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경영일반보도자료

ETRI, 국제표준 전문가 4명 선정

ETRI, 국제표준 전문가 4명 선정
- ITU-T 기고서 10건 제출, 에디터 추가 쾌거
- 세계시장 선점통한 국익신장 앞장



ETRI는 우리의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이끌기에 오늘도 여념이 없다. 숨막히는 IT 국제표준화 전쟁속에서 연일 상종가를 치며 각 분야의 전문가를 탄생시키는가 하면, 지난 14일에는 표준의 날을 맞아 ‘국제표준화대상’도 수상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원장 임주환)는 지난 1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폐막된 ITU-T 회의에서 정보보호분야에 총 10건의 표준기고서를 제출, 모두 채택시키고 에디터 4명을 배출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ETRI 정보보호연구단(단장 손승원)은 이번 ITU-T 회의에서 그동안 축적된 정보보안 관련기술을 바탕으로 홈네트워크 보안을 비롯, 생체인식, 웹 보안 등 향후 표준화 주제관련, 기고서를 제출, 모두 채택됨에따라 앞으로 IT 보안분야 국제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개최된 회의에서 새로 임명된 에디터로는 “P2P 보안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부문에 나재훈 박사, “홈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표준 개발”부문에 이형규 선임,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제어 프레임워크 표준” 개발부문에 김종현 박사, “텔레바이오메트릭(Telebiometric) 시스템에서의 다중 생체인식을 위한 생체 데이터 보호 방안에 대한 표준” 개발부문은 길연희 연구원이다.

이 외에도 ITU-T 주최 워크샵도 개최되었는데 전 세계 최고의 관련전문가들이 모인 자리에서 ETRI 정보보호기반그룹장 정교일 박사와 홈네트워크 보안연구팀 이형규 선임연구원이 “RFID/USN 네트워크에서의 보안문제”와 ”홈네트워크에서의 보안문제”에 대해 각각 주제 발표를 수행, 큰 호평을 받았다.

ETRI에서 에디터를 담당하게 된 정보보호분야 표준화 기술 규격은, 최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및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는 보안기술규격으로 향후 국제 무대에서 에디터로의 활발한 활동이 기대된다.

또한 표준화 주제를 다룬 다수의 기고서가 채택되어 차기 ITU-T 회의에서 또 다른 에디터의 선정도 예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모바일 RFID 보안 서비스는 이번 회의에 채택된 기고서를 중심으로 새로운 표준화 작업이 추진될 예정으로 RFID 보안 서비스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국제 표준화 선점의 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기고서 채택 및 국제표준가 추가선정 관련 ETRI 정보보호기반그룹장인 정교일 박사는 “앞으로 정보보호 관련, ETRI 국제표준전문가의 눈부신 활약이 기대된다. 향후 다수의 기고서 채택은 물론 국제표준전문가의 추가 배출로 세계시장의 선점을 통해, 한국의 국익신장에 일조하겠다” 고 말했다.

이로써 ETRI내 국제표준전문가는 누적기준 42명이 되었으며, 보다 다양하고 폭 넓은 활동무대를 대상으로 IT시장 개척의 첨병이 되고 있다.

ITU-T는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조합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세계적인 조직체로서 전에는 CCITT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ITU-T의 13개 작업반 가운데 제 17작업반(SG 17)은 현재 정보통신 언어, 보안 및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표준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P2P 보안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은 응용계층의 새로운 통신 서비스인 P2P에 대한 보안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P2P 보안서비스를 위한 구조, P2P 네트워크 보안 취약성, P2P 네트워크 보안 요구사항, P2P 라우팅 보안 프로토콜, P2P 네트워크 응용 및 네트워크 사업자를 위한 보안 가이드라인의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에 대한 표준 개발은 IT 839 의 중요 서비스 중 하나인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체정보, 패스워드, 인증서 등의 기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들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용 통합 사용자 인증 표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제어 프레임워크 표준 개발은 정보통신 인프라에서 시스템 관리 측면에 유리한 정책기반 네트워크 관리 기술에 기반을 둔 정보보호 제어 프레임워크에 관한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하며, 보안제어 프레임워크에서 고려해야 할 보안 요구사항 및 보안 정책모델, 안전한 정보통신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정책 제어 프레임워크를 확립하려고 한다.

다중 생체인식 데이터 보안에 대한 표준안은 현재 ISO에서 진행중인 BioAPI 및 CBEFF에서 다루고 있는 다중 생체 데이터의 보호를 목표로 하며, Telebiometrics에서 취약한 8부분 중 전송 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biometric data encryption, watermarking, steganography등을 기반으로 선택적 생체 데이터 전송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용어정리>

● ITU-T(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산하 전기통신표준화부문으로서,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조합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제일의 세계적인 조직체이다. 전에는 CCITT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비쿼터스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語)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 P2P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나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고 검색함으로써 모든 참여자가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형태이다. 크게 2가지 방식이 있으며 하나는 어느 정도 서버의 도움을 얻어서 개인간 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미리 주소(IP adress) 등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여 서버 없이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 홈네트워크
홈네트워크란 가정 내 PC를 비롯한 모든 디지털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전달하고 연동하는 것으로 현재는 인터넷기반의 정보화가 생활 속에 자리잡은 현실로 인하여, 단순한 가정 내 네트워크의 연결이 아니라 가정중심의 정보기술요소를 구현하여 미래의 가정정보화를 견인하는 토탈 홈정보제어시스템과 제반 솔루션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제어
보안제어 정책은 정보통신 인프라 상에서 자원에 접근하고자 하는 요구에 대하여 어떤 것을 허가해 주고 어떤 것을 거부할 것인지를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제어는, 지금까지는 네트워크 운용관리와 별도로 취급되어 왔던 네트워크보안관리 영역을 PBNM(Policy Based Network Management, 정책기반네트워크관리) 프레임워크 안에 통합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운용 및 보안 관리를 공통된 정책에 따라 일관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 모바일 RFID 서비스
모바일RFID서비스란 휴대폰 등에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칩 형태)를 넣고 이를 통해 사물의 RFID태그 코드 정보를 받아들인 뒤, 별도 서버에서 관련 정보를 무선인터넷으로 받아보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 biometric data encryption
생체인식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암호화 하는 기법이다.

● watermarking
워터마킹이란 데이터 보호 및 무결성 확보를 위해 특정 데이터를 호스트 데이터에 삽입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생체 데이터를 타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생체 데이터를 숨길 수 있다.

● steganography
통신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으로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다는 사실을 자체를 숨긴다.

[용어정리]
CBEFF : Common Biometric Exchange Formats Framework
CCITT : 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y의 약자로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협동조합 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세계기구, ITU-T의 전신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