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고성능 실시간 네트워크 공격상황 분석 기술 개발

ETRI, 고성능 실시간
네트워크 공격상황 분석 기술 개발

  - 수 분만에 모든 통신망을 교란시키는 치명적인 사이버테러 범죄를 실시간으로 포착해 적시 대응 - 

  시간당 수백만 건 이상 보고되는 네트워크 공격신호를 실시간으로 신속히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테러 범죄에 수분 내에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기술이 개발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능동보안기술연구팀(팀장 나중찬)은 2006년을 목표로 수행중인 고성능 정보보호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네트워크 보안 담당에게 사이버 테러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제시하는 네트워크 공격상황 분석기술을 개발하였다.
‘나사’(NASA, Network Attack Situation Analyzer)로 명명된 본 기술은 신종 사이버테러의 특징인 ‘특정 응용서비스 공격’까지 분석대상에 포함시켜 기존의 침해 탐지기술의 맹점을 보완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가동 상태에서 사이버 공격의 조기 인지를 위해 최근 1분 이내에 발생한 공격신호와 15분 이내에 발생한 공격신호에 대해 동시에 실시간으로 공격 상황 분석 결과를 제시해 냄으로써 수 분만에 네트워크를 교란시키고 사라지는 ‘분치기 해킹’을 잡아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보다 교묘해지고 신속해진 인터넷 침해에 대응할 필요성 높아

1.25 인터넷 침해사고의 경우 1.44인치 디스켓 한 장 분량의 수십 분의 일 분량인 수만 바이트의 공격 데이터가 전국의 네트워크를 혼란시키는 데 걸린 시간이 불과 몇 분에 불과하여 이상 징후를 분석해 낼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또한 인터넷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 주소로 바꿔주는 기능(DNS, Domain Naming Server)만을 골라 마비시켰기 때문에 감시 시스템에포착되지 못했다.

● 네트워크에 대한 실시간 종합진단으로 사이버테러에 즉각적인 대응

ETRI의 네트워크 공격상황 분석기술인 ‘NASA’는 네트워크 보안 관제를 통해 수집되는 무수한 침입탐지 경보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상황과 네트워크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공격 유형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로써 네트워크의 규모나 서비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시간당 수백만 건 이상 발생하게 된 침입탐지 경보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이버테러에 대한 인지율도 크게 높이게 되었다.

<비교표> 기존 네트워크 공격상황 분석기술과 ETRI NASA

특징

기존 방식

ETRI NASA

분석요소

공격명
공격자 IP주소
목적지 IP주소

공격명
공격자 IP주소
목적지 IP주소
서비스 유형

침입 탐지경보 분석

사후적으로 사람이 분석

실시간으로 컴퓨터가 종합분석

분석 속도

느림.  

 빠름.

네트워크 확장시

대형시스템으로 교체해야 함.

확대된 만큼만 시스템을 추가하면 됨.

특히 최근 들어 수 분 내에 전 세계 네트워크를 강타할 수 있는 최근의 사이버 공격을 포착하도록 네트워크의 보안 상황을 1분 주기의 변동 상황과 최근 15분의 변동 상황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므로 수 분 이내에 전파되는 파괴적인 사이버 공격에 대해서도 신속한 인지와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 실시간 처리를 위한 ‘해쉬 기반 알고리즘’으로 분석 속도를 크게 높이고 ‘확장성 있는 분산 구조’로 설계되어 네트워크 확장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 기업망 및 국가망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

ETRI는 또한 이 기술에 대한 시범 사이트를 운영하여 보안 관제 서비스에 직접 적용할 예정이다.
본 기술은 포털, 쇼핑몰, 인터넷 뱅킹 등 많은 비즈니스 사이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등에 이전되어 네트워크 보안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파악하는 분석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나중찬 ETRI 능동보안기술연구팀장은, “1·25 인터넷 침해사고는 실시간 모니터링으로만 막을 수 있었다”며, “본 기술을 적용하면 국가 및 기업의 통신망에 가해진 공격에 대한 다양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사이버테러 대응 전략의 수립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