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차세대 비디오 코덱 성공리에 시연


<차세대 국제표준 HEVC 비디오 코덱 세계 첫 개발>

ETRI,
차세대 비디오 코덱성공리에 시연

-
초고해상도 비디오 압축 국제표준 지원 하드웨어 코덱개발
- 기존 비디오 코덱 대비 압축률 2배이상 효율, 내년말 상용화
- 칩 설계 기술 완성, 차세대 비디오 코덱 IP시장 주도 기대

방송이나 영상이 초고화질로 바뀌면서 그동안 많이 사용해 오던 비디오 코덱인 H.264가 한계에 달해 문제가 되어 왔다. 하지만, 이젠 국제표준에 부합하고 초고해상도를 만족시키는 차세대 비디오 코덱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시연에 성공함으로써 새 시장을 활짝 열게 되었다.

‘비디오 코덱’이란 많은 데이터량을 줄이는 기술로 압축 후 복원하면 영상을 볼 수 있는 기술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지난달 1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표준화 회의에 참가, 국제표준인 HEVC 를 만족하는 차세대 비디오 코덱을 처음으로 공개, 성공적으로 시연을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ETRI가 공개한 코덱은 초고해상도 비디오 압축 복원 기술로 하드웨어 기반인 게 특징이다. 따라서 SW로 구현시 속도도 느릴 뿐더러 실시간 구현이 어려운데 이를 해결했다. 이에따라 시스템적인 솔루션 구현이 가능케 되었다. 연구원은 향후 팹리스(Fabless)업체들에 기술이전을 통해 내년 말쯤 상용화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상용화를 위한 칩의 설계 데이터는 완성된 상태다.

이번에 성공적인 시연을 마친 ETRI의 HEVC 코덱은 기존 H.264 비디오 코덱에 비해 두 배의 압축율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 H.264 비디오 코덱이  1GB급 영화 한편을 100배 압축해 10MB로 줄였다면, 이번에 국제표준이 된 HEVC 코덱은 200배 압축하여 5MB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블랙박스 등을 제조하는 회사의 경우 그동안 압축률을 높여 저장시간을 늘리는 것이 최대 난제였는데 이번 ETRI의 성과로 문제점이 해결될 전망이다. ETRI는 이 하드웨어 비디오 코덱을 반도체설계자산(IP)으로 국내 산업체에 공급할 계획이며, 고해상도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스마트TV, 고선명 감시카메라, 셋톱박스, 차량용 블랙박스, 의료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어 IT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기술은 지식경제부 “초고해상도 비디오 코덱 SoC"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되어졌으며 SCI급 논문은 물론 국내·외 특허 27건의 실적도 냈다.
이번에 개발한 ETRI의 코덱은 압축한 데이터를 풀어서 원래의 영상을 보여주는 ‘디코더’ 이다. 또 내년에 ‘인코더’도 개발할 계획이다.

ETRI는 디코더 개발을 위해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 복원기술과 디지털 HW를 만들기 위한 구현기술 등이 쓰였다고 밝혔다.   

ETRI는 스위스 제네바 표준화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 및 애플, TI, 퀄컴 등 IT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비디오 코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사실상 세계 최초로 공개 시연을 가졌다. 전문가들로부터 ▲하드웨어 비디오 코덱이 지원할 수 있는 사양 ▲시연된 영상의 품질 ▲시연을 위해 구성된 플랫폼 ▲하드웨어 내부의 상세 구성 ▲IP 제공 방법 등 다양한 질의 및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박장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본부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초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함께 고효율의 비디오 코덱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국제표준화회의에서 공개시연함으로서 관련 세계 시장이 조기 성숙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HEVC 코덱 기반 시장은 현재 태동기이며 향후 2016년까지 현 시장의 두 배이상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하면서 세계 시장은 최대 연간 2천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배포번호 : 2013-12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