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한글주소 인식기술로 우편 자동화 실현

ETRI, 한글주소 인식기술로 우편 자동화 실현
-인쇄문자 인식률 99%로 선진국보다 더 뛰어난 성능
-집배원이 시간당 수작업시보다 16배 작업 속도 개선
-현 주소와 새 주소도 판독하는 한글주소인식기술 확보
-문자인식기술 필요한 관련 산업에 전방위 확산 기대



현 번지 주소 인식과 새로 도입된 도로명 새주소 인식이 가능한 한글주소 인식기술이 ETRI에서 개발되어 우체국 현장에 적용되면서 우편 자동화를 더욱 더 앞당길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20일, 우편물에 인쇄 형태나 수기로 된 한글 주소뿐만 아니라 수신인명 판독 기술 등에서 보다 정밀한 우편 분류가 가능하고 집배원이 수작업시보다 16배나 더 빠른『한글주소인식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글주소인식기술』은 영상 분석, 문자 인식, 주소 해석 등의 기술을 활용해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우편물에 인쇄 및 수기된 한글 주소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ETRI는 인쇄된 문자 단위의 인식률은 약 99%, 수기한 문자의 인식률은 약 82%, 우편물에 기입된 전체 주소에 대해서는 약 87%의 인식 성공률을 자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진국을 자처하는 미국, 독일, 일본 등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성능이다.

이 기술 개발로 인해 우편물을 집배원의 배달 순서대로 자동 정렬해주는 순로 구분기가 상용화되어 우체국에 보급됨으로써 우편업무의 자동화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현재 집배원 한 명이 수작업으로 우편물을 순로 구분할 때 시간당 약 500여통을 구분하지만, ETRI가 개발한 순로 구분기를 이용하면 시간당 약 8,000여통을 구분할 수 있어 16배의 작업 속도를 낼 수 있다.

ETRI는 순로 구분기의 도입을 바탕으로 전국 우편집중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일반 구분기에도 이 기술을 탑재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진행하여, 향후 우편번호 대신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정밀한 분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ETRI 김호연 지능형우편연구팀장은 “본 기술은 사무실이 아닌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영상을 처리하는 실용성을 검증받은 기술로서 우편뿐만 아니라 문자인식기술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서 전자화 사업과 로봇용 영상처리 기술 등 관련 산업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지난 9월에 우편 현장의 운송용기(Pallet)에 태그를 달고 집중국 게이트에 리더기를 달아 운송용기의 움직임을 RFID 기술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운송용기 RFID 프로세스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 기술로 기존 바코드 기반의 우편물류시스템에 RFID 기술이 접목되어 우편물 발송 및 도착 작업이 신속히 처리돼 우편 물류 업무의 비용 단축과 우편 물류 프로세스 전체의 효율성이 제고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 1 : 우편물을 적재하면 화면 왼쪽으로 우편물이 투입되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사진 2)의 뒷면에 보이는 순로 구분기로 우편물이 보내지는 모습

사진 2 : 화면 왼쪽으로 <한글주소인식기술이 탑재된 순로구분기>에 우편물이 투입되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정면(사람이 작업하는 부분)에 보이는 구분칸으로 우편물이 보내지고 구분칸에 우편물이 적재된다

사진 3 : 구분이 끝나면 아래에 있는 우편상자에 우편물을 옮겨 담긴 모습


[배포번호 : 2008 - 10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