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신기능 ‘RFID' 센서태그 기술개발

ETRI, 신기능 ‘RFID' 센서태그 기술개발

- 반 능동형 및 온도 센싱 기능 제공가능
- 혈액관리, 식음료 관리에 최적기술 평가


RFID(무선인식)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수동형 RFID 태그에 전원을 추가하여 인식거리를 향상시키고, 주변 온도와 같은 환경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센서태그가 개발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1일, 수동형 RFID국제표준을 만족하면서 태그에 전지도 붙였으며, 수동형 태그의 최대 문제점인 인식거리를 2배 이상 개선했고 온도센싱도 가능한 ‘반 능동형 RFID 센서태그 보드 및 리더’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향후에 온도정보가 필요한 ‘혈액, 식.의약품, 자동차, 교통 및 환경관리’ 등에 획기적인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혈액 팩에 붙인 RFID 태그에 혈액의 이력과 그간의 온도변화 등 관리상태가 기록, 저장됨으로써 실제 혈액 공급 시에 관리정보를 알 수 있어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케 되기 때문이다.

ETRI가 개발한 ‘반 능동형 센서 태그’는 이처럼 환경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온도 뿐만 아니라 향후 습도, 진동, 압력 등에 대해서도 정보를 저장해 알려줄 수 있다.

ETRI 텔레매틱스.USN연구단 RFID시스템연구팀 최길영 팀장은 “현재 보드형태로 만들어진 본 기술은 향후 저가의 소형 칩으로 개발할 예정이어서 틈새시장의 공략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ETRI는 현재, 관련제품의 국제표준화 작업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상용화 시점은 2008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번에 개발된 '900MHz대역 반 능동형 센서태그 보드 및 리더기술‘은 정보통신부 선도기반기술개발 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빅텍, 대덕 GDS, 아시아나 IDT, 세연테크놀로지, 한맥 ENG와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ETRI는 오는 7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RFID/USN KOREA 2006‘ 국제전시회 및 컨퍼런스 행사에 센서 태그 시스템을 출품, 개발된 기술을 시연한다고 밝혔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ETRI 텔레매틱스·USN연구단(단장 채종석)은 ISO/IEC 18000-6 AM2, 15961, 15962 및 24753 표준을 지원하는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리더, 부착 물체의 영향을 감소할 수 있는 플랫폼 인센서티브 안테나 적용을 통해 인식 거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켰고 온도 센싱 기능 추가로 온도 정보를 요구하는 식·의약품 관리, 혈액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센서 태그 시스템 기술 개발 (여준호)

ETRI는 빅텍, 대덕 GDS, 아시아나 IDT, 세연 테크놀로지, 한맥 ENG와 공동 연구를 통하여 900MHz 대역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 및 리더를 개발하였다.

반 능동형 센서 태그 기술은 기존 수동형 RFID 태그에 자체 전원 공급을 위한 박형 전지를 부가하여, 수동형 태그의 최대 문제점인 인식률을 개선하고 부착물체의 영향을 보완하여 인식거리를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반 능동형 태그는 센싱 기능을 추가하여, 식·의약품 관리, 혈액 관리, 자동차 및 교통 분야, 환경 관리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가형 반 능동형 센서 태그는 수동형 태그가 성능 면에서 차지할 수 없고 능동형 태그가 가격 면에서 담당할 수 없는 응용 분야에서 최소의 가격으로 최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 능동형 센서 태그 관련 국제 표준화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산하의 JTC1/SC31/WG에서 전지 지원 및 센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의 일반적인 기능 정의, 각 주파수 대역별 Air Interface별 개정 (ISO/IEC 18000-6 AM2), 센서 메타데이터 구조, 센서 데이터 처리 및 센서 드라이버 (ISO/IEC 15961, 15962, 24753) 등과 관련된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ETRI에서는 UHF 대역 Air Interface에서의의 전지 및 센서 기능 지원을 포함하는 ISO/IEC 18000-6 AM2와 센서 데이터 메타구조 및 센서 드라이버에 대한 ISO/IEC 24753에 표준 기고서를 제출하여 표준화 작업에 반영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와 리더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는 금속과 액체와 같은 다양한 부착물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균일한 인식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 인센서티브 안테나 (Platform Insensitive Antenna)를 내장하고 있다.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리더는 기존의 수동형 EPC Class1 Gen2 리더를 기반으로 수동형 태그 뿐만 아니라 반 능동형 센서 태그를 구분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수동형 태그 칩 설계 기술과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 기술을 바탕으로 반 능동형 센서 태그용 칩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참고자료::::
- 센서 태그 시스템 기술 개발
(플랫폼 인센서티브 안테나가 내장된 반 능동형 센서 태그 보드)

(반 능동형 센서 태그용 리더)

(센서 태그부착된 혈액팩)

(혈액관리용 센서 태그 시스템)

[배포번호 : 2006 - 8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