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문화유산에 IT기술 접목한 체험형 콘텐츠 기술 개발

ETRI, 문화유산에 IT기술 접목한 체험형 콘텐츠 기술 개발

- 전시.박물관에 IT 기술 적용 가상 도우미 서비스 실현
- 문화산업에 IT기술 접목으로 세계시장 선도 가능성 높아



      문화유산에 IT기술을 접목하여 파괴된 문화유산을 3D 영상으로 복원하여 휴대형 단말기로 보여주는 등 일상 현장에서 가상세계와 실제 세계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기술이 PC를 기반으로 한 가상세계에서 일상세계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28일, 전시관 및 박물관 등의 공간에 초음파 기반의 위치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도우미 없이 전시물들에 대한 설명을 가상세계와 현실 세계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u-체험형 디지털 콘텐츠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u-체험형 디지털 콘텐츠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휴대형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단말기상의 실제 영상과 합성되어 나타나는 3D 가상물체와 상호 연동됨으로써 교육, 오락 및 여행 등의 현장에서 가상세계를 실세계와 함께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기술이다.

      기존에는 전시관이나 박물관의 각종 전시물에 대한 부가설명을 위해서는 RFID 기술에 기반하는 단순 형태의 음성 서비스에 의존해 왔었다.

      반면, ETRI가 개발한 기술은 휴대형 단말기(UMPC 등)를 통해 전달되는 각 전시물의 실물영상 위에 그래픽 혹은 텍스트 형태의 전시물 관련 설명이나 영상을 겹치는(오버레이) 방식으로 제공하여,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영상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현장에서 체험요소가 강조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전시물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대전 국립중앙과학관내의 ‘국방과학기술전시관’에 시연되고 있는 기술은 우리 문화 유산인 ▲거북선 모형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무기인 ▲신기전기차 및 총통기 화차 ▲천자총통 및 비격진천뢰를 3개 서비스 지역에 적용하여 첨단 IT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 기술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관람객 대상의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관람자가 “천자총통” 부스에 도달하면 초음파 기반의 위치인식 기술로 휴대형 단말기가 인식하여 천자총통에 대한 상세 설명과 함께 내부 투시 모습도 들여다 볼 수 있다.

      또한 가상세계에서 직접 발사하여 화력이 어느 정도인지 현장에서 바로 체험할 수 있으며, 3D 화면을 통해 360도 회전하여 실물처럼 볼 수도 있다.

      향후 실외 환경에 적용하여 공룡 전시전과 같은 u-체험투어와 서바이벌 게임 등의 u-레포츠, 테마파크와 같이 수익성이 높은 아이템을 발굴하여 관련 체험형 콘텐츠 서비스를 발굴 및 서비스할 예정이다.

      경제적 측면에서 혼합현실 기반의 u-체험형 콘텐츠 기술은 아직 전 세계적으로 걸음마 단계이며,

      u-체험투어, u-레포츠 등 혼합현실 관련 콘텐츠 서비스의 인프라가 되는 USN 세계시장은 연평균 25.5% 성장하여 2010년에는 54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연구단 손욱호 가상현실연구팀장은 “모바일 인터넷 인프라 및 모바일 콘텐츠에 관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정책적 차원에서 관련 연구를 추진할 경우 세계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높다” 라고 말했다.

      ETRI 최문기 원장도 “만성적 관광적자에 허덕이는 문화관광 산업에 돌파구를 열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TRI는 현재 국내특허 4건을 출원한 상태이며, 국립중앙과학관 이외의 타 전시관을 비롯한 여러 기관들과 활발한 협의를 하는 등, 올해에 수 곳에 추가 설치를 통한 관련 기술의 확대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


[배포번호 : 2008 - 00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