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3D프린팅 콘텐츠 제작 기술 상용화.hwp

닫기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11.4(수)

배포번호 : 2015-80

차세대콘텐츠연구본부

본부장

이길행(042-860-6360)

E-mail : ghlee@etri.re.kr

융복합콘텐츠연구부

부장

최진성(042-860-1157)

E-mail : jin1025@etri.re.kr

홍보부

홍보팀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부

홍보팀

정병인(042-860-6634)

E-mail : byengin@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

배포처 : ETRI

<우리 생활 속의 3D프린팅 시연>

ETRI, 3D프린팅 콘텐츠 제작 기술 상용화

- 일반인도 조작가능한 3D프린팅 콘텐츠제작 기술개발

- 시뮬레이션 및 스캐너도 개발 상용화 박차, 사업모델 제시

- 4일, 웨스틴조선 K-ICT 3D프린팅 컨퍼런스서 공개

3D 프린팅이 일반화됨에 따라 나만의 3D 출력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3D프린팅을 하기 위해선 대상물을 스캔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3D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3D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수정을 해야 한다. 이런 복잡한 과정을 국내 연구진이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4일, 3D프린팅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3D 프린팅을 위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일반 3D 콘텐츠를 만드는 것보다 어렵다. 하지만, ETRI가 쉽게 스캐닝하고 대상물을 PC로 불러 나만의 콘텐츠로 만들 수 있게 작업도 가능한 3D프린팅 콘텐츠 제작기술과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 본격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콘텐츠 저작, 시뮬레이션, 3D 스캐닝 SW 비전문가라도 자신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간편하게 3D로 출력할 수 있다. 실제 스크롤바만 움직여도 원하는 모습의 3D가 가능해지고 모바일로도 지원이 가능하다.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는 마치 대상물을 PC로 불러와 개인의 스타일에 맞게 깎고 다듬는 일종의 편집 SW이다.

따라서 본 SW는 디자이너의 창의적 디자인에다 수학적 방법(비선형 변형)을 이용,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ETRI는 본 기술을 이용하면 일반인도 단순한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스크롤바로 조작함으로써 스타일, 높이, 넓이 등의 정해진 대상 모델 속성을 손쉽게 변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ETRI가 개발한 3D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는 국내 최초로 3D 델에서 출력물에 필요한 내구성이나 안정성 등 기능을 자동 검증하고, 보정하여 기능성 3D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ETRI는 본 기술이 3D 프린팅 기본 지원은 물론, 사용하기 단순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용자정보 및 데이터 관리도 가능해 서버와 사용자간 서비스도 지원하며 3D 프린터용 객체 라이브러리까지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사업화도 쉬워질 전망이다. 즉 전문가들이 각종 캐릭터 등을 라이브러리에 올려놓으면 일반인은 쉽게 대상을 따다가 쓸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비행기, 코끼리,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대상을 골라 3D 프린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서버도 연동되니 3D로 만든 제품을 웹에 쉽게 올릴 수 있게 된다. 일반인들도 3D 모델링과 저작편집의 길이 활짝 열리게 된 것이다.

또한, 3D 스캐닝 SW는 스캐닝 결과로부터 3D 프린팅 모델을 생성하는 후처리 기술을 기존 수동 방식에서 주요 단계를 자동화하여 개발하였다. 현재, ETRI는 기존 개발된 HW기술과 결합하여 3D 스캐닝 도구의 사업화를 추진 중이다.

3D프린팅 콘텐츠 제작 기술과 3D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 3D 스캐닝 도구는 4일부터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되는 K-ICT 3D Printing Conference 2015에서 일반에 공개, 시연될 예정이다.

ETRI가 개발한 3D 프린팅을 위한 시뮬레이션 도구는 자동검증기능과 핸들기반 보정이 가능하고 사용자 조립지정, 출력공간 자동검증을 보증하는 등 그 성능면에서 상용제품에 못지않는 기술력을 자랑한다.

ETRI는 아울러,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와 캐리마가 개발한 고속 프린터를 연계, 온 사이트(On-Site) 3D프린팅도 시연한다. 기존 3D프린팅 사업화에 걸림돌이던 느린 프린팅 시간과 저작의 어려움을 쉽고 빠른 출력을 통해 3D 프린팅 사업의 원형을 보여줄 예정이다.

