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지상파 DMB 기반 TTI(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검증 플랫폼 개발

ETRI, 지상파 DMB 기반TTI(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검증 플랫폼 개발

- 지상파 DMB방송망 통해 현재 위치와 연계한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TTI 서비스 및 단말 기술의 개발기간 단축 -

자동차, 기차 등에서 TV방송을 보기 위해 개발된 이동형 디지털 방송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교통, 날씨, 뉴스 등의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TTI(교통 및 여행정보,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서비스 기술이 정부출연연과 방송사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디지털방송연구단(단장 안치득)은 YTN, (주)시터스 등과 공동으로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의 핵심 응용서비스로 부상하고 있는 교통 및 여행 정보(TTI :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서비스의 기능 확인 및 관련 수신기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지상파 DMB 기반 TTI 서비스 검증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DMB 방송은 차량, 기차, 선박 등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으로 알려져 있는데 TTI 서비스 기술이 적용되면 차량 등에 장착된 항법장치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정보 시스템) 장치에서 보내지는 자신의 현재 위치와 연계된 교통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지상파 DMB 기반 TTI 서비스 검증 플랫폼’은 새로운 TTI 서비스 및 수신단말을 개발할 때 실제 운용환경에서 제대로 동작하는 지를 검증하는 기술로서 TTI 관련 신기술 개발기간을 크게 단축시켜 준다.

● 국제표준 규격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 못 해

교통정보를 컴퓨터끼리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인 티펙(TPEG)이 제공하는 정보는 도로 정체 상황을 숫자로 표현하는 ‘교통정보’와 기차, 항공기, 선박 등 대중교통 수단의 티켓 현황 등을 알려주는 ‘대중교통 정보’의 두가지 뿐이다.

그러나 실제로 TTI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기능은 이외에도 뉴스, 날씨, 추천 여행지 등 다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국내외 TTI 개발자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국제표준과 무관한 고유 규격으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TPEG’ 규격이 대세인 세계시장 공략에는 불리하다.

● 주행중인 차량의 DMB-TTI 시스템의 운용상황을 그대로 재현

ETRI의 ‘지상파 DMB 기반 TTI 서비스 검증 플랫폼’은 TTI 서비스 검증 플랫폼은 디지털 지도와 연계하여 가상 네비게이션을 수행하여 실제 주행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고 다양한 형태의 신종 TTI 서비스 기술과 수신단말의 기능을 확인한다. 이와 같은 검증 절차를 통해 상용화 이전 단계에서 최적의 기술규격과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방안 등을 찾아내고 보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교통정보의 전송을 위해 제정된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인 ‘티펙’(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이 적용되어 세계 시장을 겨냥한 DMB-TTI 서비스 및 장비 기술의 개발에 적합하다.

ETRI는 본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 차세대디지털방송표준포럼 산하 DMB 분과위원회에서 진행 중인 국내 “지상파 DMB 교통 및 여행자 정보 서비스 표준(안)”을 제정하기 위한 서비스 규격의 검증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ETRI 이동멀티미디어방송연구팀 함영권 팀장은, “YTN과 공동으로 현장실험을 통한 실시간 TTI 서비스의 성능 확인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할 예정”이라며 “내년 초 서비스를 목표로 교통정보 전송 인프라 구축 및 관련 전송시스템 개발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