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USN 미들웨어 V2』개발

ETRI,『USN 미들웨어 V2』개발
- 교통, 의료, 환경,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성능 강화
- 2012년 세계 시장 규모 558억불 규모로 계속 증가
추세



<시나리오 1> 의료건강서비스
서울근교 실버타운에서 노후를 보내고 있는 이ㅇㅇ 할아버지(85)가 갑자기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호흡이 곤란해지자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이 할아버지의 병세가 실시간으로 병원과 가족들에게 전송되었다. 또 실버타운내 설치된 미들웨어는 실버타운내 센서네트워트와 연동 인근소방서 구조대를 출동시키도록 해 빠르게 조치, 이 할아버지의 호급곤란 현상은 즉시 정상을 되찾았다.

<시나리오 2> 공단지역 원활한 물류서비스
공단지역은 연일 반출되고 송출되는 제품물량으로 교통정체현상을 빚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나 대기오염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미들웨어를 통한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교통량, 차량속도, 노면상태, 대기, 악취 등을 5분 간격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를 통해 사업자들은 그때 그때 송반출 물량을 조정하고 대기오염 방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원활한 기업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그 동안 축척된 센서데이터베이스를 이용 시간, 월별, 계절적 위치에 따른 다양한 패턴에 대해 대비를 할 수 있어 원활한 기업운영 및 예산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여러 도시와 지역에 걸쳐 구축된 센서네트워크와 응용서비스들이 통합 연계됨으로써 광역 응용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광역 공용서비스 지원기술이 개발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1일, 기존의 'USN 미들웨어 플랫폼'보다 성능이 한층 개선 된 'USN 미들웨어 플랫폼 V2'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USN 미들웨어'는 지식경제부에서 지원하는 'RFID/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의 결과물로 '도시규모의 넓은 지역내 배치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네트워크들을 교통, 의료, 환경, 물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능화된 서비스 기능을 제공 할수 있도록 상호 연동 및 공통 서비스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반 소프트웨어'이다.

‘USN 미들웨어 플랫폼 V2'는 이미 국내 연구진에의해 2007년 개발된 ‘USN 미들웨어 시제품’의 기능에 다양한 융합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성능이 한층 강화된 것이다.

기존의 'USN 미들웨어 플랫폼'은 특정 영역에서의 응용서비스에 대해 센서네트워크에 대한 종속성을 없애고 다수의 센서네트워크를 연결해주며, 공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개발되었다.

이번에 개발한 ‘USN 미들웨어 플랫폼 V2'는 한층 업그레이드 된 제품으로서, IT 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 영역에서 USN 미들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센서네트워크 통합관리, 응용간 상호 연동, 지능화 기능의 확장 그리고 각 도메인에서의 공통 비즈니스 기능을 추가하여 플랫폼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ETRI의 개발 기술을 통해 USN 인프라의 광역화에 따른 USN 서비스 영역간의 융합의 어려움과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시의 확장의 어려움이 해소됨에 따라 서비스간 연동을 통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실현을 한층 더 앞당기게 되었다.

USN 미들웨어 기술의 적용은 u-City와 같이 이종 센서네트워크간의 센싱정보 공유 및 센서네트워크에 대한 통합관리, 기반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한층 개선된 기술은 분산되어있는 USN 미들웨어의 연계를 통해 광역 응용 및 이종 분야의 서비스 간에도 상호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은 광역적으로 분포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활용, 여러가지 응용 서비스 개발이 가능함으로써 자원의 공유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개발 및 유지비용의 절감, 운용의 효율성이 기대되고 있다.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은 도시지역 또는 국토지역내 ▲대기 및 수질 환경 모니터링 ▲제조 현장 u-Safety ▲ 첨단 Smart-Building ▲u-Silvercare 서비스 등 이기종 복수 센서 네트워크를 동시 연결하여 응용 서비스에 센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응용 서비스 연동 시험을 통해 성공적인 기술 검증이 완료된 상태이다.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은 현재, 국제논문 6편, 국제특허 3건을 출원했으며, (주)LG CNS, (주)포스데이타, (주)코리아컴퓨터, (주)넥스모어시스템즈 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해 제품화와 함께 지능형 국토관리 및 u-City 사업등의 관련 USN 사업분야에 적용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분야는 아직까지 관련 표준이 부재한 기술 부분으로 국내외 IPR(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기술 선점이 가능한 분야이며, ETRI는 지난해 12월 TTA를 통해서 관련 표준 규격 4건(△USN 디렉토리 서비스 규격 △USN 메타데이타 규격 △센서 네트워크 공통 인터페이스 규격 △USN 미들웨어 플랫폼 표준 참조 모델)을 표준으로 제정하였고, 올해들어 USN 포럼 등을 통해 관련 업체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표준 개정을 진행중에 있다.

또한, 국내의 앞선 USN 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ITU-T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도 USN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 및 미들웨어 기술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중에 있으며, ETRI는 이러한 규격이 국내외 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앞으로 관련 USN 사업 적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채종석 ETRI RFID/USN 연구본부장은 “IT 융합 기술을 통한 신성장 동력 및 새로운 서비스 발굴에 있어 ETRI가 개발하고 있는 USN 원천 기술과 USN 미들웨어 기술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기반 인프라로써 채택되고 활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품질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향후에는 다양한 사용자 및 서비스 요구에 부합되는 고수준의 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을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RFID/USN(HW, S/W포함)관련 세계시장의 규모를 2008년 112억불에서 2012년 시장조사 전문기관의 추정치를 근거로 558억불로 전망하고 있으며, USN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은 오는 11월 5일부터 개최되는 ‘RFID/USN Korea 2008'에 출품 전시될 예정이다.


[배포번호 : 2008 - 75호]

TOP