또한 ETRI제이투와이소프트와 기존 수작업 중심의 3D 개인 피규어 제작에서 벗어나 3D 개인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자신만의 3D 피규어를 제작하는 시스템도 선뵌다.

ETRI는 본 기술이 미래창조과학부3D 프린팅을 위한 실물정보 기반 3D 콘텐츠 생성 및 편집기술 개발의 지원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ETRI 최진성 융복합콘텐츠연구부장은 개발된 기술을 모바일 앱과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일반인에게 공유할 계획이며, 학교 등에서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3D 스캐닝에서 저작, 출력까지 가능한 학습 교보재로 사용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1.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는 교육 현장에서 이미 검증받은 간편한 조작으로 출력용 모델을 생성하는 교육용 저작도구를 선보이며, 3D린팅 학습 교보재 제작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심 있는 교육 기관 및 업체와의 상담도 가능하다.

2. 3D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는 3D 모델의 다양한 기능성을 검증/보정하는 방법을 선보인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도 일부 기능의 검증, 보정 기술을 시연하므로 데스크탑/모바일 솔루션도 제시한다.

3. 3D 스캐닝 도구는 일반인도 쉽게 3D스캔 및 후처리로 모델을 생성할 수 있어, 맞춤형 구두, 신체 맞춤형 의수/의족/가발, 온라인 쇼핑몰의 피팅용 3D 모델, 부품형상 검증용 프로토타입, 외형 변경을 통한 생활아이디어 상품제작 등, 기존에 없던 3D 프린팅을 활용한 신개념의 사업 아이템 도출이 가능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참고자료>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

객체 라이브러리 기반 3D 객체 변형 기술 및 저작 기술을 원천으로 기존의 복잡한 3D 모델링 도구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손쉽게 출력 객체를 선택하고 이를 변형하여 원하는 물품을 디자인하고, 이를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3D 콘텐츠 저작 소프트웨어

< 기존 제품/기술과의 비교표 >

<3D 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

3D 모델이 출력 이후 부러지기 쉬운 부분을 표시하고(내구성),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스스로 세워질 수 있게 하고(안정성), 출력 공간보다 큰 경우 쪼개어 출력한 후 결합할 수 있도록(조립성) 지원하는 기술이다.

< 기존 제품과의 기술 비교표 >

활용분야

관련시장

활용가능 서비스

교육용 콘텐츠 (디지털교보재)

현재는 2D 이미지만 일반 문서에 삽입이 가능하나, 교육에 필요한 3D 모델 데이터를 쉽게 스캔하여 교육용문서에 삽입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3D로 뷰잉할 수 있게 되어 교육효과 증대

전자상거래 (제품의 3D모델)

온라인 쇼핑몰의 2D 사진을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현단계를 벗어나, 운영자가 손쉽게 제품을 3D로 스캔하여 사이트에 올리고, 소비자는 제품을 3D로 인터랙션하며 살펴볼 수 있게 하여 온라인 거래를 활성화

제조/부품

(CAD 데이터화)

설계도가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기계부품을 3D로 스캔하여 CAD 도면화하는 역공학(Reverse-Engineering) 분야는 일부 전문가에게만 한정된 3D 스캐너의 적용 분야였으나, 3D 스캐너의 대중화로 관련분야의 시장 활성화 기대

<사진자료>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

< 창의성 교육용 3D 프린팅 저작도구 >

<맞춤형 3D 피규어를 제작 서비스: 사업화 사례>

◦3D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

< 출력전 내구성 검증 결과> < 검증 확인 3D프린팅 >

< 출력물의 내구성 시뮬레이션 >

<데스크탑/모바일 환경>

<무게중심 이용한 거치 안정 영역 검증/보정>

<보정한 출력물>

< 스스로 거치를 위한 안정성 시뮬레이션 >

<분할면 입력>

<연결장치 적용>

<대형 출력물 결합>

< 대형 결과물 출력을 위한 조립성 시뮬레이션 >

◦3D 스캐닝 도구

- 핸드핼드형 3D 스캐너

<핸드핼드형 3D스캐너 사용 사례> <스캔 후처리SW를 통해 획득한 3D프린터용 모델 데이터>

-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폰 부착형 라인 레이저 방식의 3D 스캐너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폰 부착방식의 3D 스캐너 및 작동 사례>

<일반인용 3D 스캐너와 3D 프린터의 조합을 통한 신개념 사업 아이디어 도출 >

<행사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