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모바일 웹 표준화”협력 시동

ETRI,“모바일 웹 표준화”협력 시동
- W3C, WIPI와 공동 협력 시너지효과 기대
- 웹과 무선인터넷 만나 세계시장 주도 노려


전 세계적인 웹(Web)표준화에 국산 토종 무선인터넷 표준이 적용될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www.etri.re.kr, 원장 임주환)는 4일, W3C가 최근 공개한 “모바일 웹 표준화” 활동의 범위에 관한 문서에서 공식적으로 WIPI와 표준협력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성과는 W3C를 통하여 WIPI가 단순히 국내 표준만이 아닌 국제표준으로 도약할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측면에서 높게 평가된다.

ETRI는 웹 관련 국제표준화 기구인 W3C에 한국의 단말보급률 및 무선인터넷 사용률 등 모바일 환경에 대한 우수성을 알리면서 WIPI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 및 인식 개선을 통해 표준화 관련, 상호 협력을 이끌어 내는데 성공했다.

이에대해 W3C는 한국이 모바일 분야 세계 선두그룹임을 인지하고 한국의 경험을 수용, 표준화에 적극 반영코자 이번 제안을 수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WIPI는 ‘한국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 향후 상호협력이 원활하게 이뤄진다면 한국의 상황이 반영된 모바일 웹 표준이 나올것으로 ETRI는 기대했다.

ETRI는 또한 WIPI가 W3C와 상호협력으로 기대되는 이익으로 향후 상호 인증을 들었는데 이렇게 된다면 WIPI가 세계시장 진출이 가능케 될것이며 W3C가 계획하고 있는 ‘모바일 OK’와 같은 표준 인증마크 제도 도입시 한국의 상황이 잘 반영되어 국제시장 선점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을것 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개발도상국과 같이 유선 인터넷보다 무선 인터넷이 우선적으로 보급이 예상되는 시장에서는 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할수 있을 것으로 ETRI는 예측했다.

W3C는 올 6월부터 텔레매틱스, 홈 네트워크 등 웹을 사용하는 각종 모바일 단말을 위한 모바일 웹 표준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는 세계 각국의 개별 이동통신사나 단말제조사별 표준이 제 각각이어서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향후 다양한 모바일 환경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브라우징을 위해서도 표준화 작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ETRI 기반기술연구소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장인 이승윤 박사는 “ W3C의 모바일 웹 표준화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W3C에서 앞으로 모바일/유비쿼터스 웹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한국 모바일 환경을 전 세계에 알리고 우수성을 입증받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W3C의 모바일 웹 표준화 활동에는 NTT 도코모, 노키아, 보다폰, 에릭슨, 프랑스텔레콤 등의 주요 모바일 기업들뿐 아니라 구글, AOL 등의 컨텐츠업체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ETRI 표준연구센터에서는 지난 5월부터 W3C의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MWI) 활동과 위피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들을 진행하였고, 위피를 공식적으로 포함시키는 성과를 얻었다.

이러한 성과는 W3C를 통하여 GSM, OMA 등의 모바일 분야의 국제 표준화 단체와 동등한 위치로 인정받는 결과이다.

W3C의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 표준화 노력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발달 속에서 방대한 양의 웹 정보과 웹 응용들을 모바일 환경에서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초기의 WAP 1.x 기반의 모바일 웹은 무선통신망의 속도와 언어, 화면크기 등의 제약으로 제한된 브라우징만 가능한 환경이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단말의 성능과 무선통신망의 속도가 향상되면서 이러한 제약들이 해소되어, 고성능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일반 PC 환경과 차이가 없는 모바일 브라우징이 가능한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의 급성장 속에서 W3C의 모바일 웹 표준화는 모바일 분야에서의 핵심 웹 기술 및 표준에 대해서도 앞으로는 W3C가 주도하여 OMA, 3GPP 등과 공식적인 표준화를 진행하겠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이 표준화 활동에는 NTT Docomo, Nokia, Vodafone, Erricson, France Telecom, T-Mobile, Opera 등의 주요 기업들이 대부분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W3C의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 활동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첫 번째는 표준 가이드라인을 지키는 사이트 및 도구 등에 부여할 “mobileOK" 인증마크의 개발이고, 두 번째는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의 표준 가이드라인을 만족시키는 컨텐츠 및 웹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범 사례(Best Practices)”를 작성하는 것이며, 그리고 세 번째로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특성과 정보를 공유 ․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특성 정보 활용 기술에 대한 표준화이다.

W3C는 2005년 말까지 “모바일 웹 베스트 프랙티스”에 관한 문서 초안를 확정하고, 2006년 상반기 중에 공식 표준으로 채택할 계획으로 있으며, 내년 중에 관련 테스트 기준과 검사 도구 등을 표준화 할 예정이다.

특히 ETRI 표준연구센터에서는 WIPI에서의 웹과 XML, 웹서비스 등의 관련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이를 W3C의 모바일 웹 표준화 활동에 공식적으로 반영시키도록 추진할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