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DMB 콘텐츠 저장ㆍ유통 포맷기술 국제표준(IS)으로 최종 확정 및 발간

ETRI, DMB 콘텐츠 저장ㆍ유통 포맷기술

국제표준(IS)으로 최종 확정 및 발간

- 차세대 DMB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 전망
- DMB 콘텐츠 시장 활성화 및 신시장 창출 기대


우리나라에서 방송중인 지상파 및 위성 DMB 콘텐츠의 저장ㆍ유통 포맷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마침내 발간되어 DMB 콘텐츠의 상호호환성 확보 및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지난 2007년 10월에 중국 심천에서 개최된 82차 MPEG 회의에서 승인된 바 있는 ‘DMB-AF’ 최종표준안(FDIS)이 금년 8월 15일에 ISO를 통해 국제표준(IS)으로 공식 발간됨으로써 DMB 파일 포맷 기술에 대한 ETRI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마침내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고 11일 밝혔다.

‘DMB-AF'는 지상파/위성 DMB 및 DAB/DAB+를 통해 제공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파일로 통합 저장․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ㆍ유통하기 위한 표준 파일포맷을 말하며, 표준의 공식명칭은 'ISO/IEC 23000-9 (MPEG-A Part 9)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format'이다.

‘DMB-AF' 표준화는 지난 2006년부터 ETRI 주도하에 MPEG포럼(의장 안치득 ETRI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소장)과 차세대방송표준포럼(의장 정제창 한양대 교수)의 공동위원회인 DMB-AF JTF(Joint Task Force, 위원장 김용한 서울시립대 교수)를 통해 DMB 방송사, 통신사, 산업체, 학계 등 다양한 기관의 의견 수렴을 거쳐 진행되어 왔다.

현재는 'DMB-AF' 참조소프트웨어 및 적합성 시험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DMB-AF'와 관련된 보다 상세한 자료는 T-DMB 홈페이지(http://www.t-dmb.org)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DMB-AF'는 DMB 방송콘텐츠 녹화, 파일캐스팅, DMB 포털을 통한 다운로드/스트리밍, 메타데이터 기반 UCC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파일 기반의 서비스에서 'DMB-AF'를 활용하면, 오디오/비디오/BIFS/슬라이드쇼/BWS 등 다양한 DMB 콘텐츠를 적절히 연계하여 콘텐츠 보호 및 사용자 관리 기능과 함께 하나의 파일로 제작하고 이를 다양한 형태의 DMB 단말에서 소비하거나 인터넷에서 배포되도록 함으로써 DMB-Learning, DMB-Commerce 등 다양한 형태의 응용 콘텐츠 유통이 가능해 고부가가치 비즈니스 모형 발굴 및 신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특히, ’DMB-AF'를 와이브로 및 HSDPA 등의 통신망을 통해 DMB 단말로 제공할 경우 엄격한 방송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 IP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DMB 콘텐츠 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DMB 콘텐츠 파일은 DMB 수신단말 뿐 아니라 AV 재생이 가능한 PMP, PDA, 노트북, 캠코더, 핸드폰,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이동휴대단말에 적용 가능함으로, 막대한 단말 및 서비스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 시장 규모만 예측 시 2010년에는 연 2,400억원, 2013년에는 연 4,800억원 시장으로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유료 서비스 시 월 3천원 정액 기준).

방송 콘텐츠 저장ㆍ유통을 위한 파일포맷은 DVB에서도 ‘DVB-FF (file format)'이란 이름으로 ETSI를 통해 표준화하고 있는데, 'DVB-FF'가 오디오/비디오/텍스트만 지원하는 것과 달리 ’DMB-AF'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웹페이지, 게임 등 DMB에서 정의된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지원하므로 이러한 콘텐츠를 오디오/비디오와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홍진우 ETRI 방통미디어연구부장은 “이번 'DMB-AF'의 국제표준 발간으로 DMB 기술의 국제적 인정은 물론 향후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통해 DMB 서비스를 진일보시킴으로써 신시장 창출 및 DMB 산업의 해외 진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배포번호 : 2008-66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