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스마트 하이웨이 실현 위한 ‘차량간 통신 기술’ 개발


‘IT+
자동차융합기술 결실

ETRI, 스마트 하이웨이 실현 위한

차량간 통신 기술개발

- ‘멀티홉 방식 차량간 통신 기술’(VMC) 개발·시연 성공
- “이동 차량간 무선통신 통해 교통 정체·교통 사고 정보 미리 안다
-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첨단 교통 시스템 활용 통해 교통 선진국 이룩한다
- 시장 요구사항·국제 표준 반영 통해 조기 상용화 기대


  

우리나라가 도로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각종 교통 정보, 위험 경보 신호 등을 실시간 무선 전달하여 각종 교통사고를 줄이고, 차량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목적지에 보다 빨리 도달하게 하는 스마트 하이웨이(Smart Highway)’ 실현을 목전에 두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의 핵심기술인 멀티홉 방식의 차량간 통신 기술’(이하 VMC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지식경제부의 IT융합 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지난 4년간 총 136억원을 지원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관련 핵심 특허 확보와 상용 수준의 통신칩 개발도 완료됐다.

이번에 개발한 VMC 기술은 차량간 실시간 무선통신을 통해 앞 차의 사고 등 돌발 상황을 뒤따라오는 차에 직접 전달하여 연쇄 추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내비게이션과 연동 시 교통 정체 없는 빠른 길 안내, 차량 고장 원격 점검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 텔레매틱스 기술이다.

이동통신, 무선랜, 하이패스 등의 현재 차량에서 이용가능한 무선통신 기술은 모두 도로변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데 비해, VMC 기술은 차량간 직접 통신이 가능해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응답시간이 100msec 이내로 짧기 때문에 차량 안전과 첨단 교통시스템 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또 무선랜 방식에 비해 최대 200km/h의 고속 이동 중에도 교신이 가능하며, 국내 하이패스에 사용하고 있는 DSRC 기술에 비해 10배의 전송능력과 통신가능거리도 1km까지 확장되어 차세대 하이패스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ETRI는 이번에 개발한 VMC 기술을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과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등 공공 교통시스템에 우선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량 내 대표적 무선통신 단말기인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PC 제조업체와 연계하여 해당 제품에 VMC 기술을 탑재시킬 예정이다. 이럴 경우 차량 운전자는 고속 이동 중에도 차 안에서 전방도로의 CCTV 영상정보, 인터넷 등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ETRI는 이번 기술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실내·외 시험 및 시연을 이미 마쳐 조기 상용화를 자신하고 있다. 2009년에는 국토해양부 시행 스마트 하이웨이 서비스의 통신기술 적합성 시험에 통과하여 기존 무선랜 방식에 비해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한 결과 스마트 하이웨이 통신 방식으로 공식 채택됐다. 또 지난해 10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17회 부산 ITS 세계대회에서는 세계 각국의 ITS 전문가 및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부산-울산 고속도로 상에서 성공적으로 공개 시연함으로써 기술 우수성을 입증했다.

개발 기술에는 상용 수준에 가까운 통신칩도 포함되어 있어 의미가 크다. ‘E-WAVE 통신칩'으로 불리는 이 칩은 개발 초기부터 자동차 생산업체, ITS 수요기관 등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WAVE 국제 표준 규격을 수용함으로써 산업 활용성을 높였다. 0.18 마이크로미터(μm) CMOS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칩을 13mmx13mm 크기로 초소형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성공했다.

오현서 ETRI 자동차네트워킹연구팀장은 이번 VMC 기술 개발은 우리나라가 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 및 첨단 교통시스템 실현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면서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교통 정체와 교통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 교통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ETRIVMC 기술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과 차량과 다양한 통신 인프라와의 네트워킹 기술 차량 통신 인증 및 보안 기술 정확한 위치 인식을 위한 위치 보정 기술 WAVE/UTIS 통신 통합 기술 무선 통합 안테나 기술 등의 후속기술 개발을 통해 조기 상용화를 실현시킨다는 계획이다. 다만 조기 상용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국과 유럽에서 WAVE 주파수로 할당 중인 5.85~5.925GHz 대역을 국내에서는 방송중계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주파수 재배치를 통한 WAVE 주파수 할당 등 방송통신위원회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


.[배포번호 : 2011-2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