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FTTH 서비스 및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ETRI, FTTH 서비스 및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 37개 아파트단지, 16,000여회선, 6,000여세대 실가입자 서비스 제공
- FTTH 3차 사업 성공적 구축, 올해 2만회선 구축 청신호
- FTTH 서비스 및 장비 필드 테스트베드로 활용


    『광주시 광산구 호반아파트에 사는 주부 박씨는 주문형 비디오(VoD)로 최근 출시된 영화를 HDTV를 통해 고화질의 실감나는 영상을 즐기고, 학원에서 돌아올 초등학생 딸에게 간식으로 TV를 통해서 집 근처 피자전문점을 검색하여 피자를 주문한다.
한편, 중학생 민수는 매일 TV를 통해 원어민 강사와의 실시간 양방향 강의에 참여하여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가고 있다.』

    주부 박씨의 일상 모습은 먼 미래의 상상이 아니라 광가입자망(FTTH; Fiber To The Home) 기술이 시현되고 있는 2008년 5월 빛고을 광주에서 실현되고 있는 현재 모습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1일, 광주광역시 소재 14개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FTTH 시설용량 5,176 회선 구축 및 실가입자 1,791세대를 개통함으로써 3차년도 FTTH 인프라 구축사업을 마무리하여 FTTH 서비스 및 장비 필드 테스트베드로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는 지난 2005년부터 전국 최초로 망사업자(KT, 하나로텔레콤 및 CMB) 참여 하에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Real-FTTH 인프라 구축이 착수된 이래 총 37개 아파트단지에 FTTH 시설 용량 16,056 회선 구축, 실가입자 5,886세대에 FTTH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FTTH 기술은 광 선로를 각 가정까지 포설함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동선로를 기반으로 한는 VDSL 기술이나 광랜 기술보다 10~20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품질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다.

    가입자 수가 늘거나 서비스 대역이 증대되어도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차세대 광가입자망 기술로 일본이나 북미, 유럽 등에서 본격적으로 구축 또는 추진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사업모델 부재로 그 동안 FTTH 망구축이 본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특히, 이번 3차년도 FTTH 인프라 구축사업에서는 ETRI 등 국내에서 개발된 핵심 기술이 적용된 2.5G G-PON 및 1G GW-PON 장비가 사용되었으며, 이들 장비는 ETRI와 망사업자가 공동으로 실시한 Bench Marking Test를 통해 FTTH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안전성을 검증받았다.

    고재상 ETRI 광통신연구센터장은 'ETRI가 구축한 인프라는 FTTH 기반 서비스를 위한 광통신 부품, 장비, 홈서버, 셋톱박스, 게이트웨이, 미들웨어 등의 관련제품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필드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베드로서 활용할 예정이며, 이로써 FTTH 기반 서비스의 사업화모델 발굴 및 검증에 따른 국내 FTTH 관련 산업의 국제 기술경쟁력 확보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현재 ETRI 광통신연구센터에서는 HD급 IPTV, HD급 VOD, 실시간 양방향 e-Learning 서비스, LBS기반 양방향 광고 및 IPTV 전자상거래서비스, TV기반 웹서비스 등을 실험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개인 맞춤형 IPTV 채널서비스, 개인 참여형 IPTV서비스, 개인 IPTV 방송국서비스, 개인 맞춤형 콘텐츠 저작서비스, 실시간 다채널 IPTV DRM 등을 제공하여 IPTV 서비스의 다양한 분석과 새로운 수익모델 발굴을 통해 기술 사업화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광주광역시 일원의 FTTH 실험가입자가 이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ETRI광통신연구센터에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셋톱박스를 추가 배포할 계획이며, 자세한 사항은 FTTH서비스 공식홈페이지를(http://www.ftth.re.kr) 통해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현재 광통신연구센터에서 개발 중인 10G TDMA PON 기술은 차세대 FTTH 핵심기술로서 풍부한 전송대역을 통하여 보다 나은 IPTV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각 가정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신기술이다.

    이를 위해 광통신연구센터에서는 IEEE 및 FSAN 등과 같은 국제 표준화 활동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차세대 FTTH 국제 표준을 국내 기술로 선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배포번호 : 2008 - 03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