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ITU-T 국제 표준 주도 개발

- 미래인터넷 및 차세대통신망 신호방식 기술 분야 -
ETRI, ITU-T 국제 표준 주도 개발

- 국제표준 초안 4건 개발 확정 및 각 표준초안 작성 책임 에디터 4명 선임
-「태그 기반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NGN 아키텍쳐 국제 표준 권고안」등 총 4건의 국제 표준 개발 완료
- 미래인터넷 분야 국제표준화 ETRI 연구인력이 주도
- 지식재산권 및 시장주도 역량 강화 계기의 값진 성과


올해부터 새로 시작된 ITU-T의 표준화 회기(2009-2012) 동안 ITU-T의 미래인터넷 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한국이 주도하게 되었으며, 한편 지난 2년여 동안 한국의 주도로 개발 진행해 오던 국제표준권고안 작업이 기술적인 검토를 완료하여 최종 승인됨으로써 새로이 4건의 ITU-T 국제표준을 한국이 확보하게 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금번 5월 11일부터 22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NGN-GSI 회의에서 ITU-T의 미래인터넷 관련 최초의 국제표준 초안 2건이 채택되었으며, 동시에 각 표준초안 작성을 책임지는 에디터에 ETRI 신명기 책임연구원과 정상진 선임연구원이 선임되었다고 4일, 밝혔다.

또한, 같은 기간에 개최된 Study Group 11(SG 11)회의에서 ETRI 안재영 책임연구원이 ‘차세대 망 접속 기능과 식별자 관련 신규 표준 초안’의 에디터로, 그리고 ETRI 강신각 책임연구원이 ‘분산서비스 네트워크 구조 신규 표준초안’의 에디터로 선임되어 해당 국제 표준기술의 진행을 한국이 주도할 계기를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ITU-T는 미래인터넷과 차세대통신망 분야의 표준화를 전담하는 Study Group 13(SG 13)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중 Question 21(Q21)은 미래인터넷 관련 표준을 작성하는 표준 작업반으로, 올해부터 새로 시작된 표준화 회기(2009-2012) 동안 미래인터넷 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ETRI 연구 인력이 주도하게 된 셈이다.

특히 ETRI 신명기 책임연구원은 지난 1월, 미래인터넷 관련 표준을 제정하는 Q21 표준 작업반의 의장인 라포쳐(Rapporteur)에 선임된 바 있다.

또한, Question 19(Q19)는 P2P 기술을 통신사업자망에 적용시키기 위한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기술 관련 표준을 개발하는 신규 작업반으로, ETRI 강신각 책임연구원이 지난 1월 SG13 총회에서 Q19 표준 작업반 라포터(Associate Rapporteur)로 선임된 바 있다.

또한, ETRI 주도로 개발되어 온 총 4 건의 국제 표준 권고안이 금번 회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승인(consent) 완료 되었다.

새로이 ITU-T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신규 국제 표준으로 ▲ITU-T Y.2016(에디터: ETRI 유상근 선임연구원, 김형준 책임연구원)은 태그 기반의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NGN 아키텍쳐를 정의, ▲Q.3223 문서(에디터: ETRI 정형석 선임연구원)는 차세대 망의 접속 (Network Attachment) 지원 기능과 자원 관리 기능 간의 신호방식에 대한 실질적인 구현을 정의, ▲ITU-T Y.2236(에디터: ETRI 강신각 책임연구원)은 멀티캐스트 서비스 지원을 위한 NGN의 세부 기능 요구사항을 정의 ▲Q.3611(에디터: ETRI 이종화 책임연구원, KT 황진경)은 멀티미디어 발신자표시를 위한 신호 요구사항과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ETRI 정해원 표준연구센터장은 “미래인터넷은 현 인터넷 구조를 완전히 새롭게 개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분야로, 최초 국제표준초안의 에디터 지위를 확보한 것은 우리나라가 미국 및 유럽과 더불어 미래인터넷 연구에 핵심 국가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쾌거”라면서, “차세대통신망의 국제 표준화가 이제 실질적인 구현을 고려해야 하는 단계에서, 한국이 NGN 신호방식 및 멀티캐스트 기술과 NGN 기반 응용서비스를 위한 기술 표준개발의 주도적 위상을 확보 한 것은, 향후 관련 지적 재산권 및 시장 주도 역량의 강화로 이어질 것이 기대되는 값진 성과' 라고 말했다.

[배포번호 : 2009 - 62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