 짧아서 미래에 크기가 매우 작은 셀(인도어 피코셀 등)용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한 센싱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 된다.

시연에 사용한 PoC 시스템은 다중점 송·수신 기술 초고주파 편파 미모(MIMO) 기술 대용량 코딩 기술 등 6G 이동통신의 핵심기술들을 포함한다.

ETRI는 이번 200Gbps급 6G 무선기술을 세계최초로 시연할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해 ETRI 연구진은 물론, 공동연구기관과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 2022년 1차 6G 원천기술 페스티벌을 비롯, 지난해 2차 페스티벌 개최 등 다수의 핵심원천기술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우수기술을 개발하고 선점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ETRI는 2020년초 자체 6G 비전 정립 후 이를 기반으로 산··연과 함께 한국의 6G 비전을 정립한 후 이를 토대로 ITU-R IMT-2030(6G) 프레임워크 반영 등 6G 비전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다.

아울러 2020년부터 정부의 6G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6G 핵심원천기술 확보에도 주력해왔다. 지난해부터는 6G 2단계 사업인 차세대네트워크산업기술개발사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해 6G 산업화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진은 3월 초 스페인에서 열리는 MWC 2025에 이번 개발한 기술 포함 ETRI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6G 기술들을 대거 전시한다. 대표적으로 200GbpsSub THz 6G 기술 O-RAN 기반 E-MIMO vRANAI 무선액세저궤도 위성통신 모바일코어네트워크종단간 초정밀 서비스 네트워기술 등이다.

ETRI의 6G 최신기술을 이번 MWC에 전시함으로써 관련기술을 선도하고 있음을 전 세계에 적극 알릴 예정이다.

아울러, 3GPP는 차기 6G 기술 워크샵을 내년 3월, 한국에서 이통관련 사업자, 제조업체, 연구소 등과 함께 개최한다. 워크샵을 통해 표준에서 다룰 핵심 기술들에 대한 토론 및 가이드라인 등이 제시된다. ETRI는 3GPP의 6G술 워크샵에 그동안 진행되온 6G 핵심원천기술 연구개발에 기반해‘6G 기술를 발표할 예정이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세계최초로 200Gbps급 6G PoC 시스템 시연에 성공함으로써, 한국이 6G 기술을 선도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향후 글로벌 6G 표준화 및 산업화를 주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ETRI 김일규 이동통신연구본부장도올해 6월초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ETRI 컨퍼런스 행사에서 본 무선 시스템과 대전-서울-부산을 잇는 초정밀 유선네트워크를 결합해 전국규모 초정밀 네트워크기반 실시간 원격 협동공연 메타버스 서비스를 시연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그동안 6G 핵심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SCI(E) 논문 23건, 국·외 특허출원 228건, 기술이전 1건의 실적을 거뒀다. 본 연구에서 발굴한 특허 기술들은 향후 3GPP 6G 국제표준에 반영 추진 예정이다.

6G 이동통신은 2023년 말에 ITU-R에서 권고한 IMT-2030(6G) 프레임워크에 기반해 2025~2028년 기간 3GPP에서 표준규격이 제정된 후 2030년 경부터 전세계적으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6G에서는 초실감 메타버스, 초연결 IoT, 자율차 및 공중이동체 서비스 등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진은 향후 개발한 핵심기술이 3년내 국제표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고도화와 추가연구개발을 통해 기술 완성도를 제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구진은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테스트 플랫폼으로 활용해 6G 통신기술로 검증하는데도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으로 진행 6G 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ETRI가 주관기관이고 국내 이동통신 3사, 삼성전자, 클레버로직, 에스넷아이씨티㈜, 코모텍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 중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용어설명

1) 200Gbps급 : 초당 200Gbit로 50GByte 4K UHD영화 한편을 2초만에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속도

2) 개념증명(PoC) : PoC(Proof of Concept) : 개념 증명(槪念證明, POC, Proof of Concept)은 기존 시장에 없었던 신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3) 3GPP : 이동통신 관련 단체들 간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이동통신 국제표준 규격을 제정하는 역할을 수행

4) 무선유닛(RU, Radio Unit) : 기지국에서 신호를 주고 받을 때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해주는 부분

5) 빔형성 기술 : 안테나에서 방사된 에너지가 공간의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

6) 최대 데이터 전송률 (Peak Data Rate) :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기지국이 모든 데이터를 한 단말에 전송시 가능한 데이터 전송속도로서 다수의 단말이 존재하는 실제 이동통신 셀룰라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단말이 나누어서 제공 받음

7) 서브 테라헤르츠(Sub THz) 주파수 대역 : 통상 100 GHz ~ 300 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함.

8) 크기가 매우 작은 셀(인도어 피코셀 등) : 이동통신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을 셀이라고 정의하는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도달거리가 짧아져서 셀의 반경이 작아진다. 일반적으로 셀의 반경이 수백 m 이상인 경우 매크로셀, 수십 m 정도를 마이크로셀, 그것보다 작은 경우 피코셀 등으로 분류한다.

9) 미모(MIMO) : 복수의 기지국과 단말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용량을 높이기 위한 기술

10) ITU-R IMT-2030(6G) 프레임워크 : 6세대 이동통신의 비전, 사용 시나리오, capability 등의 기본적인 요구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6세이 이동통신 국제표준 규격을 제정

11) 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와 대비하여 개방화, 지능화, 가상화를 강화한 국제표준 규격 기반의 네트워크

12) E-MIMO (Extreme Massive MIMO) : 초대규모의 송수신 안테나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용량을 확장하는 기술

13) vRAN (Virtual Radio Access Network) : 기지국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가상화된 범용 네트워크 장비를 활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14) AI 무선액세스 : 이동통신 기지국에 AI,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성능 향상, 관리 자동화, 에너지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

15)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 이동통신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서비스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고, 고객 인증 및 관리 등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통신 기술의 진화와 함께 발전해오고 있는바, 5G에서는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로 발전하고 있음.

16) 종단간 초정밀 서비스 네트워크 : 초실감 서비스의 품질 보장, 산업 영역에서의 크리티컬 고정밀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종단 간 정보전달의 초저지연성, 지연편차 가 최소화되는 네트워크 고정밀성 등을 제공하는 기술

참고1

ETRI 연구진이 시연에 성공한 200Gbps급 6G 무선통신

참고2

ITU-R IMT-2030 (6G) 프레임워크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