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바이오정보 인식 및 위변조 방지 기술 개발

ETRI, 바이오정보 인식 및 위변조 방지기술 개발

- 도어락, 근태관리 등 소규모 사용자에서 전자상거래, 금융 등 대규모 사용자로 서비스 범위 확대
- 향후 동영상 및 3차원 위변조 얼굴 방지 기술 개발 예정



      얼굴, 지문과 같이 사용자의 바이오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고, 개인의 바이오정보에 대해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인식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22일, 얼굴을 이용한 출입통제장치, ATM 장치나 공문서 발급장치 등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얼굴영상의 진위 여부를 검출하여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을 이용한 위변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정보보호형 바이오인식 시스템과 고성능 얼굴 및 홍체 인식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인식 기술은 얼굴, 지문과 같은 불변의 바이오정보를 이용하여 확실한 신원확인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바이오정보가 유출되거나 오/남용시 기존 인증수단(패스워드, 공인인증서 등)과 달리 삭제/재발급이 어려웠다.

      이에 디지털화 된 개인의 바이오정보에 대해 생성부터 소멸까지 관리할 수 있는 바이오인식 매커니즘과 바이오정보 오/남용, 바이오정보 유출 방지 등을 위한 바이오정보보호 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ETRI가 이번에 개발한 정보보호형 바이오인식 시스템은 3차원의 얼굴영상과 눈동자나 행동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판별할 수 있어, 사진이나 영상 이미지로 개인의 바이오정보 위변조 시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기술은 휴대폰이나, PDA, 모바일 단말기기인 PMP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임베디드 기반 시스템을 활용하여, 출입국관리시스템이나 공문서 발급장치 등 기존 PC 기반 제품에 비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바이오인식기술은 미국에서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비자/여권 도입을 추진하는 등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 보편적인 인증 기술로 발전되고 있으며, 기존의 출입통제 등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응용 영역에서 금융, 전자상거래 등에 적용되는 등 국가적 차원의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선진 IT강국에서도 바이오 정보보호 기술은 초기 연구단계로 상용화 제품이 없으며 논문 연구 수준에 그치고 있다.

      위와 같은 국제적 추세 속에서 국내에서도 지문을 중심으로 도어락 또는 근태관리 등 소규모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에 국한되어 왔다.

      그 동안 행정자치부는 국내외 바이오인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존 주민증을 대체할 바이오정보가 삽입된 전자주민증 사업을 검토 중이며, 법무부는 다중바이오인식을 이용한 실시간 출입국관리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ETRI 문기영 바이오인식기술연구팀장은 “올해는 사업 1차년도로 얼굴인식의 경우 정지영상 위변조방지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향후에는 동영상 및 3차원 위변조 얼굴까지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 이라며, “지문 및 홍체 위변조 방지 및 바이오 인식 정보를 인증서처럼 폐기, 재생성할 수 있는 기술 등을 차례로 개발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ETRI 최문기 원장은 “기존의 바이오인식 제품들에는 프라이버시 보호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막연한 불안감으로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였으나, 본 기술의 성공적인 개발로 바이오인식 시스템에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 바이오인식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본 기술은 지난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의 스마트카드 및 ID관련 전시회인 『까르떼 2007(Cartes 2007)』에 전시하여 호평을 받았다.

      한편, 본 기술은 고인식율의 경량 알고리즘을 탑재한 제품을 개발 완료하여 현재 퍼스텍(주)에 기술 이전하여 상용화 중에 있으며, 정보통신부의 IT839 연구사업 중 ‘프라이버시 보호형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개발’ 과제 결과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배포번호 : 2007 - 10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