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지능형 인터넷을 위한 저작S/W‘이지아울(ezOWL)’ 개발

ETRI, 지능형 인터넷을 위한 저작S/W‘이지아울(ezOWL)’ 개발

- 인터넷에 지능을 부여하는 S/W로서, 비전문가들도 쉽게 다룰 수 있는 간편함으로 세계적인 온톨로지 저작도구로 안착 -

컴퓨터가 인터넷상의 웹문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자동으로 처리하는 차세대 지능형웹 기술인 시맨틱웹(Semantic Web) 기술 개발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온톨로지(Ontology, 용어 사이의 관계를 집대성한 DB) 저작 툴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지능형웹기술연구팀(팀장 조현규 박사)은 ‘지능형 비즈니스웹 플랫폼 기술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온톨로지 저작툴인 ‘이지아울(ezOWL)’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은 컴퓨터가 인간이 사용하는 각종 용어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도구로서 올해 9월에 발표된 지 두 달만에 전 세계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세계적인 S/W로 자리 잡았다.

● 인공 지능 분야에서 연구 수준에만 머물렸던 기존의 지식 구축 기술

IT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그 방대한 양은 사람이 필요한 자료나 서비스를 선택해 이용하는 데 걸리는 노력과 시간을 가중시키고 있다.
컴퓨터가 웹문서의 용어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러한 작업까지 컴퓨터가 직접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바로 지능형웹(시맨틱웹, Semantic Web) 기술이다.
예를 들어 지능형웹에 연결된 컴퓨터에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면 정확한 병명과 처방까지 알려주는 식의 완전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가 웹문서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종 용어와 동의어, 반의어, 포함관계 등 용어들간의 관계를 집대성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는데 이를 온톨로지(Ontology)라고 한다.
‘온톨로지’는 컴퓨터를 지능화시킬 수 있어 시맨틱웹 뿐만 아니라 지능형 로봇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서비스, 지능형 e-비즈니스, 의료정보화, 바이오 인포매틱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수십만, 수백만 개의 용어들을 일일이 타이핑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오던 온톨로지 구축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S/W들이 소수 개발되었으며 이 중 스탠포드 대학의 의료정보 기관인 SMI(Stanford Medical Informatics)에서 개발한 ‘프로테제-2000’이라는 온톨로지 구축 S/W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 S/W는 온톨로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지식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 그래픽 편집 방법으로 효율을 극대화시킨 ‘ezOWL’

ETRI가 개발한 ‘이지아울’(ezOWL)은 복잡한 온톨로지를 그래픽 다이어그램으로 생성 및 편집할 수 있어, 온톨로지 형식에 대한 지식 없이도 그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저작할 수 있다.
‘이지아울’은 독자적인 S/W이지만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프로테제-2000과 플러그인(Plug-in)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온톨로지 개발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게 배려하였다.
ezOWL은 W3C(국제 웹 표준화기구)에서 표준화 작업중인 차세대 웹 온톨로지 언어 OWL(Web Ontology Language)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 언어인 DAML+OIL, RDF/RDFS 도 지원하고 있어 호환성도 뛰어나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올해 9월에 인터넷상에 공개한 이후 전 세계 관련 연구개발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 세계적인 S/W로 안착하였다.
연구책임자인 조현규 ETRI 지능형웹기술연구팀장은, “이번 개발로 컴퓨터가 스스로 웹 상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자동적으로 서비스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인터넷이 보다 빨리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세 설명자료 및 다운로드 가능한 URL]

● 컴퓨터에게 말을 가르치는 방법은? - 온톨로지(Ontology)

컴퓨터 등 기계는 상상력이 없기 때문에 ‘아름답다’, ‘성공했다’, ‘망했다’ 등 감정이나 상상력을 수반하는 단어를 직접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컴퓨터는 상반(↔), 유사(〓), 포함 관계(∈ 또는 ⊂) 등의 논리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이 ‘온톨로지(Ontology)’라는 것으로서 단어들간의 관계를 입력함으로써 컴퓨터에게 말을 가르친 효과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다 다양하게 보다 쉽게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ETRI의 ‘ezOWL’]

ezOWL 홈페이지 :http://iweb.etri.re.kr/ezowl
Protégé-2000 홈페이지
:http://protege.stanford.edu/plugins/domain_visualization.htm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