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국제표준 에디터 3명 추가

ETRI, 국제표준 에디터 3명 추가
- 이준섭, 박주영, 김은숙 연구원 배출
- 올 23명 국제표준전문가 추가, 100여명 활동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26일, IT기술의 상용화에 있어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국제표준을 선도할 전문가(에디터) 3명이 추가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선정된 에디터로는 ETRI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의 이준섭 선임연구원과 통합망표준연구팀의 박주영, 김은숙 박사다.

이들 3명의 에디터들은 향후 국제표준의 각 영역에서 표준화 문서를 작성, 담당케 되어 IT부문 중요기술들의 표준반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ETRI측은 설명했다.

ETRI는 지난 15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SG17(Study Group17) 회의에서 ▲RFID를 포함하는 “ID 기반 응용서비스를 위한 객체식별자 할당”에 관한 표준 권고안 개발(이준섭) ▲인터넷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에 멀티캐스트 전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인 “모바일 멀티캐스트 프로토콜(X.mrmcp-2)” 표준 권고안 개발(박주영) ▲스팸 방지 기술의 세부 구조 및 기본 방식을 기술하기 위한 표준 초안인 “IP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한 스팸 대응 프레임워크”(김은숙)이다.

따라서 이준섭 연구원은 ITU-T SG13에서 “ID(주민번호 등) 기반 응용서비스 요구사항” 권고 표준을 개발 중에 있는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의 김형준 팀장 및 김용운 선임연구원과 함께 ID 기반 응용서비스 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ETRI는 밝혔다.

또한, 새롭게 승인된 “ID 기반 응용서비스를 위한 객체식별자 등록 절차” 표준 권고안은 ID 기반 응용서비스의 필수적인 사항으로, 향후 예상되는 다양한 코드체계를 ID 기반 응용서비스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ID 기반 응용서비스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표준 권고안은 ISO/IEC JTC1 SC6와 공동으로 진행되는 사항으로 이 표준 권고안이 ITU-T에서 승인되면 ISO의 국제 표준으로 동시에 승인될 예정이다.

한편, 박주영 박사가 제안한 X.mrmcp-2 기술은 우리나라가 주도하고 있는 ITU-T내 멀티캐스트 표준화 작업그룹인 Q.1(라포터: 강신각 박사)에서 향후 무선 인터넷 스트리밍, 모바일 IPTV 서비스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전송프로토콜로 개발되어 ISO/IEC JTC1/SC6와의 공동 국제표준으로 채택될 예정이다.


또한, 김은숙 박사는 인터넷 전화, 인터넷 메신저, 인터넷 화상 회의 등의 다양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에 대하여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는 스팸의 공격에 대응하여 스팸을 검출하고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 프레임워크 개발 작업을 선도할 계획이다.

이로써, 인터넷 전화나 인터넷 메신저 등에 대한 스팸을 차단하고 안정적이고 비용효율적인 인터넷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을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고 ETRI측은 설명했다.

ITU-T SG11의 부의장이며 ETRI 표준연구센터를 총괄하고 있는 이형 호 센터장은 “최근 ITU-T에서 크게 이슈화되고 있는 ID 기반 기술표준화를 한국의 주도로 작업하게 된데 큰 의의가 있으며, 각 부문별 표준안 작업이 구체화되어짐에 따라 향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다양한 응용 표준화에 대한 수요는 더욱 강화될 것이다”고 말했다.

ETRI는 올해 새로이 국제표준전문가로 선임된 사람으로 지난 2월, NGN관련 표준 5개분야 진출에 따른 에디터 8명 확보를 비롯, 총 23명이 추가되어 ETRI에는 현재 100여명(누적기준)의 국제표준전문가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추가 설명자료:::

객체식별자 할당을 담당하고 있는 SG17 Q.10회의에서 이번에 ETRI가 제안한 것은 RFID 태그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작은 크기의 객체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의 일반적인 객체식별자는 그 크기가 커서 RFID 태그와 같이 메모리 크기가 작은 경우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객체식별자 할당 체계보다 짧은 객체식별자를 할당하는 방안을 표준 권고안으로 개발하는 것으로서, 관련 권고안 작업이 금번 회의에서 승인됨에 따라, 관련 국제 표준 개발을 우리나라가 주도하게 되었다고 ETRI는 설명했다.

새롭게 승인된 “ID 기반 응용서비스를 위한 객체식별자 등록 절차” 표준 권고안은 ID 기반 응용서비스의 필수적인 사항으로, 향후 예상되는 다양한 코드체계를 ID 기반 응용서비스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ID 기반 응용서비스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ITU-T SG17 Q.1에서는 “모바일 멀티캐스트 프로토콜(X.mrmcp-2)” 표준 초안이 승인되었다. “X.mrmcp-2” 표준 초안은 현재의 인터넷환경에서 망 장비의 교체 없이, 단지 셋톱박스 혹은 SW를 이용하여 모바일 멀티캐스트 전송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이다.

Q.1(라포터: 강신각 박사)은 ITU-T내 멀티캐스트 표준화 작업을 선도하는 그룹으로써, X.mrmcp-2의 에디터로는 이미 ITU-T와 JTC1에서 다수의 국제표준 에디터로써 활발히 활동 중에 있는 박주영 박사가 선임되었다.

한편 동일 회의의 Q.17에서는 스팸 대응 기술 표준화 작업을 영역으로 하는 표준 초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Q.17은 ITU-T내 스팸대응 표준화 작업을 선도하는 그룹으로써, 이미 통합망표준연구팀 강신각 박사가 “이메일 스팸 대응 가이드라인” 표준과 IP 멀티미디어 응용 스팸대응 개요“ 표준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에 추가로 김은숙 박사가 “IP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한 스팸 대응 프레임워크”의 에디터로 선임되었다.

[배포번호 : 2006-11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