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테라비트급 광통신용 광증폭 섬유 원천 기술 개발

ETRI, 테라비트급 광통신용 광증폭 섬유 원천 기술 개발

- 경제성 높은 광대역 광증폭기용 광섬유 기술 확보 -

초고속 인터넷 보급에 따른 대용량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증폭기에 있어서 광증폭기의 수용 밴드 용량을 늘릴 때마다 지금까지의 기술로는 광증폭기용 소요 부품 비용이 몇 배 이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초고속광소자팀(팀장 이명현)은 정통부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인 ‘L+밴드대 광증폭용 광섬유 및 소자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종전과 같은 간단한 광증폭기 구조를 가지고도 2배의 광증폭기 용량을 얻을 수 있고 쉽게 구현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높은 새로운 광 증폭기용 광섬유를 개발하였다.

□ 개요

근래에 들어와 대용량 광통신을 위해 광통신 파장 대역의 C 밴드 대역과 L 밴드 대역에 사용되는 광증폭기로서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 (EDFA)와 라만 증폭기에 의해 실현되었다. 이 2개 파장 대역을 동시에 증폭하는 광증폭기로 이들 광증폭기 각각 또는 연합된 구조 형태들로 구현이 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증폭기 구조는 기존의 이들 각 파장 밴드 대역의 증폭기 구조들을 단순히 합쳐 놓은 형태를 갖으며 실제 구현비용이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근본적으로 새로운 광 증폭기용 광섬유가 개발되었다. 새로 개발된 광섬유는 하나의 광섬유로 기존의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와 라만 광섬유 증폭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광섬유 코어의 어븀 이온 농도의 조절과 동시에 라만 증폭이 용이한 조성으로 C-밴드와 L-밴드 이득 영역에서 광증폭 이득 값이 5dB 이내에서 평탄한 특성을 제공하여 향후 가격 경쟁력에서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기술에 대해서는 광통신 기술 분야의 전문 학술지와 더불어 전문 분야의 국제 잡지인 PHOTONICS SPECTRA 잡지의 최근 11월호에 관련 기사가 게재되어 세계적으로 홍보된 바가 있다.

□ 관련 해외 기술현황

o 기존의 광증폭기 구조: - C-밴드 증폭용 EDFA, L-밴드 EDFA가 각 밴드용 광증폭기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2개 밴드 동시 사용을 위해서는 두개 밴드 광증폭기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로 활용되나, 각기 다른 증폭기용 광섬유의 사용과 특성이 다양한 광소자들이 필요하여 가격이 비싸지는 점이 있음. - 기존 라만 광증폭기 구조만으로도 C-밴드와 L-밴드 광대역 증폭기를 구현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에는 다 파장 펌핑용 고출력 광원이 필요하고 긴 길이의 비선형 라만 광 증폭용 광섬유가 필요하여 결과적으로 가격이 매우 비싸지는 점이 있음. - EDFA와 라만 광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C-밴드와 L-밴드를 동시에 증폭기하는 광 증폭기를 구현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 방법에도 고출력 다파장 펌핑 광원, 이득 평탄화 필터, 어븀첨가 광섬유 와 고비선형성 광섬유 등이 요구되어 결과적으로 가격이 매우 비싸지는 점이 있음. - 상기 기술들은 이미 여러 연구소 및 산업체에서 개발하여 일부는 실제 시스템에 적용이 되고 있으며, 추가로 개선된 기술 개발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기관에서 연구 개발이 되고 있는 상황임. (미국: Onetta, Xtera, 일본: NTT)

□ ETRI에서 제시한 광대역 광증폭기의 장점

- C-밴드와 L-밴드를 동시에 증폭기하는 기존 광 증폭기 구도에 비해서 경제성 (1.5 배 이상의 가격 경쟁력, 구성의 간단함에 의한 쉬운 system 관리 등) 을 높이기 위해 어븀 광증폭기 기능과 비선형 라만 광증폭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가 용이한 광섬유 구조를 확보하였다.

□ 개발 결과의 의미 및 향후 전망

- 광대역 광소자 증폭기로 제시된 본 기술은 동일한 특성을 내는 기존의 광 증폭기들에 비해 1.5배 이상의 가격 경쟁력을 갖으며 소요 광소자들을 줄임 으로써 쉽운 구현 및 시스템 관리를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본 기술에 관련하여 산업체와 협력을 통해 상용 제품 기술을 완료하여 시장에 진출을 고려할 계획임.
- 본 기술에 관련되어 국제 학술지 논문은 1편이 발표되었으며, 관련 국내외 특허 1건이 출원된 바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